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권역별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에 대한 고찰
Estimation of Regional Agricultural Water Demand over the Jeju Island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2 no.5, 2013년, pp.639 - 649  

최광준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송성호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김진성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임찬우 (한국농어촌공사 제주지역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96.2% of the agricultural water in Jeju Island is obtained from groundwater and there are quit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water demand/supply spatially because of regional and seasonal differences in cropping system and rainfall amount. Land use for cultivating crops is expe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의 농업용수 개발현황과 시기별 지역별 물이용 특성의 차이 등을 분석하고 향후 2020년 작물재배 면적 추정에 따른 권역별 농업용수 필요수량을 산정하여 제주도의 지역별 농업용수 공급 대책 방안 수립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의 제주도의 농업형태는 어떤 실정인가? 특히 500 ㎥/일 미만의 소형 농업용 사설관정이 전체 지하수 관정의 73%를 차지하고 있어 지하수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체계적인 보전․관리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JSSGP와 KRC, 2012). 한편 제주도의 농업형태는 종전 식량작물 및 노지 과수원 중심에서 시설원예․특작․노지채소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농업용수 수요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공공 농업용수의 공급은 용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Song과 Choi, 2012). 이는 기존 농업용수 공급시설이 관정별로 이루어져 있어 시설 간 연계 이용체계 구축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수리계 단위의 시설물 운영․관리 제도에서 비롯되고 있다(JSSGP와 KRC, 2004, 2012).
제주도의 농업용수 개발사업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제주도의 농업용수 개발사업은 196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어 2011년 말 현재 도 전체적으로 908×103 ㎥/일의 농업용수원이 개발되었지만, 전체의 96.2%인 874×103 ㎥/일이 지하수로 이루어져 지표수 및 용천수의 농업용수 이용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실정이다(JSSGP, 2012).
제주도의 농업용수 개발사업은 어떤 문제점을 내제하고있는가? 2%인 874×103 ㎥/일이 지하수로 이루어져 지표수 및 용천수의 농업용수 이용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실정이다(JSSGP, 2012). 또한 지하수를 이용하는 농업용수 공급시설 대부분이 관정별 단위로 구성된 반면, 관리 주체는 수리계와 지방행정계로 이분화되어 농업용수 이용 및 시설물 관리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특히 500 ㎥/일 미만의 소형 농업용 사설관정이 전체 지하수 관정의 73%를 차지하고 있어 지하수자원의 효율적 이용과 체계적인 보전․관리를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JSSGP와 KRC, 2012). 한편 제주도의 농업형태는 종전 식량작물 및 노지 과수원 중심에서 시설원예․특작․노지채소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농업용수 수요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공공 농업용수의 공급은 용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Song과 Choi,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

  1. 송성호, 최광준. 기후변화와 관련한 제주지역 농업용수의 효율적 활용 방안(I).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ol.17, no.2, 62-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