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금산 함우라늄광상 분포지역의 항공자력/방사능 탐사자료 해석
Interpretation of Airborne Magnetic and Radioactive Data for the Uranium Deposit in Geumsan Area 원문보기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v.16 no.1, 2013년, pp.36 - 44  

신은주 (한국광물자원공사 기술연구원 기술사업팀) ,  고광범 (한국광물자원공사 기술연구원 기술사업팀) ,  안동국 (한국광물자원공사 기술연구원 기술사업팀) ,  한경수 (한국광물자원공사 기술연구원 기술사업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금산지역의 흑색셰일형 우라늄광상에 대하여 항공 자력 및 방사능 탐사를 수행하였다. 각 자료의 암상분석과 선구조 분석에 의한 전반적인 지질 및 구조지질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기반한 우라늄 광화대의 특성화를 시도하였다. 자극화변환과 하향연속 이상도에서 우라늄광상을 배태하고 있는 흑색 및 암회색 점판암대의 뚜렷한 양의 이상을 인지함으로써 자력탐사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이차미분 및 곡률을 이용한 선구조 분석을 통해 회색 혼펠스대와 흑색 점판암대를 대표하는 선구조를 도출하고 우라늄 광화대의 추가 부존 가능영역을 추정하였다. 이에 대한 우라늄광 배태여부는 방사능 총이상 및 우라늄 이상도에서 최종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열변성기원의 우라늄광화대는 국부적인 반면, 흑색셰일형 광화대는 조사지역 전체에 북동-남서방향으로 연속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라늄 광화대는 방사능 총이상의 선구조 분석을 통해 단층과 교차하는 곳은 단절되는 전형적인 구조지질적 특징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고찰로부터 항공 자력 및 방사능 탐사는 상호 보완적이며 따라서 병행 수행하는 것이 자료분석 및 해석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nducted the airborne magnetic and radiometric survey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e black shale related and pyrometamorphic uranium deposits distributed in Geumsan area. For the successful characterization of the uranium deposits, the general geological and structural geological feature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금산지구 옥천누층군 흑색셰일형 함우라늄 지층인 창리층에 부존하고 있는 우라늄광상의 부존 및 연장확인을 위한 사례연구이다. 적용한 물리탐사는 항공 자력 및 방사능탐사로서 기존에 확인된 금산지구 우라늄광상의 재평가와 부존 가능영역의 신규조사를 통해 새로운 우라늄 광화대의 부존 및 분포정보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일반적으로 광역 자력이상은 조사지역의 구조지질적 특성을 잘 보여주며(신은주 등, 2012) 방사능이상은 암상 등 구조지질 정보와 함께 우라늄 광화대 존재를 직접 지시한다(IAEA, 2003). 본 연구에서는 자력 및 방사능탐사가 가지는 개별적 장점을 극대화하는 방향의 자료처리 적용을 모색한다. 즉, 자력 및 방사능 각각의 이상으로부터 개별적 암상분석을 통해 암상단위 구분을 통한 지질적 특성을 일차적으로 기술한다.
  • 최종적으로 이를 취합하여 사전정보인 상세 지질도와 대비, 해석을 수행한다. 이로부터 우라늄 광화대의 분포 및 연장과 조사지역의 전체적인 구조지질적 특성을 상호 연계하여 종합적으로 규명한다.
  • 본 연구는 금산지구 옥천누층군 흑색셰일형 함우라늄 지층인 창리층에 부존하고 있는 우라늄광상의 부존 및 연장확인을 위한 사례연구이다. 적용한 물리탐사는 항공 자력 및 방사능탐사로서 기존에 확인된 금산지구 우라늄광상의 재평가와 부존 가능영역의 신규조사를 통해 새로운 우라늄 광화대의 부존 및 분포정보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추가조사가 요청될 경우, 정밀 조사영역을 추천하며 최종적으로 향후 장기적 관점의 효율적 이용 목적의 매장량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 방사능 이상의 선구조 분석 목적은 우라늄 광화대의 연속성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즉, 자력탐사의 분석결과인, 확인 및 추정단층 등 구조지질적 요인과 연관하여 우라늄 광화대의 실제 단절여부와 그 구간을 재확인하고자 함이다. 선구조 분석에는 총 방사능 이상과 우라늄 이상 모두 가능하나 본 연구에서는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대체에너지로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무엇인가?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은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고 대체에너지로서 원자력 및 신재생 에너지를 적극 이용하는 데 있다. 현재 대체에너지로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원자력발전으로 세계 각국은 원자력 발전소의 추가건설을 계획하고 있거나 건설 중에 있다. 우리나라도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을 통하여 2030년까지 원자력발전 비중을 현재 31%에서 최소 41%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지식경제부, 2008).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은?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은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화석연료 의존도를 낮추고 대체에너지로서 원자력 및 신재생 에너지를 적극 이용하는 데 있다. 현재 대체에너지로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원자력발전으로 세계 각국은 원자력 발전소의 추가건설을 계획하고 있거나 건설 중에 있다.
흑색셰일형 우라늄광을 배태하는 창리층의 분포 순서는? 흑색셰일형 우라늄광을 배태하는 창리층은 조사지역의 중앙부에 북동-남서의 주향을 가지고 길게 발달하고 있다. 창리층은 최하부에 흑색 점판암대(Fig. 2의 B)가 분포하고 상부로 녹회색 천매암대(Fig. 2의 C, C')와 암회색 점판암대(Fig. 2의 D, D')순으로 분포한다. 흑색 점판암대는 다시 상부의 흑색 점판암층과 암회색 점판암층 및 하부의 흑색 사질암층으로 세분되며 우라늄광체는 상부의 흑색 점판암층에 국한되어 분포하는 특징을 보여준다(KORES,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ranov, V., 1957, A new method for interpretation of aeromagnetic maps: Pseudo-gravitic anomalies, Geophysics, 22, 359-383. 

