$\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백지황탕(知栢地黃湯)으로 호전된 진행성 색소성 자반병의 한방치료 1례
A Case Report of Progressive Pigmented Purpuric Dermatosis improved with Jibaekjihwang-tang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26 no.2, 2013년, pp.109 - 116  

김현정 (동서한방병원 안이비인후피부과) ,  김태연 (동서한방병원 안이비인후피부과) ,  이창원 (동서한방병원 안이비인후피부과) ,  김창환 (동서한방병원 안이비인후피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know the effect of Jibaekjihwang-tang(知栢地黃湯) on progressive pigmented purpuric dermatosis. Methods : We experienced one case of progressive pigmented purpuric dermatosis treated with Jibaekjihwang-tang(知栢地黃湯). We used visual analogue scale(VAS). Resul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중년 여성에게 발생한 진행성 색소성 자반병을 陰虛血熱로 辨證하고 知栢地黃湯 복용을 비롯한 한방치료를 시행하여 증상의 호전을 보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진행성 색소성 자반병은 뚜렷한 치료법이 없으며 외관상의 문제 외에 다른 신체적인 이상을 일으키지는 않아 적극적으로 치료하기 어려우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만큼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치료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가 양호하였으며 본 질환에 대한 한방치료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로 자료를 축적하고 치료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학에서 자반은 무엇인가? 본 질환의 주증상인 자반은 한의학에서는 혈액이 肌膚之間에 溢血하여 피부에 자색의 斑點 혹은 斑塊를 일으키는 질병으로 血證과 發斑의 범주에 속하며 역대문헌에 葡萄疫, 血溢, 肌衄 등의 명칭으로 기술되어 왔다3).
진행성 색소성 자반병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것은 무엇인가?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는 않으나,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접촉성 항원에 의한 알레르기 접촉성 피부염, 반복적인 손상이나 물리적 요인에 의한 정맥압의 증가와 모세혈관의 취약, 약물 등 다양한 요인이 관련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또한 일부에서는 전신질환과의 연관성을 제시한 바 있으나 직접적인 연관성은 규명되지 못한 상태이다2).
진행성 색소성 자반병이란 무엇인가? 진행성 색소성 자반병(Progressive Pigmented Purpuric Dermatosis)은 색소성 자반성 피부증 (Pigmented purpuric dermatoses)의 한 병형으로 임상적으로는 만성적인 경과를 취하면서 주로 하지에 군집된 점상출혈과 함께 헤모시데린의 침착에 의한 황갈색의 색소 침착을 보이는 질환이며, 조직학적으로는 유두진피에 존재하는 혈관 주위에 림프구 침윤이 나타나며 적혈구의 혈관외 유출과 헤모시데린의 침착이 관찰되는 것이 특징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Tristani-Firouzi P, Meadows KP, Vanderhooft S. Pigmented Purpuric Eruptions of Childhood: A Series of Cases and Review of Literature. Pediatric Dermatology. 2001;18(4):299-304. 

  2. Cho JH.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Etiologic Factors of Patients with Pigmented Purpuric Dermatosis. The Journal of Korean Dermatological Association. 2005;43(1)45-52. 

  3. Kim YH, Han JK, Kim YH. The Literature Study of Purpura. Daejeon Univ Korean Med Inst. 2004;13(1):183. 

  4. No HS, Kim JB. Case Report of Oriental Medicine Treatment of Odiopathic Thrombocytopenic Pupura.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7;21 (5):1303-6. 

  5. Jo JK, Kim HY, An CG, Yun CS, Choi EH, Park MC. Two Cases Report of Allergic Purpura.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7;20(3):260-7. 

  6. Lee JH, Yu SA, Lee SY. A Case Report of Allergic Purpura. J Korean Orient Pediatr. 2012;26(3):12-9. 

  7. Choi IH. A Case of Progressive Pigmented Purpuric Dermatosis. The Jou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1;14(2):194-7. 

  8. Kwon KY. Diagnosis and Treatment of Purpur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Internal Medicine. 2008;75(2)169-72. 

  9. Lee YS. Clinical Dermatology. Seoul:Yeo Moon Gak. 1989:260-1. 

  10. Habif TP. Clinical Dermatology. USA:Mosby. 1996:585. 

  11. Peter K, Werner A, Emad A, Zwlyka K, Briger K. Pigmented Purpuric Contact Dermatitis from Disperse Blue 106 and 124 Dyes. J Am Acad Dermatol. 2001;45(3):456-8. 

  12. Ratnam KV, Daniel Su WP, Peters MS. Purpura Simplex(Inflammatory Purpura without Vasculitis):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174 Cases. J Am Acad Dermatol. 1991;25(4):642-7. 

  13. Cho JH, Lee JD, Kang H, Cho SH. The Clinical Manifestations and Etiologic Factors of Patients with Pigmented Purpuric Dermatosis. Korean J Dermatol. 2005;43(1) 45-52. 

  14. Choi YH, Kim JH. The Literature Study of Purpura. J Korean Orient Pediatr. 1993;7(1): 91-2. 

  15. Kim YH, Han JK, Kim YH. The Literature Study of Purpura(In Comparison with Pupura of Adult). Journal of Daejeon Univ Korean Med Inst. 2004;13(1):183-95. 

  16. Jung KM. Dong Eui Pediatrics. Seoul: HangLim Publishing Inc. 1985:556-69. 

  17. Wang BA. Kang YI. Chinese Oriental Pediatrics. Beijing:Inmin WiSaeng Inc. 1984: 501-8. 

  18. Kim KW. Saam Acupucture Susanglok. Seoul:Cho Lak Dang. 2007:144,386-7. 

  19. Oh K. Euijongguemgam. Seoul:Daesung Moon Wha Inc. 1983:49-51. 

  20. Yoon YK. Dongeui Bangje and Chubang Haesul. Seoul:Eui Sung Dang. 1998:290. 

  21. Lee YS, Yoon JY, Han JK, Kim YH. A Case Study about the effect of Yukmijihwangtang Gamibang and Comedon Extraction on Male Acn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2011; 20(1):119-25. 

  22. Park HS, Kim YB. Five Cases of Atopic Dermatiti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3;16(2):255-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