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험적 방법을 통한 발생학적 한반도 안개 구분과 안개 발생 예측가능성 연구
Study on Classification of Fog Type based on Its Generation Mechanism and Fog Predictability Using Empirical Method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3 no.1, 2013년, pp.103 - 112  

이현동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  안중배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fog classification algorithm to classify fog type based on fog generation mechanism. For the analysis period of 1986-2005, 15,748 fog events had been reported from the 40 observational sites in South Korea. Thus, practically, it is almost impossible to individually cla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상학적으로 안개의 정의는 무엇인가? 기상학적으로 안개란 비, 눈, 우박, 이슬, 서리 등과 같이 대기 중의 수증기가 모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수평 시정이 1 km 미만일 때를 일컫는다 (김광식, 1992). 그러나 미세물리적 정의에 따르면 안개란 대기 중 공기 1 kg에 수증기량이 0.
이류무 발생 시 이류공기의 냉각속도는 무엇에 비례하는가? 이류무는 공기덩이의 강제 냉각이나 이류에 의한 지표면의 증발에 의하여 수증기가 포화되어 응결하면서 발생하는 안개로 온난 습윤한 공기가 찬 해면을 지날 때 공기 덩이 자체의 냉각에 의해 발생하거나, 한랭 건조한 공기가 따뜻한 지표면을 지날 때 지표면으로부터의 증발에 의하여 수증기가 공급되어 발생하는 안개이다. 이 때 이류공기의 냉각속도는 지면과의 온도차, 이류하는 공기의 속도에 비례한다. 우리나라 해상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해무는 이류무 중의 한 종류이다.
이류무는 어떤 조건에서 발생하는 안개인가? 전선무에는 온난전선무, 한랭전선무, 전선 통과무 등이 있다. 이류무는 공기덩이의 강제 냉각이나 이류에 의한 지표면의 증발에 의하여 수증기가 포화되어 응결하면서 발생하는 안개로 온난 습윤한 공기가 찬 해면을 지날 때 공기 덩이 자체의 냉각에 의해 발생하거나, 한랭 건조한 공기가 따뜻한 지표면을 지날 때 지표면으로부터의 증발에 의하여 수증기가 공급되어 발생하는 안개이다. 이 때 이류공기의 냉각속도는 지면과의 온도차, 이류하는 공기의 속도에 비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기상청, 1997: 한반도 연안 해무 특성집. 136 pp. 

  2. 김광식, 1992: 기상학사전. 양문사, 735 pp. 

  3. 김문옥, 1998: 한반도 주변해역의 해무 분포 특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4 pp. 

  4. 김성삼, 이내영, 1970: 한국 안개 기후구 설정에 관하여. 한국기상학회지, 6, 1-15. 

  5. 민경덕, 1976: 경부 고속도로상의 안개 구역에서의 안개 발생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12(1), 13-24. 

  6. 안중배, 남재철, 서장원, 이해진, 2002: 해무 예측 모듈 개발과 울릉도 해무 사례 적용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8(2), 155-164. 

  7. 이종범, 1981: 춘천지방이 인공호에 의한 안개 및 운량의 변화. 한국기상학회지, 17(1), 1018-1026. 

  8. 임헌호, 이화운, 이순환, 2005: 인천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안개의 특성분석. 한국기상학회지, 41(2), 1111-1123. 

  9. 허인혜, 이승호, 1998: 한국의 안개 분포와 특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6(1), 71-85. 

  10. Chun Y., K. Boo, J. Kim, S. Kim, H. Cho, and S. Hong, 1999: Analysis of the radiation fog at the Kimpo International Airport in Atumn. Journal of Atmos. Res, 16(1), 30-43. 

  11. Croft, P. J., R. L. Pfost, J. M. Mdlin, and G. A. Johnson, 1997: Fog Forcasting for the southern region: A conceptual model approach. Wea. Forecasting, 12(3), 545-556. 

  12. George, J. J., 1951: Fog, Compendium of Meteorology. Amer. Meteor. Soc., 1187. 

  13. Petterssen, S., 1969: Introduction to Meteorology. 3d ed. McGraw-Hill, 333 pp. 

  14. Roach, W., 1995: Back to basics: Fog: Part 3-The formation and dissipation of sea fog. Weather, 50, 80-84. 

  15. Tardif, 2007: Event-Based Climatology and Typology of Fog in the New York City Region. J. Appl. Meteor. Climatol., 46, 1141-1168. 

  16. Wilks, D. S., 1995: Statistical methods in the atmosphere science. Academicc Press., 266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