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용 및 약용버섯의 항산화 및 In vitro 항암 효과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5, 2013년, pp.655 - 662  

치용카이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흔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임양이 (성신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용버섯(표고버섯과 아가리쿠스버섯)과 약용버섯(영지버섯, 동충하초, 차가버섯,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산화효과와 인체 암세포(AGS, HCT-116, 및 HepG2) 성장 저해율, apoptosis 유도에 관련된 Bcl-2, Bax 유전자, 그리고 염증에 관련된 iNOSCOX-2 유전자의 분석을 통해 식용버섯과 약용버섯의 in vitro 항암효과를 비교하였다. DPPH와 hydroxy radical($OH{\cdot}$) 소거능력은 표고버섯, 아가리쿠스버섯, 동충하초,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순으로 높았으며, 식용버섯보다는 약용버섯의 항산화효과가 더 높았고, 약용버섯 중 차가버섯과 상황버섯의 항산화효과는 78%와 90%로 상황버섯이 가장 우수하였다(p<0.05). AGS 위암세포, HCT-116 결장암세포, HepG2 간암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는 식용버섯인 아가리쿠스버섯과 표고버섯 추출물은 5~40%, 약용버섯인 영지버섯과 동충하초 추출물은 28~79%, 상황버섯과 차가버섯 추출물은 75~91%로 나타났다. Apoptosis 유도에 관련된 Bcl-2 및 Bax 유전자 발현과 염증에 관련된 iNOS 및 COX-2 유전자 발현은 표고버섯, 아가리쿠스버섯, 동충하초,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순으로 apoptosis를 유도하는 작용과 세포의 발암(염증) 유도과정을 억제하는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상황버섯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함량이 각각 317.2 mg/g 및 35.7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차가버섯, 영지버섯, 동충하초, 아가리쿠스버섯, 표고버섯 추출물 순으로 함량이 낮아졌다. 식용버섯보다 약용버섯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유량이 많았고, 이들 화합물 함량이 많을수록 항산화효과와 인체 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가 높아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the edible mushrooms Lentinus edodes (LE, Pyogo mushroom) and Agaricus blazei (AB, Agaricus mushroom), and the medicinal mushrooms Cordyceps militaris (CM, Dong chunghacho), Ganoderma lucidum (GL, Youngji mushroom), Inonotus obliquus (IO, Chaga mushroom),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용버섯과 약용버섯 중에서 기능성 소재로 사용되거나, 항암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고, 환자들의 회복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어지는 표고버섯, 아가리쿠스버섯, 동충하초, 영지버섯, 차가버섯, 상황버섯 6가지를 선택하여 항산화효과와 소화기계통의 인체 위암, 대장암 및 간암세포를 이용한 in vitro 항암효과와 이들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식용버섯 및 약용버섯을 기능성식품의 소재로 이용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섯이란? 버섯은 고등균류로써 담자균강과 일부의 자낭균강에 속하는 종으로 동양에서는 기원전부터 식용 혹은 약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여 왔다(1). 버섯은 향미성분이 풍부하고 단백질과 지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 다당류, 비타민 및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버섯에는 어떤 성분이 함유되어있는가? 버섯은 고등균류로써 담자균강과 일부의 자낭균강에 속하는 종으로 동양에서는 기원전부터 식용 혹은 약용 등의 목적으로 사용하여 왔다(1). 버섯은 향미성분이 풍부하고 단백질과 지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 다당류, 비타민 및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항암활성, 면역증강, 항산화 등의 약리효과가 밝혀지면서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1).
버섯의 약리효과는 무엇인가? 버섯은 향미성분이 풍부하고 단백질과 지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 다당류, 비타민 및 무기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항암활성, 면역증강, 항산화 등의 약리효과가 밝혀지면서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1). 우리나라에는 약 1,150여종의 버섯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중 330여종이 식용 및 약용버섯으로 활용 가능하고, 약 20여종 이상이 인공 재배되어 대부분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Moradali MF, Mostafavi H, Ghods S, Hedjaroude GA. 2007. Immunomodulating and anticancer agents in the realm of macromycetes fungi (macrofungi). Int Immunopharmacol 7: 701-724. 

  2. Kim SS, Kim YS. 1990. Korean mushrooms. Yupoo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 3. 

  3. Kim HJ, Lee IS. 2004. Anti-mutagenic and cytotoxic effects of Korean wild mushrooms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62-668. 

  4. Choi SJ, Lee YS, Kim JK, Lim SS.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edible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87-1096. 

  5. Yang JH, Lin HC, Mau JL.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commercial mushrooms. Food Chem 77: 229-235. 

