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75D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a 1.75D Ultrasonic Transducer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2 no.3, 2013년, pp.199 - 207  

이원석 (경북대학교 기계공학과) ,  노용래 (경북대학교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압전단결정으로 구성된 $64{\times}8$ 채널 1.75D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설계, 제작 및 평가를 하였다. 우선, 평면 배열된 독립소자에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트랜스듀서의 구조를 선정하고 구조에 맞게 구성소자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트랜스듀서의 세부 구조를 설계하였다. 트랜스듀서의 주요 성능요소로서, 치폭의 너비와 재료를 조절하여 소자간 상호간섭의 영향을 줄이고, 압전단결정 및 정합층의 최적 두께를 설계함으로써 트랜스듀서의 원하는 대역폭을 구현하였다. 설계에 맞게 트랜스듀서 시편을 제작하고 실험적으로 그 특성을 측정한 후, 그 결과를 유한요소 해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개발된 트랜스듀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a $64{\times}8$ channel 1.75D ultrasonic transducer made of piezoelectric single crystals was designed, fabricated, and evaluated. First, a structure of the transducer was selected to be suitable for wiring on a planar array, and components were fabricated to correspond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능동소자로는 압전단결정을 사용하며, 길이 방향으로 64개 채널, 폭 방향으로 8채널로 구성되며, 각 독립소자는 개별제어가 가능한 총 64×8 채널의 1.75D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설계 및 제작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D 트랜스듀서는 어떤 한계가 있는가? 그 중초음파 트랜스듀서는 현재 독립소자가 1차원으로 배열되어 단면 영상 획득이 가능한 1D 트랜스듀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1D 트랜스듀서는 폭 (elevation) 방향으로 독립소자의 크기가 정해져 있어 초점 거리가 일정하기 때문에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구간이 제한적이고, 폭 방향으로 다른 단면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트랜스듀서를 이동시켜야 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폭 방향으로 보다 많은 독립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폭 방향으로 독립소자를 다시 배열하는 형태의 다차원 배열형 (multi-dimensional array) 트랜스듀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초음파 영상 진단 장치의 구성은? 초음파 영상진단 장치는 CT(Computed Tomography) 나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와 더불어 의료 영상 진단도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초음파 영상 진단 장치는 초음파의 발생 및 측정이 가능한 초음파 트랜스듀서와 영상을 표현하는 진단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영상 품질의 향상을 위해 트랜스듀서와 진단시스템의 고성능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초음파 트랜스듀서는 현재 독립소자가 1차원으로 배열되어 단면 영상 획득이 가능한 1D 트랜스듀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차원 배열형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가? 이상과 같은 다차원 배열형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일정한 면적 내에 다수의 독립소자가 모여 있기 때문에, 소자 간의 상호간섭이 크고 따라서 개별소자의 주파수 대역폭이 작고 방사패턴이 왜곡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개개 소자의 높은 입력 임피던스에 의해 신호처리를 위한 전자모듈과의 정합이 어렵고, 신호대 잡음비가 낮으며, 독립 소자의 수가 많아 처리해야 할 신호가 많아져 전자 모듈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었는데, 대표적으로 부분구동 배열(sparse array) 을 통해 신호처리 채널의 수를 줄이며 적절한 빔패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 W. Smith, G. E. Trahey, and O. T. von Ramm, "Twodimensional arrays for medical ultrasound," in Proc. IEEE Ultrason. Symp., 628-628 (1991). 

  2. C. M. W. Daft, D. G. Wildes, L. J. Thomas, L. S. Smith, R. S. Lewandowski, W. M. Leue, K. W. Rigby C. L. Chalek, and W. T. Hatfield, "A 1.5D transducer for medical ultrasound," in Proc. IEEE Ultrason. Symp., 1491-1495 (1994). 

  3. J. Zhang, Q. Xue, and S. Ogawa, "1.5 diemensional arrays for effective dynamic focusing and receiving," in Proc. IEEE Ultrason. Symp., 1531-1534 (1996). 

  4. P. Tournois, S. Calisti, Y. Doisy, J. M. Bureau, and F. Bernard, "A $128{\times}4$ channels 1.5D curved linear array for medical imaging," in Proc. IEEE Ultrason. Symp., 1331- 1335 (1996). 

  5. D. G. Wildes, R. Y. Chiao, C. M. W. Daft, K. W. Rigby, L. S. Smith, and K. E. Thomenius, "Elevation performance of 1.25D and 1.5D transducer arrays," IEEE Trans. Ultrason,, Ferroelect., Freq. Contr. 44, 1027-1037 (1997). 

  6. R. L. Goldberg and S. W. Smith, "Multilayer piezoelectric ceramics for two-dimensional array transducers," IEEE Trans. Ultrason,, Ferroelect., Freq. Contr. 41, 761-771 (1994). 

  7. S. S. Brunke and G. R. Lockwood, "Braod-bandwidth radiation pattern of sparse two-dimensional vernier arrays," IEEE Trans. Ultrason,, Ferroelect., Freq. Contr. 44, 1101- 1109 (1997). 

  8. P. K. Weber, R. M. Schmitt, B. D. Tylkowksi, and J. Steck, "Optimization of random sparse 2-D transducer arrays for 3-D electronic beam steering and focusing," in Proc. IEEE Ultrason. Symp., 1503-1506 (1994). 

  9. R. McKeighen, "Finite element simulation and modeling of 2-D arrays for 3-D ultrasonic imaging," IEEE Trans. Ultrason,, Ferroelect., Freq. Contr. 44, 1395-1495 (1997). 

  10. W. Lee and Y. Roh, "New design of the kerfs of an ultrasonic two-dimensional array transducer to minimize cross-talk," Jpn. J. Appl. Phys., 49, 07HD06, 2010. 

  11. S. H. Lee and Y. R. Roh, "Characterization of all the elastic, piezoelectric and dielectric constants of tetragonal PMN-PT single crystals," Jpn. J. Appl. Phys. 46, 4462-4465 (2007). 

  12. C. S. Desilets, J. D. Fraser, and G. S. Kino, "The design of efficient broad-band piezoelectric transducers," IEEE Trans. on Sonics and Ultrasonics 25, 115-125 (1978). 

  13. R. E. Davidsen and S. W. Smith, "Two-dimensional arrays for medical ultrasound using multilayer flexible circuit interconnection," IEEE Trans. Ultrason,, Ferroelect., Freq. Contr. 45, 338-.348 (1998). 

  14. L. Daane and M. Greenstein, "A demountable interconnect system for a 50 X 50 ultrasonic imaging transducer array," IEEE Trans. Ultrason,, Ferroelect., Freq. Contr. 44, 978-982 (1997). 

  15. R. E. McKeighen, "Design guidelines for medical ultrasonic arrays," Proc. SPIE Int'l Symposium on Medical Imaging 3341, 2-18 (1998). 

  16. R. E. McKeighen, "Optimization of broadband transducer designs by use of statistical design of experiments," IEEE Trans. Ultrason,, Ferroelect., Freq. Contr. 43, 63-70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