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업결정요인의 주관적 인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ubjective Cognition about Determinant Factors in Employment on Job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5, 2013년, pp.2168 - 2177  

조윤서 (경기대학교 대학원 직업학과)

초록

본 연구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0년도를 활용하여 대졸자 4051명의 취업결정요인의 주관적 인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취업결정요인의 주관적 인지는 학력요인, 자격/전공요인, 인성/인맥요인 등으로 설정하였고, 직무만족을 내재적 만족과 외재적 만족 등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자의 성별, 학교유형, 학교소재지, 전공 등에 따라 취업결정요인의 주관적 인지와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비수도권 소재 학교, 교육계열, 학력요인, 자격/전공요인, 인성/인맥요인 등이 내재적 만족에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2~3년제 대학, 비수도권 소재 학교, 사회계열, 교육계열, 공학계열, 자연계열, 의약계열, 학력요인, 자격/전공요인, 인성/인맥요인이 외재적 만족에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결정요인의 주관적 인지에 대한 세분화된 분석 자료를 제공하고 직무만족에 대한 새로운 검증에 의미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ubjective cognition about determinant factors in employment o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utilized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2010 Year and the subjects of this survey were 4,051 people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취업결정요인에 대한 주관적 인지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한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고려한 요소 외에 개인이 취업결정요인에 대한 주관적 인지가 직장의 직무만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직업생활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요소인 직무만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겠다.

가설 설정

  • 가설 1. 대졸자의 취업결정요인의 주관적 인지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대졸자의 직무만족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취업결정요인의 주관적 인지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펙증후군이란? 8%가 ‘스펙이 취업에 매우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할 만큼 취업을 앞둔 대졸자들은 취업결정요인이 객관적으로 실제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과는 상관없이 주관적으로 취업결정요인이 취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지를 하고 있다. 최근에는 스펙이 지나치게 중시되면서 ‘스펙만 좋으면 반드시 취업에 성공한다는 강박관념과 취업 실패의 원인이 스펙의 부족에 있다고 생각하여 다른 사람들보다 더 좋은 스펙을 얻기 위해 몰두하는 현상 또는 그런 행동’을 지칭하는 일명 “스펙증후군”까지 생겨나고 있다(한국취업신문, 2010)[16].
1년 이내 조기퇴사하는 대학 졸업생들의 비율이 높은 이유는? 이는 기존의 취업성과를 다룬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취업성과를 취업성공으로만 한정시키고, 취업의 질적 성과인 직무만족에는 관심이 부족하기 때문이다(김수리 외, 2008)[19]. 직무만족은 개인의 직업생활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고 (유홍준, 2000)[20] 개인의 문제로 한정 되는 것이 아니라 나아가 조직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개인이 직무에 만족할 때의 긍정적인 효과는? 직무만족은 개인의 직업생활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고 (유홍준, 2000)[20] 개인의 문제로 한정 되는 것이 아니라 나아가 조직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개인이 직무에 만족하면 과업 수행의 성과를 높이고 생산성을 증진시키며(Miller 외, 1986)[21] 결근과 이직의 감소시킨다(Mowday 외, 1984)[22]. 즉 대졸자의 취업도 중요하나 취업 후 직무만족을 통한 이직예방도 매우 중요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Statistics Korea, Annual employment trends 2012, 2013. 

  2.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Report of Youth Panel: 5-year follow-up survey, 2013. 

  3. Career Net Corporation, The biggest impact on the employment of job seekers specification, http://company.career.co.kr/prcenter/media_data_view.asp?rid872&page68,(accessed Apr. 23, 2008). 

  4. Young-Ha Jo, Byeong-Chan Kim, Bong Joon Kim, Investigation into the Influential Factors on Employment Outcomes of university Graduat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6, No. 2, pp. 437-462, 2008. 

  5. Chon-Sun Ihm, Byoung-Moo Yang, An Analysis of Employment Selection and School To Work Transition(STWT) of Recent University Graduates in Korea,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4, No. 3, pp. 1-25, 2006. 

  6. Ka-Yeul Park, Young-Min Chun,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Employment Efforts on University Graduates, Empoyment and Vocation Research, Vol. 3, No. 1, pp. 29-59, 2009. 

  7. Ta-Young Jung, Key Yab Lee, Emphasis on the Effects of GPA Determinants of Job Finding among College Graduates, Management education review, Vol. 8, No. 2, pp. 159-184, 2005. 

