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용 지하수의 실제 이용량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use of Agricultural Groundwater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2 no.5, 2017년, pp.13 - 22  

송성호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명우호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이규상 (한국농어촌공사 지하수지질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urate assessment of agricultural groundwater usage is an essential task to cope with drought that occurs irregularly in time and location. In this study, the agricultural groundwater usage was calculated in nationwide public wells (1,386 bedrock wells) during 5-year period (2010-2014) by using 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012년 이후 최근까지 경기도와 충청남도 서북부의 가뭄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농업가뭄의 영향이 가장 심하게 나타난 강화도에 대하여 강수량 변화에 따른 지하수 이용량을 분석하였다. 강화도의 농업용 공공관정 중 본 연구에 이용된 관정은 평균 10개소로, 공당 평균 허가량은 204 m3 /day로 나타났다(Table 3).
  • 가동시간은 각 관정별로 월별 전력 사용량(kWh)을 수중모터 펌프의 출력(kW)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특히 월별 전력 사용량은 직전 1개월 동안의 사용량이므로, 실제 분석에 이용된 지하수 이용량 계산 결과는 1달 이전으로 정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전국적으로 분포한 농업용 공공관정 24,485개(MAFRA and KRC, 2016) 중 단독으로 월별 전력 사용량이 기록되어 월별 지하수 이용량의 평가가 가능한 전작 및 답작 농업용수 용도의 암반관정 1,386개소를 대상으로, 총 5년간 (2010~2014) 월별 지하수 이용량 자료를 기초로 지하수 이용량을 계산하였다. 각 관정별 지하수 이용량을 기초로 지역별로 관정별 허가량 대비 실제 월별 평균 이용량 및 월별 최대 이용량을 이용한 가뭄 대비 최대 평균 이용량을 산정하였으며, 최근 농업가뭄이 심각한 강화도를 대상으로 강수량 변화에 따른 월별 이용량을 분석하여 가뭄을 대비한 정책 자료에 활용토록 결과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한 농업용 공공관정 24,485개 중 단독으로 월별 전력 사용량이 기록되어 월별 지하수 이용량의 평가가 가능한 암반관정 1,386개소를 대상으로, 총 5년간(2010~2014) 월별 지하수 이용량을 계산하였다. 각 관정별 지하수 이용량을 기초로 지역별로 관정별 허가량 대비 실제 월별 평균 이용량 및 월별 최대 이용량을 이용한 가뭄 대비 최대 평균 이용량을 산정하였으며, 최근 농업가뭄이 심각한 강화도를 대상으로 강수량과 월별 이용량을 분석하여 실제 농업용 관정의 사용 현황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 이때, 수중모터 펌프 효율(ηp)은 KS 기준에 따른 토출량을 기준으로 결정하였으며, 치차감속기 전달효율(ηg)은 수중모터 펌프에 별도의 장치가 없으므로 전달효율에 의한 효과를 무시하기 위하여 1로 설정하여 계산하였다.

