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안 섬초(시금치) 분말을 대체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Manufactured with Shinan Seomcho (Spinacia oleracea L.)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5, 2013년, pp.766 - 773  

고상희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빙동주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순실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신안 섬초 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식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신안 섬초 분말 2, 4, 6 및 8%를 대체한 식빵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신안 섬초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pH와 총산도는 대조군과 대체군과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식빵의 비용적과 굽기 손실률은 신안 섬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수분 함량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수분 활성도는 대조군과 대체군과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식빵의 색도 측정 결과 crust의 L, a, b값은 신안 섬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rumb의 L, a 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p<0.05),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식빵의 경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p<0.05), 부서짐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복원성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관능검사 결과 색상, 향기, 부드러움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신안 섬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신안 섬초 분말을 대체한 식빵의 제조 시 2~4%로 대체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hite bread was prepared with Shinan seomcho powder (SSP). Different amounts of SSP were tested (2, 4, 6 and 8%) to determine the optimal amount. The samples and a control were compared for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pH, total titratable acidity, specific volume, baking los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능적 특성으로 인해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신안 섬초를 이용한 제빵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안 섬초 분말 2, 4, 6 및 8%를 첨가한 반죽의 pH와 총산도를 측정하고, 식빵의 품질 특성인 pH, 총산도, 비용적, 굽기손실률, 수분함량, 수분활성도, 색도, 조직감, 표면 관찰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신안 섬초 분말을 대체한 식빵의 최적 배합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신안 섬초 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식빵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신안 섬초 분말 2, 4, 6 및 8%를 대체한 식빵을 제조하여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Means with different small letter superscripts in each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1)Moisture content of wheat flour=12.73%.
  • 2)Moisture content of Shinan seomcho powder=3.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금치의 효능은? 시금치는 비타민 A의 전구체인 카로틴과 아스코르빈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많은 무기질과 유기산을 함유되어 있는 엽채류 중 하나이다(3). 또한 시금치에는 사포닌과 부드러운 섬유소가 들어있어 변비에도 효과가 있으며 철과 엽산이 있어 빈혈 예방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4). 일반적으로 육지의 시금치는 포항초, 남해초, 동해초 등이 있으며, 섬에서 생산되는 시금치로는 전남 신안군에서 재배되는 신안 섬초가 있다(5).
시금치의 출하 시기는? )는 명아주과에 속하는 자웅이주의 1∼2년생 작물로, 우리나라에는 1500년대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예로부터 겨울철 최고의 채소로서 출하 시기도 12월부터 4월까지 집중되고 있는데, 영양적 가치가 뛰어나 국민의 건강식품으로서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시금치는 비타민 A의 전구체인 카로틴과 아스코르빈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많은 무기질과 유기산을 함유되어 있는 엽채류 중 하나이다(3).
시금치가 함유한 물질은? 예로부터 겨울철 최고의 채소로서 출하 시기도 12월부터 4월까지 집중되고 있는데, 영양적 가치가 뛰어나 국민의 건강식품으로서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시금치는 비타민 A의 전구체인 카로틴과 아스코르빈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많은 무기질과 유기산을 함유되어 있는 엽채류 중 하나이다(3). 또한 시금치에는 사포닌과 부드러운 섬유소가 들어있어 변비에도 효과가 있으며 철과 엽산이 있어 빈혈 예방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4). 일반적으로 육지의 시금치는 포항초, 남해초, 동해초 등이 있으며, 섬에서 생산되는 시금치로는 전남 신안군에서 재배되는 신안 섬초가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Jung IC. 2006. Rheolog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with added mugwort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332-343. 

  2. Moon BS, Lee KS. 1995. Food material. Soohaksa, Seoul, Korea. p 76. 

  3. Kim NY, Yoon SJ, Jang MS. 1993. Effect of blanching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kind of spinach. Korean J Soc Food Sci 9: 204-209. 

  4. Shin YM, Kwon OY, Lee KJ, Kim HY, Kim MR. 2005. Storage characteristics of tofu added with spinach juice. Chungnam J Human Ecology 18: 75-82. 

  5. Na HS, Kim JY, Mun H, Choi GC, Jeong SH, Cho JY, Ma SJ. 201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hinan seomcho (Spinacia olerecea L.) Korean J Food Preserv 17: 652-658. 

  6. http://www.seomcho.com/sub04/sub01.do. Oct. 20, 2012. 

  7. Jang JJ, Cho KJ, Lee YS, Bae JH. 1991. Modifying responses of allyl sulfide, indole-3-carbinol and germanium in a rat multi-organ carcinogenesis model. Carcinogenesis 12: 691-695. 

  8. Mochizuki H, Kada T. 1982. Antimutagenic effect of Ge-132 on gamma-ray-induced mutations in Escherichia coli B/r WP2 trp-. Int J Radiat Biol Relat Stud Phys Chem Med 42: 653-659. 

  9. Suzuki F, Brutkiewicz RR, Pollard RB. 1986. Cooperation of lymphokine(s) and macrophages in expression of antitumor activity of 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 (Ge-132). Anticancer Res 62: 177-182. 

  10. Aso H, Suzuki F, Yamaguchi T, Hayashi Y, Ebina T, Ishida N. 1985. Induction of interferon and activation of NK cells and macrophages in mice by oral administration of Ge-132, an organic germanium compound. Microbiol Immunol 29:65-74. 

  11. DiMartino MJ, Lee JC, Badger AM, Muirhead KA, Mirabelli CK, Hanna N. 1986. Antiarthritic and immunoregulatory activity of spirogermanium. J Pharmacol Exp Ther 236:103-110. 

