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복관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Synthesis of Primary Studies Related to Clothing Involvement by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3, 2013년, pp.386 - 398  

이종남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유혜경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clothing involvement using meta-analysis. Metal-analysis (the analysis of analyses) is widely used in various academic areas to integrate individual empirical studies and generalize the knowledge of a specific research field. Previous studies regarding clothing inv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번째 목적은 1차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특정 주제에 대한 공통적인 경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통계분석방법인 메타분석을 의류학 분야에 소개함에 있었다.
  • 이와 같이 매우 다양한 변수들과 의복관여와의 관계가 연구되어 왔는데 이는 의복관여의 영향이 매우 광범위하며 또한 의복과 관련된 행동에서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많은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의복관여의 영향을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들을 계량적으로 통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메타분석은 분석방법의 특성상 광범위한 연구주제보다는 특정 변수나 개념을 다룬 연구결과를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의류학 분야 연구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진 변수 중 하나인 의복 관여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국내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의복관여에 관한 결과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외 연구에서는 의복을 중심으로 패션제품에 대한 관여를 지칭하여 fashion involvement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국내 연구에서는 대부분 의복관여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연구를(Jun et al.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의류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제품과 서비스를 포함하여 소비자 행동에 기본적인 요인으로 인정되어 있는 관여도가 의류와 관련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목적은 1차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특정 주제에 대한 공통적인 경향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통계분석방법인 메타분석을 의류학 분야에 소개함에 있었다.

가설 설정

  • 이와 같은 경로로 발전한 메타분석의 전형적인 모델은 고정효과모델과 임의효과모델이 있는데, 이들은 다른 기본 가정에서 출발한다. 고정효과모델은 모든 연구들은 일정하지만 알려지지 않은 효과크기를 기본적으로 공유하고 있고, 오직 표집오차 때문에 연구들 간에 효과크기가 다르게 나왔다고 가정한다. 고정효과모델에서는 동질성 검정을 함으로써 효과 크기의 연구들 간 차이가 표집을 잘못한 결과인지 아니면 각 연구의 참인 효과크기가 연구 간 체계적인 차이에 기인한 것인가를 밝혀낸다(Hedges & Olkin, 1985).
  • , 2010). 의복관여와 유행관여를 분리하여 분석한 연구에서는 의복관여 또는 유행관여를 단일차원 개념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의관여란? 소비자의관여(involvement)는 어떤제품군(product class)에 의해 발생하는 각성(arousal), 흥미, 동기를 나타내는 소비자 내면 상태를 말하며(Dholakia, 2001). 관여도 는 1970년대에 학문적으로 정의되고 주목을 받은 이래 수많은 연구에서 다루어져 왔다.
메타분석의 장점? 양적 분석방법으로는 메타분석이 있는데, 이는 다수의 양적 연구결과를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메타분석은 통계적 검정력을 높일 수 있고, 정확한 효과크기(effect size)를 추정할 수 있으며 관심 변인 간에 존재하는 관계의 양상을 잘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선행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관여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은 위험지각에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내리는 정도가 아니라, 어느 정도의 차이가 나는지를 선행연구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산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의복관여도와 관계가 연구된 변수들을 7개의 포괄적인 유목으로 분류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의복관여는 상표충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의복관여와 상표충성, 의복관여와 만족관계는 연구대상의 국적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관여와 상표충성과의 관계는 한국인이 중국인에 비해 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인은 중국인에 비해 의복관여에 따라 상표충성도가 매우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의복관여와 만족과의 관계는 한국인의 경우 거의 없는 반면, 미국인은 약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한국인은 의복관여에 따라 만족도가 달라지지 않지만, 미국인의 경우에는 미약하지만 의복관여가 높은 사람이 만족도가 높을 수 있다는 보여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ecker, B. J., & Hedges, L. V. (1984). Meta-analysis of cognitive gender differences: A comment on an analysis by Rosenthal and Rubi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 (4), 583-587. 

  2. Becker, B. J., & Schram, C. M. (1989). Examining explanatory models through research synthesi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inneapolis, MN. 

  3. Behling, D. U. (1999). Measuring involvement. Perceptual & Motor Skills, 88(1), 55-64. 

  4. Chung, M. J., & Lee, S. J. (1997).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clothing involvement and brand exten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1(7), 1124-1138. 

