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지는 버섯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버섯 추출물의 유효성분 함량(polyphenol, $\beta$-glucan)과 저분자고분자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혈전용해 활성, 면역증강 및 항염증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체 수율은 식용버섯이 약용버섯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beta$-glucan의 함량은 표고버섯(33.5%)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olyphenol 함량은 약용버섯인 상황버섯(LMW)이 233.23 mg/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애느타리버섯(LMW) 12.18 mg/g, 송이버섯(LMW) 11.72 mg/g 순으로 확인되었다. 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는 ascorbic acid 0.5 mg/mL에서 95.91%의 저해율을 나타낸 것에 비하여 상황버섯(LMW, 10 mg/mL)이 80.74%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 측정에서는 대부분의 버섯 추출물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에서는 pH의 감소에 따라 소거능이 증가하였고, 상황버섯(LMW)이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처럼 버섯 추출물의 항산화능력 측정에서 phenol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약용버섯으로 사용되는 상황버섯이 식용버섯(송이버섯, 새송이버섯, 양송이버섯, 느타리버섯, 애느타리버섯, 표고버섯, 팽이버섯) 보다 LMW 분획에서 우수한 항산화 능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혈전용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 대부분의 LMW 분획물들은 혈전용해 활성을 갖지 않았으며, 송이 버섯(HMW, 50 mg/mL)이 60.4%의 가장 높은 혈전용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AW 264.7 cell을 이용한 대식세포 활성능(NO 생성)을 측정한 결과 LMW 분획에서는 대식세포 활성능력이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대조군인 LPS 500 ng/mL를 첨가한 상태에서 $32.9\;{\mu}M$의 NO를 생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표고버섯(HMW, $500\;{\mu}g/mL$) $39.86\;{\mu}M$, 송이버섯 $35.17\;{\mu}M$의 NO 생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약용버섯인 상황버섯(HMW)은 NO 생성능력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RAW 264.7 cell로부터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상황버섯(LMW) $500\;{\mu}g/mL$의 농도에서 NO의 생성을 100% 저해하였고, 새송이버섯(LMW)은 $50\;{\mu}g/mL$에서 58.14%, $500\;{\mu}g/mL$에서 67.79%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henol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상황버섯(LMW)은 일반적인 식용버섯에 비해 항산화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혈전용해능력(송이버섯, I)과 면역증강(표고버섯, VII) 그리고 항염증(새송이버섯, II)에서는 식용버섯의 HMW 분획물이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of fresh mushrooms. The components were extracted by hot water; subsequently, the hot-water extract was subjected to 60% ethanol precipitation to yield high-molecular-weight (HMW) and low-molecular-weight (LMW) frac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버섯(송이버섯, 새송이버섯, 양송이버섯, 느타리버섯, 애느타리 버섯, 팽이버섯, 표고버섯)과 약용버섯으로 널리 알려진 상황버섯을 대상으로 유효성분 함량 비교를 위하여 β-glucan,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저분자와 고분자로 분획하여 이들 각각의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지는 버섯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버섯 추출물의 유효성분 함량(polyphenol, β-glucan)과 저분자및 고분자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혈전용해 활성, 면역증강및 항염증 활성 등을 측정하였다.
  • 7 cell을 이용하여 대식세포 활성능 및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혈전용해 능력 측정을 위하여 fibrinolytic 활성을 비교하였다. 이와 같이 상황버섯을 포함한 일반적으로 식용하고 있는 버섯류들로부터 다양한 생리활성을 측정함으로써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Concentration of mushroom extracts was 50 mg/mL. Plasmin (2.
  • 2)Values in th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3)All values are expressed as mean±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s.
  • 3)Values in th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4)Values in th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섯의 일반균류와 다른 특징은? 버섯은 분류학적으로 균류에 속하나 일반적인 균류와 다르게 포자를 형성하기 위한 대형의 자실체를 만드는 것이 특징으로 대부분 담자균류와 자낭균류에 속하는 고등균류 이다. 버섯은 풍미가 뛰어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무기질, 비타민 및 미네랄 등의 각종 영양소를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리활성 물질들을 생산함으로써 예로 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온 식품이다(1).
항산화제 중 천연 항산화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조직의 방어기구에서 해리되지 못한 활성산소는 노화, 암, 관절염 등에 직·간접적으로 생체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5). 활성산소를 조절할 수 있는 항산화제는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reductase 등의 효소 계열의 예방적 항산화제(6)와 phenol성 화합물, tocopherol류, ascorbic acid, carotenoid, glutathione, 아미노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가 있으며(7),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 anisole(BHA)와 butylated hydroxy toluene(BHT) 등은 안전성에 대하여 논란이 제기되어 현재에는 허용대상 식품이나 사용량이 법적으로 엄격히 규제되어 있다(8). 이처럼 천연으로부터 산화반응 및 radical의 반응성을 억제할 수 있는 항산화물질을 찾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는 상품화되고 있다.
염증반응에서 NO가 어떻게 암 발생을 유도하는가? NO는 NOS의 효소 촉매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자유라디칼로 혈압조절과 신경전달 매개체로 면역반응에 중추적 역할을 하지만, 지속적 과발현은 오히려 점막손상을 촉진하고, 그 결과 일부에서는 암 발생 등의 질환을 유도한다. 이처럼 염증과 암 사이의 연관성은 150년 전부터 알려져 왔으며, 1863년 Virchow는 만성염증이 발생한 부위에서 암이 발생 되는 경향성이 높다고 보고되었다(3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no Z, Rajarathnam S. 1988. Pleurotus mushrooms. Part II. Chemical composition, nutritional value, post-harvest physiology, preservation, and role as human food. Crit Rev Food Sci Nutr 27: 87-158. 