  12. Sasaki K, Ishikawa M, Monma K, Takayanagi G. 1984. Effect of 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 (Ge-132) on the acute inflammation and CCl4 induced hepatic damage in mice. Pharmacometrics 27: 1119-1131. 

  13. Kumano N, Nakai Y, Ishikawa T, Koinumaru S, Suzuki S, Konno K. 1978. Effect of carboxyethylgermanium sesquioxide on the methylcholathrene-induced tumorigenesis in mice. Sci Rep Res Inst Tohoku Univ 25: 89-95. 

  14. Lee HM, Chung Y. 1991. Effects of organic germanium on metallothionein induction in liver and kidney of cadmium and mercury intoxicated rats. Yakhak Hoeji 35: 99-110. 

  15. Ho CC, Cherm YF, Lin MT. 1990. Effects of organogermanium compound 2-carboxyethyl germanium sesquioxide on cardiovascular function and motor activity in rats. Pharmacology 41: 286-291. 

  16. Moon SW, Park SH.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chungkukjang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33-639. 

  17. Choi KS, Oh YJ. 2008. Effect of steam-dried Hizikia fusiformis powder on the rheological and sensory profile of bread. Korean J Culinary Research 14: 11-20. 

  18. Lee SY, Kim KBWR, Song EJ, Kim JH, Kim AR, Kim MJ, Moon JH, Kang HM, Lee HD, Hong YK, Ahn DH. 2008. Effect of extracts from Sargassum siliquastrum on shelflife and quality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490-496. 

  19. An HL, Lee KS, Park S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mesangi (Capsosiphon fulvecense). J East Asin Soc Dietary Life 18: 563-568. 

  20. Shin GM. 2008. Rheological properties of flour dough added powder of Poria cocos Wolf. Korean J Food Preserv 15:197-202. 

  21. Lee SB, Lee KH, Lee K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mulberry extracts. J East Asin Soc Dietary Life 18: 805-811. 

  22. Park WP, Cho SH, Lee SC, Kim S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owder and concentrate of Prunus mume . Korean J Food Preserv 15: 682-686. 

  23. Bae JY, Park LY, Lee SH. 2008. Effects of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on making wheat flour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08-913. 

  24. Min SH, Lee BR. 2008.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on yeast bread baking quality. Korean J Food Culture 23: 228-234. 

  25. Shin GM, Kim D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Angelica gigas nakai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5: 497-504. 

  26. Lee SJ, Paik JE, Han MR. 2008. Effect of xylitol on bread properties. Korean J Food & Nutr 21: 56-63. 

  27. He H, Hoseney RC. 1991. Gas retention of different cereal flours. Cereal Chem 68: 334-336. 

  28. Arbeitsgemeinschaft Getreideforschung e.V. (Association of cereal research). 1994. Standard-Methoden fuur Getreide, Mehl und Brot. 7th ed. Verlag Moritz Schaafer, Detmold, Germany. p 283-287. 

  29. Shin DH, Lee YW. 2002. Quality attributes of bread with soybean milk residue-wheat flour. Korean J Food & Nutr 15: 314-320. 

  30. Park IK, Kim MK, Kim SD. 2000. Studies on preparation and quality of kimchi-brea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 229-238. 

  31. Kim YS,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wheat white bread with substituted Nelumbo nucifera G. tea powder. Korean J Food & Nur 21: 448-456. 

  32. Ki MR, Kim RY, Chun SS. 2005. Effects of kimchi powder on the quality of white bread doug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334-339. 

  33. Jung SI, Shin EJ, Choi SU. 2010. Properties and preservation of the plain bread changed by the addition of chrysanthemum powder. J Life Sci 20: 197-201. 

  34. Jung HS, Noh KH, Go MK, Song YS. 1999. Effect of leek (Allium tuberosum) powder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s. J Korean Soc Food Sci Nurt 28: 113-117. 

  35. Kim SH, Lee HJ, Paik JE, Joo NM.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y of bread with cabbage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431-441. 

  36. Chae CG.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with flour partly substituted by roasted brown rice flour.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angju, Korea. 

  37. Mathewson PR. 2002. Enzymatic activity during bread baking. Cereal Foods World 45: 98-101. 

  38. Bae JH, Lee JH, Kwon KI, Im MH, Park GS, Lee JG, Choi HJ, Jeong SY.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bread prepared by addition of jujube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03-610. 

  39. Freund W. 1995. Backerei-Konditorei Management V. Verfahrenstechnik Brot und Kleingeback. Gildebuchverlag, Alfeld, Germany. p 97. 

  40. Seo JH, Kang HW, Han J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Jajang noodles with added spinac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278-289. 

  41. Pomeranz Y, Shogren MD, Finney KF, Bechtel DB. 1977. Fiber in breadmaking-effects on functional properties. Cereal Chem 54: 25-41. 

  42. Choi SN, Chung NY.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buckwhea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64-670. 

  43. Im JG, Kim Y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by the addition of black soybean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334-342. 

  44. Moon HK, Han JH, Kim JH, Kim GY, Kang WW, Kim JK.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dried persimmons hot-water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723-729. 

  45. Kim MY, Lee JH, Lee SK.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containing HPMC, MC, and sodium algin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278-283. 

  46. Han IJ, Kim RY, Kim YM, Ahn CB, Kim DW, Park KT, Chun S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with red ginseng marc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242-249. 

  47. Jeong CH, Cho HJ, Shim K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chlorella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465-471. 

  48. Lee JY, Lee KA, Kwak EJ. 2009.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57-7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