대상 데이터

  •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월별 전력사용량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월별 지하수 이용량 평가에 사용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24,485개의 공공관정 가운데 월별 전력 사용량 평가가 가능한 1,386개소의 농업용 공공관정 중 가동실적이 없거나 1년간의 사용 전력량을 일괄적으로 관리하는 관정을 제외하고, 5년간의 월별 전기료 징수 실적이 있는 평균 605개소(539~666개소)의 관정을 대상으로 월별 이용량을 분석하였다(Fig. 1, Table 1). 관정 분포는 내륙지역에서는 전라북도가 평균 155개소로 가장 많은 반면 충청남도가 40개소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전국적으로 분포한 농업용 공공관정 24,485개(MAFRA and KRC, 2016) 중 단독으로 월별 전력 사용량이 기록되어 월별 지하수 이용량의 평가가 가능한 전작 및 답작 농업용수 용도의 암반관정 1,386개소를 대상으로, 총 5년간 (2010~2014) 월별 지하수 이용량 자료를 기초로 지하수 이용량을 계산하였다. 각 관정별 지하수 이용량을 기초로 지역별로 관정별 허가량 대비 실제 월별 평균 이용량 및 월별 최대 이용량을 이용한 가뭄 대비 최대 평균 이용량을 산정하였으며, 최근 농업가뭄이 심각한 강화도를 대상으로 강수량 변화에 따른 월별 이용량을 분석하여 가뭄을 대비한 정책 자료에 활용토록 결과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한 농업용 공공관정 24,485개 중 단독으로 월별 전력 사용량이 기록되어 월별 지하수 이용량의 평가가 가능한 암반관정 1,386개소를 대상으로, 총 5년간(2010~2014) 월별 지하수 이용량을 계산하였다. 각 관정별 지하수 이용량을 기초로 지역별로 관정별 허가량 대비 실제 월별 평균 이용량 및 월별 최대 이용량을 이용한 가뭄 대비 최대 평균 이용량을 산정하였으며, 최근 농업가뭄이 심각한 강화도를 대상으로 강수량과 월별 이용량을 분석하여 실제 농업용 관정의 사용 현황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용 지하수의 이용량의 산정이 어려운 이유는? 농업용 지하수의 이용량은 유량계 설치 유무, 농업용수 필요 시기의 가뭄 여부, 주변지역의 농업 형태, 수리지질 구조에 따른 관정 규모 등 다양한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정확한 평가가 어렵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펌프 용량, 토출관 구경, 관정 심도, 작물 종류, 수혜면적 등의 영향인자들을 기초로 관정 가동 일수를 다르게 적용하여 이용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생활용 및 공업용에 비해 농업용 지하수 이용량 산정이 어려운 이유는? 이 중 지하수 관정수는 최근까지 폐공찾기 운동 등 다양한 지하수자원 보전 활동 등을 통하여 비교적 정확한 통계로 제공되고 있지만, 지하수 이용량은 용도별로 자료 획득 방식에서 다양한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실제 이용량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지하수 용도 중 일정 규모 이상의 생활용 및 공업용 관정은 사용료 징수를 위한 계량기를 이용하여 비교적 정확한 이용량 측정이 가능한 반면, 농업용 지하수는 일정 규모 이하의 관정에 대해서 별도의 계량기 설치가 의무화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이용량 산정이 불가능한 현실이다. 따라서 용도별로 기존 관정에 대한 허가량 대비 실제 이용량의 차이가 발생될 소지가 매우 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지역적인 지하수 개발 가능량 평가에 어려움이 발생된다.
우리나라의 지하수 관정 및 이용량 중 농업용은 각각 얼마인가? 우리나라의 지하수 관정 및 이용량은 각각 1,626,719개와 4,094백만 m3/년으로, 이 중 농업용은 752,056개(46.2%)와 2,113백만 m3/년(51.6%)로 타 용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MOLIT and Kwater, 2016). 이러한 용도별 관정수 및 이용량 변동은 매년 행정구역 및 수계별로 갱신되어, 정부의 지하수 보전·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정책 및 제도 수립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Kim, J.W., Jun, H.P., Lee, C.J., Kim, N.J., and Kim, G.B., 2013, Groundwater-use estiamtion method based on field monitoring data in South Korea, J. Eng. Geol., 23(4), 467-476. 

  2. KRC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04, Report on the establishment of master plan for agricultural water in Jeju Island. 

  3. KRC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09, Report on the estimation of agricultural groundwater use. 

  4. KSA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005, A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design standards for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maintenance business(pumping and drain station), Rural Development Corporation, 622 p. 

  5. MAFRA (Ministry of Agricultural, Food, and Rural Affairs) and KRC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land and water development for agriculture, 654p. 

  6.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Kwater, 2016, Annual report of groundwater survey. 

  7. Park, W.B., Koh, G.W., Kim, B.S., Moon, D.C., and Yang, S.K., 2004, Estimation of agricultural groundwater withdrawal and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use in Jeju Island, Proceedings of KoSSGE 2004 Spring Conference, Incheon, Korea, 110-113. 

  8. Woo, N.C., Joe, M.J., and Kim, N.J., 1994,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ethod for groundwater use, J. Eng. Geol., 4(3), 297-309. 

  9. Yong, H.H., Song, S.H., Myoung, W.H., An, J.G., and Hong, S.W., 2017, Current status and application of agricultural subsurface dams in Korea, J. Soil and Groundw. Environ., 22(3), 18-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