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약전에 수재된 식물성 한약재의 학명에 대한 재고
Reconsideration about Nomenclature of Herbs Listed in the Korean Pharmacopoeia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8 no.3, 2013년, pp.61 - 68  

도의정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  이금산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A precise and simple system of nomenclature was required to avoid error, ambiguity or confusion. Although medicinal plants must be produced or distributed based on a pharmacopoeia described origin including scientific name, the Korean Pharmacopoeia tenth edition (KP 10) had many nam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약전의 기원을 ‘肉桂 Cinnamomum cassia (L.) J.Presl (= C. cassia(L.) D.Don )의 樹皮’와 같이 정명과 동명의 倂記로 바꿀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약전 제 10 개정(이하 KP 10)6)에 수재된 식물성 한약재의 학명을 대상으로 명명규약에 의거하여 합법명(legitimate) 또는 비합법명(illegitimate), 이명(synonym), 인정명(accepted name) 등을 제공하는 데이타베이스(이하 DB)를 교차 검색하고 관련 연구를 고찰하여 올바른 학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약 자가규격제도는 언제 폐지되었는가? 2012년 4월 1일 이래로 '한약 자가규격제도'가 폐지되고 규격품 사용이 의무화되었으므로 한약재는 공정서를 근거로 제조 및 유통되어야 한다. 특히 공정서에 기록된 기원은 한약재로 사용되는 동식광물의 기초 자료 및 사용 가능성에 대한 근거가 되므로 정확성 및 보편성을 담보하고 있어야 함은 자명하다.
공정서의 한약재 기원은 무엇을 포함해야 하는가? 특히 공정서에 기록된 기원은 한약재로 사용되는 동식광물의 기초 자료 및 사용 가능성에 대한 근거가 되므로 정확성 및 보편성을 담보하고 있어야 함은 자명하다. 일반적으로 공정서의 한약재 기원은 대상이 되는 동식광물명(Common name), 학명(Scientific name), 가공포제법(Processing method), 약용부위(Medicinal part), 채취시기(Harvesting season) 등을 모두 포함하여 기술되어야 하는데, 이 중 기원 서술에 정확성을 부여하기 위한 학명의 사용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기원 서술에 정확성을 부여하기 위한 학명의 사용을 위해 제정된 규약은? 국제식물학회는 오류 또는 불명확성, 과학적 혼란을 피하거나 받아들이지 않기 위하여 분류군 명명의 안정적 방법에 대한 규정을 목적으로 국제명명규약(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이하 명명규약)을 제정1)하였다. 이 규약의 주요 원칙에 따라 지어진 학명은 출판물에 유효하게(effective) 발표되어야 합법적(valid)이라 함과 동시에, 합법적인 이름을 합법명(legitimate)으로, 그렇지 못한 이름을 비합법명(庶名, illegitimate)라 하여 구분하고 비합법명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2),주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Mcmeill J, Barrie FR, Buck WR, et al.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2012[cited 2013 Apr 10]. Available from : URL : http://www.iapt-taxon.org/nomen/main.php 

  2. Lee YS. Modern Plant Taxonomy. Seoul : Woosung. 2002 : 35. 

  3. Chang CS, Kim H. Reconsideration of Nomenclature of Korean Woody Plants. J Kor For Soc. 2003 ; 92(1) : 71-86. 

  4. Ju JS, Lee SI, Jeong JG. Study on the Origin of the Herbal Medicinal woody Plants Genus from Herbology textbook. Kor J Herbology. 2002 ; 27(4) : 89-97. 

  5. Lee SI, Jeong JG. Ethymology of species names of woody herbal medicines from herbology textbook. Kor J Herbology. 2002 ; 27(4) : 59-71. 

  6.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The Korean Pharmacopoeia tenth edition. The KFDA Notification No. 2012-129. 2012 Dec 27th. 

  7. The Plant List, Version 1. 2010[cited 2013 Feb-Apr]. Available from : URL : http://www.theplantlist.org/ 

  8. The International Plant Names Index. 2012[cited 2013 Feb-Apr]. Available from : URL : http://www.ipni.org/ 

  9. eFloras. Missouri Botanical Garden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2008 [cited 2013 Feb-Apr]. Available from : URL : http://www.efloras.org/ 

  10.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Royal Botanic Gardens, Kew. 2008 [cited 2013 Feb-Apr]. Available from : URL : http://apps.kew.org/wcsp/home.do 

  11. Tropicos. Missouri Botanical Garden. 2002[cited 2013 Feb-Apr]. Available from : URL : http://www.tropicos.org/ 

  12. Yonekura K, Kajita T. YList, BG Plants Japanes name - Scientific name database. Japan. 2003[cited 2013 Feb-Apr]. Available from : URL : http://bean.bio.chiba-u.jp/bgplants 

  13. Flann C, ed. Global Compositae Checklist. 2009[cited 2013 Feb-Apr]. Available from : URL : http://compositae.landcareresearch.co.nz/ 

  14. Bisby F, Roskov Y, Senavirathne I, Barter G. International Legume Database & Information Service, Version 10. 2005[cited 2013 Feb-Apr]. Available from : URL : http://www.ildis.org/ 

