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기 비만도 지수와 굴절력과의 상관성 연구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he Obesity Index and the Refractive Power in Adolescent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8 no.3 = no.52, 2013년, pp.329 - 339  

이완석 (성덕대학교 안경광학과) ,  예기훈 (백석대학교 안경광학과) ,  신범주 (부산대학교 IT응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영양소 섭취가 중요한 시기인 청소년기에 비만도와 굴절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비만도는 브로카지수(80.0%미만이면 저체중, 80.0~89.9%이면 체중부족, 90.0~109.9%이면 정상, 110.0~119.9%이면 과체중, 120.0%이상 이면 비만)와 체질량지수(18.5이하이면 저체중, 18.6~22.9이면 정상, 23.0~24.9이면 과체중, 25.0이상이면 비만)로 분류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비만도와 굴절력과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브로카지수와 체질량지수분류에 따른 등가구면 굴절력의 분산분석에서 알 수 있듯이 청소년기 15~18세 사이 집단에서 브로카지수와 체질량지수에 따라 등가구면 굴절력과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브로카지수가 정상이면서 정시인 기준안을 기준으로 영양소 섭취를 비교한 결과 저체중 집단은 식이섬유 43.84%, 비타민 C 56.55%, 철 35.20%, 인 31.84%, 그리고 칼륨 38.03%등의 영양 섭취를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시력발달에 중요한 성장의 시기에 다양한 영양소의 균형 잡힌 고른 섭취 및 좋은 식습관에 의한 적정 비만도 유지는 건강과 더불어 건강한 시력을 유지하는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nutrient intake during the adolescent period is a critical time for the development of the vision. Therefore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esity index and the refractive power. Methods: We used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do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상군 설정에 있어 시력 발달에 중요한 시기인 청소년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시기의 영양 섭취 상태가 시력장애 유발 및 감소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하였고, 또한 청소년 시의 영양 섭취 상태와 정도에 따른 성장 또는 발육상태에 따라 시력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본 영양소와 필수 영양소인 다량 영양소, 지용성비타민, 수용성비타민, 미량무기질, 다량 무기질, 수분 등을 통해 영양소 섭취 상태를 확인하였다.
  • 70 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7(Table 7). 성장이 가장 활성화되며 동시에 거의 완성되는 단계인 15세에서 18세의 등가구면 굴절력에 따른 비만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Table 6). 양안으로 나누어 각각 우안과 좌안을 각각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Kim JH. The developing a algorism for the predicting myopia of early school-aged children. PhD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03;7-11. 

  2. Jin YH. Refraction and prescription, 5th Ed. Ulsan: UUP, 2007;73-74,90-91. 

  3. Donder FC. Accommodation and refraction of the eye, 1st Ed. New York.: RE Krieger, 1979;429. 

  4. Dunphy EB, Stoll MR, King SH. Myopia among american male graduate students, Am J Ophthalmol. 1968; 65(4):518-521. 

  5. Goldschmidt E. On the etiology of myopia an epidemiological study. Acta Ophthalmol. 1968;98(1):115-134. 

  6. Lee SJ, Park SJ, Chun YY. Effect on myopia progression wearing eye glasses for school children. 2011;16(2):195- 200. 

  7. Karlsson JL. Genetic factors in myopia. Acta Genet Med. 1976;25(1):292-294. 

  8. Kirby AW, Sutton L, Weiss H. Elongation of cat eyes following neonatal lid suture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82;22(2):274-277. 

  9. Gollender M, Thorn F, Erickson P. Development of axial ocular dimensions following eyelid suture in the cat. Vision Res. 1979;19(2):221-223. 

  10. Wallman J, Gottlieb MD, Rajaram V, Fugate-wenzerk LA. Local retinal regions control local eye growth and myopia. Science. 1987;237(4810):73-77. 

  11. Mutti DO, Zandnik K. The utility of three predictors of childhood myopia: a Bayesian analysis. Vision Res. 1995; 35(9):1345-1352. 

  12. Michaels DD. Visual optics and refraction, 3rd ed. St. Louis: C.V. Mosby, 1985;458-483. 

  13. Criswell MH, Goss DA. Myopia development in nonhuman a primates - a literature review. Am J Optom Physiol Optices. 1983;60(3):250-268. 

  14. Greene PR. Mechanical consideration in myopia: relative effects of accommodation, convergence, intraocular pressure, and extraocular muscle. Am J Optom Physiol Optices. 1980;57(12):902-914. 

