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 인식과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on Husband's Ro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0 no.1, 2013년, pp.265 - 297  

조해선 (백학꿈나무어린이집) ,  류진아 (한북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 인식과 경험을 있는 그대로 탐색함으로써 성공적인 결혼생활과 안정적 농촌사회 적응능력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 13명을 심층면접한 결과를 현상학적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착하고 따뜻한 남자', '그냥 별 생각 없었음', '깨끗하고 멋있게 보이는 사람', '아내를 고생 안 시키는 남자', '가사는 내 몫이 아닌 남편 몫', '독립된 가정 꾸리기', '자식에 대한 책임감이 강함' 이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들은 국제결혼을 하면서 남편의 역할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는 않았지만 막연하게 잘 사는 한류의 나라 한국에 대한 동경과 함께 그에 대한 기대가 남편에 대한 기대로 이어져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문화에 대한 사전 조사와 이해가 부족하여 자신의 출신국에 존재하는 사회분위기 및 가족과 부부문화가 한국에도 존재할 것이라고 여기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을 분석한 결과 '마음이 좋고 잘 해줌', '나에게 맞춤', '무책임과 무관심', '마음을iv 기댈 수 없음', '집안 일 별로 안함', '시댁과의 중간역할', '아이와 부모, 친척 먼저 챙김', '술과 도박, 폭력을 함'이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은 남편역할에 대한 인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지각하는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은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이 함께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erformed quality study to examine cognition and experience as it is about husband role of wife's perception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Specifically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13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was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 기준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몇명인가요? 또한 도시보다 농촌이 더 높은 자녀출산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기준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103.484명으로 2009년의 두 배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만 6세 미만의 자녀들이 6만1700명으로 전체의 59.6%를 차지하고 있다(행정안정부, 2010).
배우자 역할일란 무엇인가요? 배우자 역할이란 결혼 내에서 상호동반자로서의 책임과 권리를 충족시키는 행위이다(Aldous, 1974). 보편적으로 남편이나 아내의 어느 한 가지 역할을 상대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결혼이주여성은 남편에게 기대하는 역할이 있는데,이러한 기대는 갈등과 혼란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짧은 맞선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부부간에 형성되어야 할 정서적이거나 개인적인 관계를 경험하지 못한 상태로 결혼생활을 시작한다. 결혼이주여성이 남편에게 기대하는 역할은 외국에서 온 자신의 상황에 대한 이해와 친밀감 있게 행동하는 자상한 남편의 이미지이지만(박경동, 2007), 한국의 고맥락문화(김민정 외, 2006)에서 한국인 남편은 가치관이나 생활습관의 차이 등을 충분히 설명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고 부인이 눈치껏 알아서 행동해주기를 기대한다. 하지만 결혼이주여성에게는 이러한 역할을 경험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기대는 갈등과 혼란의 요인으로 작용한다(박경동,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강혜정(2009). 농촌 여성결혼이민자의 영농활동 실태 분석. 농촌경제, 32(5), 133-152. 

  2. 교육인적자원부(2007).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지원계획. 교육인적자원부. 

  3. 김승권, 김유경, 조애저, 김혜련, 이혜경, 설동훈, 정기선, 심인선(2010). 2009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보건복지가족부.법무부.여성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 김오남(2006).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이선, 정해숙, 김영주(2008). 농촌여성 결혼 이민자 가족지원 사업 발전방안 연구. 농림부. 

  6. 류진아(2011). 농어촌 다문화가정 아동의 적응 유형과 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2), 5-27. 

  7. 문은희(2007).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여가참여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명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경동(2007). 다문화가족 형성과 갈등에 대한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주희, 정진경(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12(4), 395-432. 

  10. 박재규(2007). 국제결혼이주영성의 농촌생활적응 관련요인분석: 전북지역사례. 농촌경제, 29(3). 67-84. 

  11. 박진희(2012).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활동 방안-심층면접을 중심으로. 한국 경찰학회보, 33, 149-183. 

  12. 변미희, 강기정(2010). 다문화가정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관련요인. 한국가족복지학, 15(2), 127-141. 

  13. 설동훈, 이혜경, 조성남(2006). 결혼이민자 가족실태 조사 및 중장기 지원 정책 방안 연구. 서울: 여성가족부. 

  14. 성현란(2011).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 감수성 및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 다문화 가정. 한국 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7(2), 219-239. 

  15. 안효자, 박순희, 최은정(2010). 농촌거주 국제결혼 한 한국인 남성의 음주와 결혼안정성: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9(4), 429-436. 

  16. 양순미(2007). 농촌 국제결혼 부부의 행복에 관련변인이 미치는 효과. 농촌사회, 17(2), 5-39. 

  17. 양순미, 정현숙(2006). 농촌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 영향요인. 한가족관계학회지, 11(3), 223-252. 

  18. 양승민, 연문희(2009).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943-966. 

  19. 양옥경, 송민경, 임세와(2009). 서울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137-168. 

  20. 윤명숙, 이혜경(2011).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부모 됨을 통한 적응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32(6), 103-135. 

  21. 유영은(2006).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문화적응에 관한 사례연구와 지원방안: 경기도 북부지역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은주(2004). 가정폭력 행위자의 폭력행동 중단을 위한 한국적 집단개입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 295-327. 

  23. 이정희(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과 이혼위기에 대한 사례연구. 계명대학교 여성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장은정(2007). 국제 결혼한 한국 남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전혜경 외(2008). 국제결혼가정 자녀 실태조사 및 성장지원 방안연구. 보건복지가족부. 

  26. 조용환(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7. 한건수(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19. 

  28. 행정안정부(2010). 외국계주민현황조사. 

  29. 한국여성개발원(2006).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 증진을 위한 정책 과제. 

  30. Aldous, J.(1974). The conceptual aooriach, The Developmental Aooriacg to Family Analysis. Athens : University of Georgia press. 

  31. Berry et al (1988). Acculturation and mental health. In P.R. Dasen, J. W. Berry, & N. Sartorius(Eds.), Health and cross-cultural psychology: Towards applications (pp.207-236). Newbury Park, CA: Sage. 

  32. Colaizzi(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In: Valle, R.S.King, M.(ed),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33. Duvall, E.M.(1974). Marriage and Family Development. J. B. Lippincott, P. 69-87. 

  34. LA타임즈(2006). 한국 농촌의 국제결혼 실태. (9.21일, 1면과 10면). 

  35. Lincoln, Y. S., & E. A. Guba(1985). Natuealistic inquiry. Bcvcrly Hills, CA: Sage. 

  36. Strauss, A.,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