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 MHz 의료용 고주파 선형 배열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a 20 MHz high frequency linear array ultrasonic transducer for medical use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5 no.6, 2016년, pp.466 - 472  

이원석 (알피니언메디칼시스템(주)) ,  노용래 (경북대학교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분해능 초음파 영상 획득이 가능한 20 MHz 대역의 의료용 초음파 선형 배열 트랜스듀서를 개발하였다. 먼저 고주파 음파의 전파가 용이한 트랜스듀서의 구조를 고안한 후, 구성소자의 최적치수를 도출하였다. 이후 설계에 따라 트랜스듀서의 제작공정을 개발하고, 트랜스듀서 시편의 제작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제작된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중심주파수가 19 MHz이고, 비대역폭이 84.5 %, 감도의 표준편차가 0.74 dB로 측정되었다. 측정 결과는 설계 결과와 잘 일치하였으며, 이에 의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고주파 초음파 트랜스듀서 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트랜스듀서는 새로운 구조에 의해 기존의 20 MHz 트랜스듀서에 비해 더 넓은 주파수 대역폭과 균일한 감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work, a medical linear array ultrasonic transducer working in the range of 20 MHz has been developed for high-resolution ultrasonic imaging. After devising the structure of the transducer suitable for the transmission of high-frequency waves, we optimized the dimension of constituent comp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각막, 홍채, 힘줄, 인대와 같은 근거리 영역에서 고분해능의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의료용 선형 배열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개발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초음파의 전파 효율을 증대시키면서 트랜스듀서의 제작성을 높이고 구조적으로 강성을 가질 수 있는 새로운 트랜스듀서의 구조를 고안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고분해능 의료용 초음파 영상 획득이 가능한 20 MHz 대역의 초음파 선형 배열 트랜스듀서를 개발하였다. 트랜스듀서를 이루는 압전소자와 정합층들의 두께를 최적설계하고, 그에 따라 트랜스듀서 시편을 제작한 후 특성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음파 영상진단 장치의 장점 및 단점은 무엇인가? 의료용 영상진단 장치인 CT(Computed Tomography) 및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는 높은 분해능을 가진 의료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비해 초음파 영상진단 장치는 영상의 분해능은 다소 낮지만, 인체 유해성이 작고 실시간 영상 획득이 가능하여 의료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초음파 영상의 품질은 축분해능(axial resolution) 및 측분해능(lateral resolution)에 좌우된다.
초음파 영상의 품질은 무엇에 의해 좌우되는가? 그에 비해 초음파 영상진단 장치는 영상의 분해능은 다소 낮지만, 인체 유해성이 작고 실시간 영상 획득이 가능하여 의료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초음파 영상의 품질은 축분해능(axial resolution) 및 측분해능(lateral resolution)에 좌우된다.[1] 먼저 축분해능은 트랜스듀서로부터 방사된 음파의 길이가 짧을수록 높아지는데, 이때 음파의 길이는 주파수가 높아지면 파장이 짧아져 줄어든다.
초음파 영상의 품질의 측분해능은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하지만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감쇠가 커져 음파가 도달할 수 있는 거리가 짧아지며, 이로 인해 초음파가 인체 깊은 곳으로 전파되기 어려워 영상화 가능한 영역이 줄어들고 구성소자의 두께가 얇아져 트랜스듀서의 제작이 어려워진다. 다음으로 측분해능은 음향 빔의 폭이 좁을수록 높아지는데, 음향 빔은 파장 대비 음원의 유효길이 및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배열구조 트랜스듀서의 경우 축분해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파수를 높였을 때, 파장이 짧아져 각 독립소자의 수광각이 좁아지는 것으로 인해 음향 빔 형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자 소자간 간격을 줄이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 A. J. Angelsen, Ultrasound Imaging. Waves, Signals, and Signal Processing, Vol 1 (Emantec AS, Trondheim, 2000), pp. 1.3-1.51. 

  2. H. H. Kim, J. M. Cannata, J. A. Williams, J. H. Chang, and K. Kirk Shung, "Fabrication of 20 MHz convex array transducers for high frequency ophthalmic imaging," in Proc. IEEE Int. Ultrason. Symp. 1130-1133 (2009). 

  3. H. H. Kim, C. Hu, J. Park, B. J. Kang, J. A. Williams, J. M. Cannata, and K. Kirk Shung,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high frequency convex array transducers," in Proc. IEEE Int. Ultrason. Symp. 650-653 (2010). 

  4. C. T. Chiu, J. A. Williams, B. J. Kang, T. Abraham, and K. Kirk Shung,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20 MHz microlinear phased array transducer for intervention guidance," in Proc. IEEE Int. Ultrason. Symp. 2121-2124 (2014). 

  5. E. Brodal, F. Melandso, and S. Jacobsen, "Performance of an ultrasonic imaging system based on a 45-MHz linear PVDF transducer array: a numerical study," Adv. Acoust. Vib. 2011, 984596 (2011). 

  6. M. Nakazawa, M. Tabaru, T. Takayasu, T. Aoyagi, and K. Nakamura, "100-MHz ultrasonic linear array transducers based on polyurea-film," Acoust. Sci. Technol. 36, 139-148 (2015). 

  7. A. Iula, A. Savoia, and G. Caliano, "Capacitive microfabricated ultrasonic transducers for biometric applications," Microelectron. Eng. 88, 2278-2280 (2011). 

  8. Y. Lu and D. A. Horsley, "Modeling,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iezoelectric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 arrays based on cavity SOI wafers," J. Microelectromech. Syst. 24, 1142-1149 (2015). 

  9. R. Manwar and S. Chowdhury, "Experimental analysis of bisbenzocyclobutene bonded capacitive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s," Sensors (Basel) 16, 959 (2016). 

  10. W. Lee and Y. Roh, "Design and fabrication of a 1.75D ultrasonic transducer" (in Korean), J. Kr. Sens. Soc. 32, 199-207 (2013). 

  11. Z. Ugray, L. Lasdon, J. Plummer, F. Glover, J. Kelly, and R. Marti, "Scatter search and local NLP solvers: a multistart framework for global optimization," INFORMS J. Comput. 19, 328-340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