  15. Christensen AM, Wallmann J. Evidence that increased scleral growth underlies visual deprivation myopia in chick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1;32(7):2143-2150. 

  16. Rose K. Smith W, Morgan I, Mitchell P.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myopia: implication for Australia. Cli Exp Ophthalmol. 2001;29(3):116-120. 

  17. Rose KA. Smith W, Morgan IG, Mitchell P. High heritability of myopia dose not preclude rapid changes in prevalence. Cli Exp Ophthalmol. 2002;30(3):168-172. 

  18. Park BI, Park YG, Lee HS, Che GW. Study on visual acuity and refractive state in primary school children. J Korean Ophthalmol Soc. 1978;19(4):391-397. 

  19. Kang JE, Jun RM, Lee HJ, Jung SH, Choi KR. Distribution of refractive errors and quantified optometric values in urban elementary fourth graders in Korea. J Korean Ophthalmol Soc. 2004;45(7): 1141-1149. 

  20. Ye KH, Lee 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power and nutrient intake of the growth period in accordance with the income. J. Korean Oph Opt Soc. 2013;18(2): 213-229. 

  21. Berl T, Schrier RW. Disorders of water metabolism. In : Schrier RW. Renal and electrolyte disorders, 4th ed. Philadelphia: Lippincott-Raven, 1997;54. 

  22. Vokes T. Water homeostasis. Ann Rev Nutr. 1987;7(1): 383-406. 

  23. Fanestil DD. Compartmentation of body water. In : Narins RG. Clinical disorders of fluid and electrolyte metabolism, 5th Ed. New York: McGraw-Hill, 1994;3-20. 

  24. Knowler WC, Bennet PH, Ballinitine EJ. Increased incidence of retinopathy in diabetics with elevated blood pressure. a six-year follow up study in Pima Indians. N Engl J Med. 1980;302(12):645-650. 

  25. Tayle HR. The environment and lens. Br J Opthalmol. 1980;64(5):303-310. 

  26. Jacques PF, Chylack LT Jr. Epidemiologic evidence of a role for the antioxidant vitamins and carotenoids in cataract prevention. Am J Clin Nutr. 1991;53(1):352-355. 

  27. Sorsby A, Leary GA, Fraser GR. Family studies on ocular refraction & its components. J Med Gent. 1966;3(4):269-273. 

  28. Saw SM, Nieto FJ, Katz J, Schein OD, Levy B. Chew SJ. Factors related to the progression of myopia in singaporean children. Optom Vis Sci. 2000;77(10):549-554. 

  29. Hong SM. The causative food syndrome, 1st Ed. Seoul: Kugil Media, 2005;30-80. 

  30. Oren A, Vos LE, Uiterwaal CS, Gorisswen WH, Grobbee DE, Bots ML. Change in body mass index from 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and increase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t 28 years of age.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3;27(11):1383-1390. 

  31. Chung BC, Park SH, Lee JY, Lee SW, Chung SC, Kim JG.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indices and risk factors of artherosclerosis in type 2 diabetics. Korean J Obes. 2003;12(2)93-107. 

  32. Kim JM, Bai SR. The risk factors for diabetic retinopathy. J Korean Ophthalmol Soc Vol. 1996;37(5):759-764. 

  33. Kim HK, Kim JH, Jung HK. A comparison of health related habi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blood composition according to gender and weight status of college students in Ulsan. Korean J Nutr. 2012;45(4):336-346. 

  34. Yang HJ. Clear the brain, 1st Ed. Seoul: Bookin, 2011; 200- 260. 

  35. Lee KH, Park MA, Kim ES, Moon HK. A Study on dietary fiber intakes of Kor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4;23(5):767-773. 

  36. Yu KH. Establishment of dietary fiber database and analysis of the dietary fiber intake of the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2001 :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PhD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2009;1-100. 

  37. Curtin BJ. The Myopias: Basic science and clinical management, 1st Ed. Philadelpia: Haper & Row Pulication, 1985;29-201. 

  38. Kim JH, Choi JH, Lee MJ, Moon SJ. An ecological study on eat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 Nutr. 1998;3(2):292-307. 

  39. Park MY, Lee KS, Park SJ. Power food Super food, 1st Ed. Korea. Seoul: Prun Hangbok, 2011;268. 

  40. Kim GN, Son MH, Kim EJ. Consumption of dietary fat and antioxidant vitamins, and associated nutrition knowledge &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2005:Apr. 30:100-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