  15. Korean Plant Names Index. 2009[cited 2013 Feb-Apr]. Available from : URL : http://www.nature.go.kr/kpni/ 

  16. Chinese Pnat Names. 2008[cited 2013 Feb-Apr]. Available from : URL : http://www.efloras.org/flora_page.aspx?flora_id3 

  17. Kim H, Lee HS, Park HN, Jang JS. Invalid Names Published by T. B. Lee. Korean J Pl Taxon. 2005 ; 35(3) : 211-26. 

  18. Dianxiang Z, Hartley TG, Mabberley DJ, eds. Rutaceae. In: Flora of China. Beijing : Science Press & MO :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2008 ; 11 : 90-6. 

  19. Palomino G, Martinez P, Bernal C, Souza M. Diferencias Cromosomicas Entre Algunas Especies de Los Generos Sophora L. Y Styphnolobium Schott. Ann Mo Bot Gard. 1993 ; 80(1) : 284-90. 

  20. Heenan PB, Dawson MI, Wagstaff SJ. The relationship of Sophora sect. Edwardsia (Fabaceae) to Sophora tomentosa, the type species of the genus Sophora, observed from DNA sequence data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Bot J Linn Soc. 2004 ; 146(4) : 439-46. 

  21. Pena RC, Iturriaga L, Montenegro G, Cassels BK. Phylogenetic and biogeographic aspects of Sophora sect. Edwardsia (Papilionaceae). Pac Sci. 2000 ; 54(2) : 159-67. 

  22. Hong DY, ed. Campanulaceae. In: Flora Reipublicae Popularis Sinicae, Vol. 73. Beijing : Science Press. 1983 ; 73(2) : 41. 

  23. Hong DY, Ge S, Lammers TG, Klein LL, ed. Campanulaceae. In : Flora of China. Beijing : Science Press & MO :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2011 ; 19 : 515-6. 

  24. The Ministry of Heanlth, Labour and Welfare. The Japanese Pharmacopoeia 16th ed. The Ministry of Heanlth, Labour and Welfare Ministerial Notification No.65. 2011 March 24. Tokyo. 2011 : 1537, 1573. 

  25. Kim JH, Lee GS, Choi GY, Hwang SY, Kim HJ, Jeong SI, Ju YS. A Study on External Internal Morphology and Pattern Analysis of Atractylodes Rhizomes. Kor J Herbology. 2009 ; 24(2) : 77-85. 

  26. Li X, Li J, Werff H, ed. Lauraceae. In: Flora of China. Beijing : Science Press & MO :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2008 ; 7 : 166-87. 

  27. Chang HT, Fu KT, Ho YC, et al. Umbelliferae. In: Flora Reipublicae Popularis Sinicae, Vol. 55. Beijing : Science Press. 1985 ; 55(2) : 242-3. 

  28. She ML, Pu FT, Pan ZH, Watson MF, Cannon JFM, Holmes-Smith I, Kljuykov EV, Phillippe LR, Pimenov MG. Apiaceae. In: Flora of China. Beijing : Science Press & MO :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2005 ; 14 : 144. 

  29. Sun BY, Kim CH, Kim TJ, Kim ST, Suh YB. Systematics of Ostericum (Apiaceae) in Korea. Kor J Plant Tax. 2000 ; 30(2) : 93-104. 

  30. Liao C, Downie S.R., Li Q, Yu Y, He X, Zhou B. New Insights into the Phylogeny of Angelica and its Allies (Apiaceae) with Emphasis on East Asian Species, Inferred from nrDNA, cpDNA, and Morphological Evidence. Systematic Botany. 2013 ; 38(1) : 266-81. 

  31. Chen TZ, Zhang DX, Larsen K, et al. Fabaceae. In: Flora of China. Beijing : Science Press & MO :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2010 ; 10 : 32. 

  32. Compton JA, Culhama A, Gibbingsa JG, Jurya SL. Phylogeny of Actaea including Cimicifuga (Ranunculaceae) inferred from nrDNA ITS sequence variation. Biochem Sys Ecol. 1998 ; 26 : 185-97. 

  33. Shi Z, Greuter W, ed. Carlineae. In: Flora of China. Beijing : Science Press & MO :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2011 ; 20-21 : 39-41. 

  34. Shiba M, Kondo K, Miki E, Yamaji H, Morotaa T, Terabayashi S, Takea S, Sasaki H, Miyamoto KI, Aburada M. Identification of Medicinal Atractylodes Based on ITS Sequences of nrDNA. Biol Pharm Bull. 2006 ; 29(2) : 315-20. 

  35. Guo Y, Kondo K, Terabayashi S, Yamamoto Y, Shimada H, Fujita M, Kawasaki T, Maruyama T, Goda Y, Mizukami H. DNA authentication of So-jutsu (Atractylodes lancea rhizome) and Byaku-jutsu (Atractylodes rhizome) obtained in the market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18S-5.8S r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J Nat Med. 2006 ; 60 : 149-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