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의 설해취약지역 선정 및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지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
Selecting and Assessing Vulnerable Zones of Snow Damage in Urban Areas - the case of City of Busan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3 no.3, 2013년, pp.1077 - 1086  

구유성 (부산대학교) ,  이성호 (부산대학교) ,  정주철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지구는 이상기후를 원인으로 한 자연재난 발생에 의해 경제적 손실 및 인명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재난의 하나인 설해 적응에 관한 것으로 도로가 위치한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설해취약지역을 선정하고 그 위험정도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지역인 부산광역시의 경우 도심 내 구릉성 산지가 많이 분포하고 있어 도로의 경사가 급하고 많은 산복도로가 형성되어 있어 폭설에 취약한 구조로 되어 있다. 최근에는 폭설이라 할 수 없는 적은 적설량에도 도로교통이 마비되고 학교가 휴교하는 등 큰 혼란이 발생하였다. 지구온난화에 의한 이상기후는 예측이 어렵고 그 피해는 매우 큼으로 관련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적응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지역의 도로가 위치한 지형적 특성들을 중심으로 설해취약지역을 선정하고 행정동 단위 위험도 평가를 통한 위험정도를 나타냄으로 설해 적응정책수립 시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huge losses of both life and property have occurred by unexpected natural disasters. We studied snow damages, an important natural disaster issue because it happens more frequently in recent years. This study tries to select vulnerable areas of snowfall in advance and then establish climat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정된 지역들은 도로가 위치한 면의 자연적 특성(경사도, 향, 표고)에 의한 분석이 었다면, 본 장에서는 자연적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요인 그리고 적응 요인 등을 위험도평가에 반영하여 평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정된 설해취약지역들이 위치한 동(행정동)을 공간 단위로 위험도를 평가하고 위험정도에 따라 우선적으로 조치되어야 할 지역들을 제시한다. Table 4는 평가인자별 자료수집 방법을 정리한 것이다.
  • 본 연구는 극한기후 중 폭설에 의한 도시의 설해취약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사회기반시설중 주요 피해시설인 도로, 특히 고지대에 위치한 국지도로 및 산복도로의 지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통사고 발생 빈도가 높은 지역 도로의 지형적 특성을 통해 예상위험지역을 추정하고 도출된 지역들을 대상으로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 설해피해를 저감시키고 폭설 적응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먼저 취약지역선정 및 위험도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지 역내 도로가 위치한 지형적 특성(경사도, 향, 표고)을 중심으로 설해예상위험지역을 선정하고 해당 지역의 위험도를 평가함으로 적응정책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여러 기후변화 사상 중 폭설이 도시에 미치는 위험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자연적 요인, 사회적 요인, 적응 요인 등을 평가하였다. 인구가 집중되어 있는 도시는 사회기반시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그 기능이 마비될 경우 큰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
  • 셋째, 새로운 가설이나 이론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만일 어떤 사건이 일어난다면 그 결과가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모델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첩의 기능 중 세 번째 기능을 활용한 것으로 폭설에 취약하고 매우 민감한 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민감도 모델링을 설정하고 중첩기능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 앞서 고지대에 위치한 도로지역의 지형적 특성들을 중첩분석 하여 설해에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들을 선정하였다. 본 장에서는 선정된 지역들이 속해 있는 행정구역(동 단위)별로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고 그 정도에 따라 설해대비 우선적으로 조치되어야 할 지역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국립방재연구소(2003)는 제설방법의 메뉴얼 작성, 제설제 선정 및 사용방법, 제설장비 구비, 교통 통제기준 정립 그리고 도상 모의훈련 및 제설체제 구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들은 주로 기후변화에 대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한 사회기반시설 전반에 걸친 취약성 평가 또는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 및 취약성 지표 개발을 실시하였다. 이는 특정 지역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다 하더라도 기후변화 개별사상에 대하여 특정 사회기반시설의 취약성 분석을 한 사례는 아직까지 진행된 바가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첩(overlay)의 개념? 중첩(overlay)의 개념은 하나의 커버리지 위에 다른 커버리지를 올려놓고 두 커버리지에 나타난 형상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중첩의 기능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회기반시설의 역할은? 특히, 사회기반시설은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도구로서 그 적응역량을 강화하는 것은 기후변화에 대응한 좋은 접근방법이 될 수 있다. 인구가 집중되어 있는 도시는 사회기반시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그 기능이 마비될 경우 큰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
중첩의 기능 세가지는? 중첩의 기능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중첩을 통해 형상들 간의 공간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분석적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셋째, 새로운 가설이나 이론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만일 어떤 사건이 일어난다면 그 결과가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모델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첩의 기능 중 세 번째 기능을 활용한 것으로 폭설에 취약하고 매우 민감한 지역을 선정하기 위한 민감도 모델링을 설정하고 중첩기능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Shim, J.-H., Lee, S.-H. (2008). "A study on the decision making for location selection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8, No. 5D, pp. 705-712 (in Korean). 

  2. Lee, H.-Y., Shim, J.-H. (2011).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Bobmunsa. pp. 306-322 (in Korean). 

  3. Lee, C.-H. (2006). Development of the regional safety assesment model in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in Korean). 

  4. Ryu, G.-Y., Kim, I.-A.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index,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 Korean). 

  5. Myung, S.-J. (2009). Assess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of the physical infrastructure in korea and developing adaptation strategies, Korea Environment Institure (in Korean). 

  6. Pusan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2005). Natural disaster relief in winter, 2005, Pusan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in Korean). 

  7. Pusan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2010). Natural disaster relief in winter, 2010, Pusan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in Korean). 

  8. KRIHS (2005). GIS application methods for national territorial disaster prevention,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in Korean). 

  9. IPCC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Fourth Assessment Report : Climate Change 2007 (AR4). 

  10. IPCC (2001). The scientific basis, Third Assessment Report : Climate Change 2001 (TA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