  2. Dickson, B. L., and Scott, K. M., 1997, Interpretation of aerial gamma ray surveys - adding the geochemical factors, AGSO Journal of Australian Geology & Geophysics, 17(2), 187-200. 

  3. IAEA, 2003, Guidelines for radioelement mapping using gamma ray spectrometry data, IAEA-TECDOC-1363. 

  4. Kim, O. J., 1967, Stratigraphy and Tectonics of Okcheon System in the Area between Chungju and Munkyeo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1, 35-46. 

  5. Korea Resources Corporation, 2009, Detailed Survey Report (Uranium: Daejeon). 

  6. Lim, S. B., Chun, H. Y., Kim, Y. B., and Song, K. Y., 2006, Stratigraphy and geological ages of the metasedimentary strata in Jinsan-Boksu area, Chungcheongnam-do, NW Okcheon bel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2, 149-174. 

  7.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1995, Geology and mineral deposits on the Ogcheon Group. 

  8.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2008, 1st Master Plan for National Energy. 

  9. Minty, B. R. S., 1992, Airborne gamma-ray spectrometric back-ground estimation using full spectrum analysis, Geophysics, 57(2), 279-287. 

  10. Minty, B. R. S., Luyendyk, A. P. J., and Brodie, R. C., 1997, Calibration and data processing for airborne gamma-ray spectrometry, AGSO Journal of Australian Geology & Geophysics, 17(2), 51-62. 

  11. Shives, R. B. K., Charbonneau, B. W., and Ford, K. L., 1997, The detection of potassic alteration by gamma ray spectrometery - Recognition of alteration related to mineralisation. In Proceedings of Exploration 97: Fourth Decennial Conference on Mineral Exploration, edited by A. G. Bubins, 741-752. 

  12. Shin, D. B., and Kim, S. J., 2011,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Slate and Coaly Slate from the Uranium Deposit in Deokpyeong Area,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4, 373-386. 

  13. Shin, E. J., Ko, K. B., Yoo, Y. J., and Jung, Y. H., 2012, A Case Study on The Data Processing and Interpretation of Aeromagnetic Survey Conducted in The Low Latitude Area: Stung Treng, Cambodia,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15, 136-143. 

  14. Son, C. M., 1970, On the Geological Age of the Ogcheon Group,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3, 9-15. 

  15. Yoo, I. K., 2010, Uranium Resources and Geophysical Review for the Uranium Deposi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ystem Engineering, 47(1), 99-118. 

  16. Zebenbergen, L. W., and Thorne, C. R., 1987, Quantitative analysis of land surface topography,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12, 47-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