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리잎차 분말을 대체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with Barley Leaves Tea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26 no.4, 2010년, pp.398 - 405  

염경훈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문용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순실 (순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hite bread was prepared containing 1.5, 3.0, 4.5 or 6.0% barley leaves tea powder (BLTP). The samples along with a control were then compared regarding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pH, total titratable acidity, fermentation power of dough expansion, specific volume, bak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리잎차 분말을 1.5, 3.0, 4.5, 6.0%로 대체하여 식빵 반죽의 pH, 총산도 및 발효 팽창력을 살펴보았고, 식빵의 품질 특성인 pH, 총산도, 비용적, 굽기 손실률, 수분함량, 색도, 조직감, 내부 표면 관찰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생리적 기능성이 강화된 보리잎차 식빵의 최적 배합비를 찾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Moisture content of wheat flour = 14.00%.
  • 2) Moisture content of barley leaves tea powder = 2.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리잎이 산화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 노화, 면역력 저하, 각종 성인병 및 암 발병률 증가 등에 대한 방어 대책으로서 매우 효과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현대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체 방어 역할과 신체리듬 조절을 하는 기능성 물질의 시장은 급신장세를 보이고 있고, 그에 따른 학계와 업계의 활발한 연구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보리(Hordeum vulgare L.)잎은 신체의 노화와 암, 각종 성인병과 만성질환에 영향을 주는 활성산소를 저해하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인 SOD(superoxide dismutase), 2"-O-GIV (2"-O-Glycosylisovitexin), 베타카로틴, 비타민 E 및 비타민 C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산화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 노화, 면역력 저하, 각종 성인병 및 암 발병률 증가 등에 대한 방어 대책으로서 매우 효과적이다. 보리잎은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클로로필 및 효소 등 생리활성을 갖는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생리 활성 조절 능력이 있는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고자 하는 요구에 부합되는 천연 건강식품 소재이다(Kim KT 등 2003).
보리잎의 생리활성을 갖는 영양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따라서 산화에 의해 발생되는 피부 노화, 면역력 저하, 각종 성인병 및 암 발병률 증가 등에 대한 방어 대책으로서 매우 효과적이다. 보리잎은 아미노산, 비타민, 무기질, 클로로필 및 효소 등 생리활성을 갖는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생리 활성 조절 능력이 있는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고자 하는 요구에 부합되는 천연 건강식품 소재이다(Kim KT 등 2003).
보리잎에 관한 국내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보리잎에 관한 국내 연구로는 고지방을 급여한 마우스의 지질 함량과 간조직의 지질대사 관련 효소활성(Yang EJ 등 2009), 건조방법을 달리한 잎의 품질 특성(Park SJ 등 2008), 침출 조건에 따른 황산화능 비교(Jang JH 등 2007), 차분말의 제조와 품질특성(Kim DC 등 2006), saponarin 함량과 항산화성의 품종간 차이(Ryu SN 등 2002), 품종별 이화학적 특성(Kim KT 등 1995), 성숙시기별 이화학적 특성(Kim KT 등 1994), 잎에서 분리된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Lee YC 등 1994) 등이 있다. 또한, 보리잎을 식품에 직접 이용한 연구는 설기떡(Park HY와 Jang MS 2007)과 찜케이크(Seo MJ 등 2006) 등으로 매우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보리잎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성곤, 조남지, 김영호. 1999. 제과제빵과학. 비앤씨월드. 서울. pp 119-120 

  2.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0. 식품영양실험핸드북. 도서출판 효일. 서울. pp 96-110 

  3. Arbeitsgemeinschaft Getreideforschung e.V. 1994. Standard-Methoden fur Getreide, Mehl und Brot(in German). 7th ed. Verlag Moritz Schafer. Detmold, Germany. pp 283-287 

  4.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5. An HL, Lee KS, Park S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Mesangi(Capsosiphon fulvecens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4):563-568 

  6. Bae JY, Park LY, Lee SH. 2008a. Effects of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on making wheat flour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7):908-913 

  7. Bae JY, Park LY, Lee SH. 2008b. Effects of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on making wheat flour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9):1196-1201 

  8. Choi KS, Oh YJ. 2008. Effect of steam-dried Hizikia fusiformis powder on the rheological and sensory profile of bread. Korean J Culinary Research 14(1):11-20 