  5. Cooper, H. M. (1984). Integrating research: A guide for literature reviews.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6. Dholakia, U. M. (2001). A motivational process model of product involvement and consumer risk percep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5(11/12), 1340-1360. 

  7. Fairhurst, A. E., Good, L. K., & Gentry, J. W. (1989). Fashion involvement: An instrument validation procedure.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7(3), 10-14. 

  8. Glass, G. V. (1976). Primary, secondary,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5(10), 3-8. 

  9. Hedges, L. V., & Olkin, I. (1985).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San Diego, CA: Academic Press. 

  10. Hong, K. H. (1995). A study on cloth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product type and consumer fashion involvement -Jacket type and pantyhose ty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9(3), 525-535. 

  11. Hwang, J. S. (2003). The effect of clothing involvement and internet usage on internet shopping attitude and internet purchase of clothing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2), 177-187. 

  12. Hunter, J. E., Schmidt, F. L., & Jackson, G. B. (1982). Metaanalysis: Cumulative research finding studies. Bevery Hills: Sage Publications. 

  13. Jin, B. H. (1998). Consumers' perception of clothing price (Part II)-The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and consumer knowledge on the perceptions of each dimension of clothing pr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2(5), 628-638. 

  14. Jun, D. G., Choo, H. J., & Kim, H. S. (2010). A study on the clothing involvement, fashion innovativeness, impulsive buying, and brand loyalty of 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3), 424-436. 

  15. Jun, D. G., & Rhee, E. Y. (2008). The effects of adult women's innate innovativeness on involvement and fashion innovative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1), 1739-1749. 

  16. Kapferer, J. N., & Laurent, G. (1993). Further evidence on the consumer involvement profile: Five antecedents of involvement. Psychology & Marketing, 10(4), 347-355. 

  17. Kim, Y. K. (2010). A review of the meta-analysis in major academic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in Korea. Daehan Journal of Business, 23(4), 1833-1858. 

  18. Kirk, R. E. (1982). Experimental design: Procedure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Belmont: Wadsworth, Inc. 

  19. Laurent, G., & Kapferer, J. N. (1985). Measuring consumer involvement profil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2(1), 41-53. 

  20. Lim, K. B. (2007). The effect of clothing involvement and loyalty orientation on the information search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9/ 10), 1396-1407. 

  21. Lee, J. Y., & Park, J. O. (2005). The effect of consumer knowledge and involvement of apparel products on information processing 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9/10), 1329-1339. 

  22. Lee, S. J., Hwang, S. J., & Byun, Y. S. (1997). The store attributes of fashion specialty store with fashion invol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1(2), 346-356. 

  23. McQuarrie, E. F., & Munson, J. M. (1987). The Zaichkowsky personal involvement inventory: Modification and extens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4(1), 36-40. 

  24. Nagasawa, R. H. (1991). Lack of critical mass. In S. B. Kaiser & M. L. Damhorst (Eds.), Critical linkage in textiles and clothing subjects matter: Theory, method and practice, ITAA Special Publication #4 (pp. 266-271). Monument, CO: International Textile and Apparel Association, Inc. 

  25. Oh, S. S. (2011). Meta-analysis: Theory and practice (4th ed.). Seoul: Kunkuk Smart Press. 

  26. Rosenthal, R., & Rubin, D. B. (1982). Further meta-analytic procedures for assessing cognitive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5), 708-712. 

  27. Rothschild, M. L. (1979). Advertising strategies for high and low involvement situations. In J. C. Malone & B. Silverman (Eds.), Attitude research plays for high stakes (pp. 74-93). Chicago: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28. Smith, M. L., & Glass, G. V. (1977). Meta-analysis of psychotherapy outcome studies. American Psychologist, 32, 752-760. 

  29. Song, H. H. (2001). Meta-analysis for researches in medical Science, nursing and social science. Seoul: Cheng Moon Gak. 

  30. Suh, M. O. (2010).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motivation: A meta-analysi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8(2), 75-96. 

  31. Tigert, D. J., Ring, L. J., & King, C. W. (1976). Fashion involvement and buying behavior: A methodological study.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3, 46-52. 

  32. Zaichkowsky, J. L. (1985).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3), 341-3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