  2. Park SY, Kim JW. 1992. Screening and isolation of the antitumor 

  3. Yoon KY, Lee SH, Shin SR. 2005.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arcodon aspra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942-947. 

  4. Block G, Langseth L. 1994. Antioxidant vitamins and disease prevention. Food Technol 48: 80-84. 

  5. Fukuzawa K, Takaishi Y. 1990. Antioxidants. J Act Oxy Free Rad 1: 55-70. 

  6. Duh PD, Tu YY, Yen GC.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Harng Jyur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Lebensm Wiss Technol 32: 269-277. 

  7. Osborn-Barnes HT, Akoh CC. 2003. Effect of $\alpha$ -tocopherol, $\beta$ -carotene, and isoflavones on lipid oxidation of structured lipid-based emulsions. J Agric Food Chem 51: 6856-6860. 

  8. Yen GC, Hsieh CL. 1998.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Du-zhong (Eucommia ulmoides) toward various lipid peroxidation models in vitro. J Agric Food Chem 46: 3431-3436. 

  9. Nakajima A, Ishida T, Koga M, Takeuchi M. 2002. Effect of hot water extract from Agaricus blazei Murill on antibody-producing cells in mice. Int Immunopharmacol 2: 

  10. Hui LC, Guei RC, Chin CC, Jeng LM. 2001. Non-volatile taste components of Agaricus blazei, Antrodia camphorata and Cordycps millitaris mycelia. Food Chem 74: 203-207. 

  11. Mizuno M, Morimoto M, Minato K, Tsuchida H. 1998. Polysaccharides from Agaricus blazei stimulate lymphocyte T-cell subsets in mice. Biosci Biotechnol Biochem 62: 434-437. 

  12. Kubo M, Tatsuda H, Nogami M, Arichi S, Takahashi T. 

  13. Kabir Y, Kimura S. 1989. Dietary mushrooms reduce blood pressur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 J Nutr Sci Vitamino 35: 91-94. 

  14. Folin O, Ciocalteu V. 1927. On tyrosine and tryptophane determination in proteins. J Biol Chem 27: 627-650. 

  15.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1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7.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18.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19. Astrup A, Mullertz S. 1952. The fibrin plate method for estimating fibrinolytic activity. Arch Biochem Biophys 40: 

  20. Fallarero A, Peltoketo A, Loikkanen J, Tammela P, Vidal 

  21. Ballance GM, Manners DJ. 1978. Structural analysis and enzymic solubilization of barley endosperm cell walls. Carbohydr Res 61: 107-113. 

  22. Jung EB, Jo JH, Cho SM. 2008. Nutritional compone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various extracts from Haesongi mushroom (Hypsizigus marmoreus). J Korean Soc Food 

  23. Hong JH, Youn KS, Choi YH. 2004. Characteristics of crude protein-bound polysaccharide from Agaricus blasei Murill by extraction and precipitation conditions and its antitumor 

  24. An Bj, Bae MJ, Choi HJ, Zhang YB, Sung TS, Choi C. 2002. 

  25. Ahmad N, Gupta S, Mukhtar H. 2000. Green tea polyphenol epigallocatechin-3-gallate differentially modulates nuclear factor ${\kappa}B$ in cancer cells versus normal cells. Arch Biochem Biophys 376: 338-346. 

  26. Kim JO, Jung MJ, Choi HJ, Lee JT, Lim AK, Hong JH, 

  27. Cheung LM, Cheung CK, Vincent ECO. 2003.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of edible mushroom extracts. 

  28. Kitani K, Minami C, Amamoto T, Kanai S, Ivy GO, Carrillo 

  29. Lim TS, Do JR, Kwon OJ, Kim HK. 2007.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garicus bisporus extracts as affected by solv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83-388. 

  30. Yun YP, Kang WS, Lee MY. 1996. The antithrombotic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s. J Food Hyg Safe 11: 77-82. 

  31. Kim JH, Yoo KH, Seok SJ. 2007. Screening test of wild mushroom methanol extracts for fibrinolytic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J Exp Biomed Sci 13: 245-249. 

  32. Stamlar JS, Singel DJ, Loscalzo J. 1992. Biochemistry of nitric oxide and its redox-activated forms. Science 258:1898-1902. 

  33. Lowenstein CJ, Synder SH. 1992. Nitirc oxide, novel biological messenger. Cell 70: 705-707. 

  34. Kim MS, Cho HB. 2007. Immune enhancing effects of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mycelial cultivate of Agaricus blazei Murill. The Korean J Microbiol 43: 292-297. 

  35. Galla HJ. 1993. Nitric oxide, NO, an intrercellular messenger. 

  36. Lorsbach RB, Murphy WJ, Lowenstein CJ, Snyder SH, 

  37. Balkwill F, Mantovani A. 2001. Inflammation and cancer:back to Virchow? Lancet 357: 537-545. 

  38. Yang KS, Jang HJ, Kim AK, Pyo MY. 2007. Inhibitors of nitric oxide syntheasis from Phellinus pini in murine macrophages. Yakhak Hoeji 51: 430-4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