  9. Freund W. 1995. Backerei-Konditorei Management V.: Verfahrenstechnik Brot und Kleingeback(in German). Gildebuchverlag. Alfeld(Leine), Germany. p 97 

  10. He H, Hoseney RC. 1992. Effect of quantity of wheat flour protein on bread loaf volume. Cereal Chem 69(1):17-19 

  11. Jang JH, Choi HS, Cheong HS, Kang OJ. 2007. A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barley leaf tea and green tea according to leaching conditions in distilled wat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2):165-172 

  12. Joung HS, Park DG, Shin GM. 2008. Quality of white pan bread of Cordycep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5): 781-788 

  13. Kim DC, Kim DW, Lee SD, In MJ. 2006. Preparation of barley leaf powder teat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6):734-737 

  14. Kim EJ, Kim SM. 1988.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3):542-547 

  15. Kim HS, Kang JS. 2008.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read by medicinal herb composites with immunostimulating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109-116 

  16. Kim KT, Kim SS, Lee SH, Kim DM. 2003. The functionality of barley leaves and its application on functional foods. Food Science and Industry 36(1):45-49 

  17. Kim KT, Seog HM, Kim SS. 1994.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rley leaves during growth. Korean J Food Sci Technol 26(4):471-474 

  18. Kim KT, Seog. A HM, Kim SS, Hong HD, Lee YT, Kim JG. 1995. Chemical composition of barley leaves from different varieties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38(5):431-434 

  19. Kim YH. 2008. Effect of bread with added silkworm powder and cholesterol on lipid metabolism of rat. Korean J Food Nutr 21(3):306-311 

  20. Kim YS,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mestic wheat white bread with substituted Nelumbo nucifera G. tea powder. Korean J Food Nutr 21(4):448-456 

  21. Lee SB, Lee KH, Lee K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mulberry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5):805-811 

  22. Lee SJ, Paik JE, Han MR. 2008. Effect of xylitol on bread properties. Korean J Food Nutr 21(1):56-63 

  23. Lee SY, Kim KB, Song EJ, Kim JH, Kim AR, Kim MJ, Moon JH, Kang HM, Lee HD, Hong YK, Ahn DH. 2008. Effect of extracts from Sargassum siliquastrum on shelf-life and quality of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4):490-496 

  24. Lee YC, Son JY, Kim KT, Kim SS. 1994.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isolated from barley leaves. Korean J Food & Nutrition 7(4):332-337 

  25. Min SH, Lee BR, 2008.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on yeast bread baking quality. Korean J Food Culture 23(2):228-234 

  26. Moon SW, Park SH.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Chungkukjang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5):633-639 

  27. Park HS, Choi KM, Han GD. 2008. Changes of breadmaking characteristics with the addition of rice bran, fermented rice bran and rice bran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 109-116 

  28. Park HS, Han GD. 2008. Characteristics of breadmaking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fermented rice bran. Korean J Food Culture 23(1):62-67 

  29. Park HY, Jang MS. 2007. Ingredient mixing ration optimization for the preparation of Sulgidduk with barley(Hordeum vulgare L.) sprou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4): 550-560 

  30. Park SJ, Joung YM, Choi MK, Kim YK, Kim JG, Kim KH, Kang MH. 2008. 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leaf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60-65 

  31. Park WP, Cho SH, Lee SC, Kim S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owder and concentrate of Prunus mume. Korean J Food Preserv 15(5):682-686 

  32. Ryu SN, Lee EJ, Lee CW. 2002. Varietal difference of saponari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 barley leaf. Korean J Breed 34(1):46-49 

  33. Seo MJ, Jung SJ, Jang MS. 2006. Optimization of ingredient mixing ration for preparation of steamed foam cake with barley(Hordeum vulgare L.) sprouting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6):815-824 

  34. Shin G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added with Poria cocos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4):554-562 

  35. Shin GM, Kim D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Angelica gigas nakai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5(4):497-504 

  36. Shin GM, Park JY. 2008. Chan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the powder of Poria cocos Wolf. Korean J Food Preserv 15(2):231-235 

  37. Yang EJ, Cho YS, Choi MS, Woo MN, Kim MJ, Shon MY, Lee MK. 2009. Effect of young barley leaf on lipid contents and hepatic lipid-regulating enzyme activities in mice fed high fat diet. Korean J Nutr 42(1):14-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