  6. Mus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 519-526. 

  7. Choi YH, Kim MJ, Lee HS, Yun BS, Hu C, Kwak SS. 1998. Antioxidative compounds in aerial parts of Potentilla fragariodes. Korean J Pharmacogn 29: 79-85. 

  8. Nakajima A, Ishida T, Koga M, Takeuchi T, Mazda O, Takeuchi M. 2002.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Agaricus blazei Murill on antibody-producing cells in mice. Int Immunopharmacol 2: 1205-1211. 

  9. Chang HL, Chao GR, Chen CC, Mau JL. 2001. Non-volatile taste components of Agaricus blazei, Antrodia camphorata and Cordyceps militaris mycelia. Food Chem 74: 203-207. 

  10. Mizuno M, Morimoto M, Minato K, Tsuchida H. 1998. Polysaccharides from Agaricus blazei stimulate lymphocyte T-cell subsets in mice. Biosci Biotechnol Biochem 62:434-437. 

  11. Bak SS, Kong CS, Rhee SH, Rho CW, Kim NK, Choi KL, Park KY. 2007. Effect of sulfur enriched young radish kimchi on the induction of apoptosis in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J Food Sci Nutr 12: 79-83. 

  12. Chung EJ, Kim SY, Nam YJ, Park JH, Hwang HJ, Lee-Kim YC. 2005. Effects of kale juice powder on serum lipids, folate and plasma homocysteine levels in growing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75-1181. 

  13. Choi EJ, Kim SH, Shim SH, Chung HJ, Bang WS. 2012.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n-hexane fractions from Spatholobus suberectus (SS), Scutellsria barbata (SB), Psoralea corylifolia (PC), Curcuma zedoaria (CZ), Schisandra chinensis (SC), and Corydalis turtschaninovii (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93-497. 

  14. Ryu DY, Kim MS, Min OJ, Kim DW. 2008. Antioxidative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 Korean J Plant Res 21: 91-95. 

  15. Woisky RG, Salatino A. 1998. Analysis of propolis: some parameters and procedures for chemical quality control. J Apicult Res 37: 99-105. 

  16. Sohn HY, Shin YK, Kim JS. 2010.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solid-state fermented medicinal herbs using Phellinus baumii against human colorectal HCT116 cell. J Life Sci 20: 1268-1275. 

  17. Kim JK, Bae JT, Lee JW, Hwang Bo MH, Im HG, Lee IS. 2005. Antioxidative activity and inhibition effects on human leukemia cells of edible mushrooms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2: 80-85. 

  18. Choi YH, Park C, Jung IH, Choi BT, Lee YT, Park DI, Jeong YK. 2005. In vitro cytotoxic effects of wine produced by Phellinus linteus fermentation.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19: 950-954. 

  19. Hong MH, Jin YJ, Pyo YH. 2012. Antioxidant properties and ubiquinone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several commercial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35-1241. 

  20. Li YG, Ji DF, Zhong S, Zhu JX, Chen S, Hu GY. 2011. Antitumor effects of proteoglycan from Phellinus linteus by immunomodulating and inhibiting Reg IV/EGFR/Akt signaling pathway in colorectal carcinoma. Int J Biol Macromol 48: 511-517. 

  21. Huang HY, Chieh SY, Tso TK, Chien TY, Lin HT, Tsai YC. 2011. Orally administered mycelial culture of Phellinus linteus exhibits antitumor effects in hepatoma cell-bearing mice. J Ethnopharmacol 133: 460-466. 

  22. Chung BH, Seo HS, Kim HS, Woo SH, Cho YG. 2010.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fermentation vinegars with Phellinus liteus, Inonotus obliquus, and Pleurotus ostreatu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 113-117. 

  23. Li G, Kim DH, Kim TD, Park BJ, Park HD, Park JI, Na MK, Kim HC, Hong ND, Lim K, Hwang BD, Yoon WH. 2004.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om Phellinus linteus induces G2/M phase arrest and apoptosis in SW480 human colon cancer cells. Cancer Lett 216: 175-181. 

  24. An BJ, Bae MJ, Choi HJ, Zhang YB, Sung TS, Choi C. 2002. Isolation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Korean persimmon (Diospyrus kaki L. Folium).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212-217. 

  25. Yayeh T, Oh WJ, Park SC, Kim TH, Cho JY, Park HJ, Lee IK, Kim SK, Hong SB, Yun BS, Rhee MH. 2012. Phellinus baumii ethyl acetate extract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OS, COX-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 in RAW264.7 cells. J Nat Med 66: 49-54. 

  26. Choi SJ, Lee YS, Kim JK, Kim JK, Lim SS.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 from edible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87-1096. 

  27. Kim JO, Jung MJ, Choi HJ, Lee JT, Lim AK, Hong JH, Kim DI. 2008.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84-6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