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굴절이상 교정상태에 따른 동적시력 변화
Changes in KVA Resulting from Correction Condition of Refractive Error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8 no.2= no.51, 2013년, pp.165 - 171  

심현석 (광주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상현 (광주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  강혜숙 (광주보건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남녀 대학생의 동공크기, 손의 반응력, 굴절이상, 교정시력, 우위안, 정지시각(static visual angle, SVA), 동적시력(kinetic visual acuity, KVA)등을 비교 분석하고, 굴절이상이 완전교정 된 상태에서 남녀 대학생의 KVA를 측정하고, 완전교정상태에 구면굴절력 ${\pm}0.50 $D를 각각 변화시켜 KVA을 측정하여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광학과 남학생 40명, 여학생 40명을 대상으로 KVA 측정장치(KOWA AS-4A)와 손의 반응력 측정 프로그램, 자 타각적 굴절검사기기 등을 이용하여 KVA, SVA, 동공크기, 손의 반응력, 굴절이상, 교정시력, 우위안 등을 측정하였고, 양안 구면굴절력을 ${\pm}0.50$ D 변화시켜 KVA를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의 양안 KVA는 $0.45{\pm}0.22$이고, 단안은 우안 $0.36{\pm}0.19$, 좌안 $0.34{\pm}$0.19로 양안이 단안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SVA가 좋을수록 KVA가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굴절이상은 근시량이 작을수록 KVA가 좋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난시에서는 -1.00 D 이하와 초과로 나눌 때 난시가 작을수록 KVA가 유의하게 좋았다. 굴절이상 교정상태에 따른 KVA는 완전교정일 때 $0.45{\pm}0.22$, 완전교정에 +0.50 D 추가할 때 $0.26{\pm}0.15$, 완전교정에 -0.50 D 추가할 때 $0.48{\pm}0.22$로 근시 교정을 강하게 할 때가 유의수준에서 KV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완전교정, 근시 저교정의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남녀로 구별하여 비교해 볼 때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KVA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KVA와 우위안 비우위안 차이는 없었다. 결론: 따라서, KVA는 원거리 SVA, 난시량, 굴절이상량과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우위안과는 관계가 없었다. KVA를 높이는 굴절이상 처방은 완전교정 또는 근시방향에서 약간 과교정 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re to analyze and to compare between pupillary size, reaction time, refractive error, corrected vision, dominant eye, static visual angle (SVA) and kinetic visual acuity (KVA)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to measure KVA of them in full correction and to identify chang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편이다.[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체와 관찰자 사이에 움직임이 있을 때의 해상력인 동적시력 중 종방향 동적시력인 KVA 을 측정하여 보았다. 특히 안경과 관련하여 교정상태에 따른 KVA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KVA의 향상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체와 관찰자 사이에 움직임이 있을 때의 해상력인 동적시력 중 종방향 동적시력인 KVA 을 측정하여 보았다. 특히 안경과 관련하여 교정상태에 따른 KVA의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KVA의 향상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Yoshimitsu K, Hiroshi Y. Training effects of visual function on college baseball players. Human performance measurement 2004;1(1):15-23. 

  2. Won CH, Mah KC. Sport vision training, 1st Ed. Seoul: Daehakselim, 1993;23-24. 

  3. Junko U, Shingo N, Midori S, Yoshiki Y. Visual function of the junior soccer athletes. Human performance measurement. 2007;4(1):17-24. 

  4. Yoshimitsu K, Hiroshi Y, Keishoku S, Kazuhiro A, Ryoko T. Development and gender differences in dynamic and kinetic visual acuities in children from 8 to 17 years of age. International J Sport and Health Sci. 2008;6(1):128-134. 

  5. Ishigaki H, Miyao M. Differences in dynamic visual acuity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1993;77(3pt1):835-839. 

  6. Rouse MW, DeLand P, Christian R, Hawley J. A comparison study of dynamic visual acuity between athletes and nonathletes. J Am Optom Assoc. 1988;59(12):946-950. 

  7. Hiromi M, Kenji Y, Takeshi Y, Tokio T. The characteristics of kinetic vision in women's table tennis players. Doshisha J Health and Sports Sci. 2010;2(1):26-37. 

  8. Lee MA, Kim YG, Jung JH. Differences of dynamic visual acuity according to optical lens color. J Korean Oph Opt Soc. 2011;16(1):7-11. 

  9. Kim HR, Shin DM, Kim SH, Jeong HY, Kim YG, Jeong JH. A study DVA changes on free-form progressive lens and single vision lens. 2013 Diops optometry conference. 2013;2:87. 

  10. Yi MH, Sin JH.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dynamic visual acuity for visual acuity chart size. Korean J Vis Sci. 2005;7(1):129-133. 

  11. Lee DH, Kim HD. Optical design of on inspection apparatus for dynamic visual acuity. J Korean Oph Opt Soc. 2004;9(2):473-480. 

  12. Shim MS, Kim SH, Kang HS, Shim HS. The study of kinetic visual acuity in college students. Korean J Vis Sci. 2012;17(4):419-424. 

  13. Kakiyama T, Kushima A, Hirota A. Effects of the correction of visual acuity on kinetic visual acuity (KVA) in high school rugby players. Japanese J Physical Fitness and Sports Med. 2004;53(2):255-262. 

  14. Ahn BC. Dynamic and kinetic visual acuity of athletes and nonathletes. J Korean Sports Med. 1998;16(2):238- 244. 

  15. Mochizuki S, Edagawa H, Hasuike M, A study of kinetic visual acuity and refraction in athletes. J Japanese Orthopt. 1998;26(1):25-30. 

  16. Yoshimitsu K, Hiroshi Y, Keishoku S, Kazuhiro H, Kazuhiro A. Kinetic visual acuity and reaction time in male college students. Human performance measurement 2007;4(1):25-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