  8. Kye-Hyuong Lee, Kyong-Gun Kim, Determinants of Employment Pattern of College Graduates' First Job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Vol. 14, No. 3, pp. 87-111, 2008. 

  9. Chang-Kyun Chae, Gi-Hei Choi , Jun-Peel Ok, Ahn-Guk Kim, Ho-Young Oh, The youth labor market entry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05-04,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05. 

  10. Kyu-Yong Lee, Yong-Hyun Kim, The Determinants of Youth Labor Market Performance, Quartely Journal of Labor Policy, Vol. 3, No .2, pp. 69-93, 2003. 

  11. Ui-Gyu Lee, Nam-Chul Lee, The Analysis of Employment to Graduated from universit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00. 

  12. Sung-Jae Park, Jung-Ho Ban, Effects of Pre-Employment Efforts of the College Graduate Youth in Korea,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ol. 29, No. 3, pp. 29-50, 2006. 

  13. You-Jung Hwang, Byoung-Boo Baek, Determinants of Employment Status of University Graduates Youth,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ol. 11, No. 2, pp. 1-23, 2008. 

  14. Chon-Sun Ihm, Jin-Bong Yoo, Determinants of College Graduate Employment Selection in Service Industry,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22, No. 4, pp. 311-332, 2004. 

  15. Goo-Mook Chai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and Wage of New College Graduates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59, No .4, pp. 35-61, 2007. 

  16. Korea Job News, Spec, what is it?, http://www.koreajo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3, (accessed Apr. 16, 2010). 

  17. Statistics Korea, Young Supplementary Survey data, 2009. 

  18. Jae-Rang Nam, Dynamic characteristics of youth unemployment and Policy implications, Review of Labor, Vol. 16, pp. 22-33, Korea Labor Institute, 2006. 

  19. Soo-Ri Kim, Mi-Jin Park,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college graduates in the job,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08. 

  20. Hong-Jun You, Occupational sociology, Gyeongmunsa, 2000. 

  21. Miller, K. I., Monge P. R., Paticipation,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A Meta-Analutic Review, 1986. 

  22. Mowday, R. T., Koberg, C. S., and MacArther, A. W., The Psychology of the Linkage Model of Turnover in Two Samples, 1984. 

  23. Sun-gjin Gang, Sang-Wak Son, The impact of unemployment on job satisfaction: College graduates, focusing on,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pp. 118-145. 2010. 

  24. Clark, A. E., Job satisfaction and gender : Why are women so happy at work?, Labour Economics Vol. 4, pp. 341-372, 1997. DOI: http://dx.doi.org/10.1016/S0927-5371(97)00010-9 

  25. Byeong-Woo Choi, Organization on job satisfaction, job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influence-Men and women focused on the differenc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 17, No. 4, pp. 195-214, 2004. 

  26. Sung-Hyun Cha, Hui-jung Chu, The Effect of Education and Skill Mismatch on Wage,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Vol. 19, No. 3, pp. 177-215, 2010. 

  27. Hartog, J., H. Oosterbeek, Health, wealth and happiness : Why pursue a higher education, 1998. 

  28. Yun-Kyong Uh,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Majors and career match by college youth,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pp. 102-117. 2010. 

  29. Mora, J.-g., Garcia-Aracil, A., Vila E. Luis, Job Satisfaction Among European Higher Education Graduates, Higher Education, No. 53, pp. 29-59, 2007. DOI: http://dx.doi.org/10.1007/s10734-005-2377-4 

  30. Je-Kyung Lee, Sung-Goo Lee, An Analysis of Career Expectation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Employed Adolescents, Journal of Career and Education, Vol. 20, No. 3, pp. 121-137, 2007. 

  31. Na-Young Lee, Analysis of Four-year College Female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by Major Field, master's dissertation at Sookmyung University, 2012. 

  32. Vroom, V. H., Work and Motivation,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Wayne K. Hoy and Cecil G, 1964. 

  33. Byoung-Jin Kim, Relationships among Congruence Level of Holland Vocational Types, Job Satisfaction and Job Accomplishment, doctoral dissertation at Chung-Nam University, 2007. 

  34. Reitz, H. J., Behavior in Organization, Homewood Illinois R. D. Irwin. Inc, 19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