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공계 대졸여성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Women Graduat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 2020년, pp.577 - 583  

한성숙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직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공계 대졸여성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학계열과 자연계열의 전공별로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는지를 차이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 진로준비행동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2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원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2011년 8월과 2012년 2월 전문대 및 4년제 대학 이공계전공 여성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2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 원 데이터에서 연구대상인 이공계 전공여성 1,569명의 표본(공학계열; 649명, 자연계열;920명)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9.0을 사용해 빈도분석, 독립표본t검정,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진로준비행동을 고려하지 않고 전공 선택 이유, 대학유형, 대학소재지, 계열만을 통제하였을 때는 4년제 대학이 전문대보다 고용안정성이 좋고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나 전공 선택이유, 대학유형, 대학소재지, 계열 등의 통제변수와 진로준비행동 변인을 같이 사용하였을 때는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이라는 대학유형간이 고용안정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진로준비행동을 체계적으로 하여 본인 적성에 맞도록 소신 있게 대학을 선택했을 경우 대학유형은 직무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college graduates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 regression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were all exam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직업을 갖는다는 것은 개인의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함인데 오늘날과 같이 무작정 이공계열로의 쏠림현상이 과연 바람직한 현상인지 문제의식을 느끼게 되었다[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공계열 졸업자, 특히 여성 졸업자의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1] 계열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2] 진로준비행동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준비행동이란 무엇인가? 진로준비행동이란 합리적이고 올바른 진로결정을 위해 수행해야 하는 행동 혹은 결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그결정을 위해 수행해야 하는 구체적인 행동이며 진로준비 행동은 인지나 태도적 차원이 아닌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행위의 차원을 의미한다[8]. 본 연구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직업을 갖기 위한 준비과정으로 전공 선택에서부터 직무수행에 필요한 관련자격증 취득 및 재학 중 일자리 경험, 진로목표달성을 위한 실제적인 노력등과 같이 심리 적인 과정으로서의 의사결정뿐만 아니라 이를 실천하고 행동으로 옮기는 실천적인 노력이 포함된 개념이다[3].
대졸 청년층은 무엇에 따라 취업에 차이가 나타나는가?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된 청년층의 취업난은 오늘날 더욱 심화 되어 사회적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대졸 청년층은 성별, 출신대학, 전공계열, 거주지역 등에 따라 취업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데 여자보다 남자가 공학계열이 다른 계열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업의 기회가 더 많은 편이다[1]. 이를 반영하듯 2014년 서울시 교육청통계 [2]에 따르면 지난해 문과생은 61.
이공계열 전공여성들이 인문계 졸업자에 비하여 초기 노동시장 진입은 용이하나 10년이 경과하면 관계가 역전되어 이탈율이 더 높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공계열 전공여성들은 인문계 졸업자에 비하여 초기 노동시장 진입은 용이하나 10년이 경과하면 관계가 역전되어 이탈 율이 더 높아짐을 파악하였다[6]. 그 이유는 전공의 특성상 졸업생들은 거칠고 여성에게 불리한 작업환경에서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직업경로를 갖지 못함으로 노동시장에의 통합정도가 오히려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6]. 공학 분야 학사이상의 학력을 가진 여성 전공자들의 경력개발 및 단절의 위협요소를 밝힌 사례 연구를 통해 소수인 여성의 수, 낯선 기계조작, 남성 위주의 교육과정 및 군대식 실험문화, 제한된 상호작용을 하는 교수와의 관계가 공과대학 교육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이라고 밝힌 바 있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S. M. Shin, "The labor market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No. 2, pp.525-546, 2014. 

  2. Educational Statistics, Office of Education 2014 https://kess.kedi.re.kr/main.do 

  3. S. S. Han, A Study on the Impact on Job Satisfaction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Women Graduat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Voca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ocial Welfare Kyonggi University, 2016. 

  4. W. J. Kim, A Study on Department Change and Differentiation of Korean Universities, Korea University Education Council, 2014, pp.32-35. 

  5. S. M. Shin, H. S. Jung, S. Y. Gwon, Support Plan to Improve Vocational Competency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3, 

  6. J. Y. Lim, Y. M. Lee, "A Study on College-to-Work Transition of Women College Students Majoring Science and Technology",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Vol.11 No2, pp.25-47, 2008. 

  7. S. H. Kang, "The Determinants of Labor Market Transition of Young Women", The Women's Studies, Vol. 87 No. 2 pp. 317-347, 2014. DOI : http://www.doi.org/10.33949/tws.2014.87.2.009 

  8. B. W. Kim,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9(1):311-333, 1997. 

  9. G. S. kim,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first job satisfactio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2010. 

  10. Schultz, T. W. (1961). Investment in human capital.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51(1), 1-17. 

  11. Paik, I. W. Ihm, J. J. (2008). Rates of Return to Higher Education for Women, OLS and Instrumental Variables Approach,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8, Vol. 26, No. 3, pp. 75-94. 

  12. Smith, H. C, Psychology of Industrial Behavior. New York : McGraw-Hill Book Co. 1955. 

  13. Robert P. Vecchi, "Leadership and gender advantage" The Leadership Quarterly 13, 643-671, 2002. 

  14. S. U. Oh, "The Impact of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and Employment Activities of Graduates'First Regular Jobs by employment channel,", Korea Employment Career Society, Vol.7, No2.0, pp.79-101, 2017. DOI : http://www.doi.org/10.35273/jec.2017.7.2.005 

  15. M. S. Min, "University's support for transition to career world for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20-2, 2002. 

  16. S. M. Shin, Survey on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job world,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8. 

  17. M. S. Min, "Women's Advance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20-2, 2002. 

  18. J. Y. Lee, H. Y. Oh, H. H. Yun, "Career stage of key personnel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 policies", Korea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 2007. 

  19. S. Y. Lee, Y. M. Lee, "Analytical Results of Panel Survey on the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Korea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Vol 12 No.3 73-78, 20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