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밀 친환경 재배를 위해 화학비료 사용을 줄이고 밀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유기질비료와 미생물퇴비의 적정 사용량을 설정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밀 생육특성 중 간장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보리복합비료 처리에서는 컸으나 미생물퇴비와 유기질비료 처리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수장은 보리복합비료 > 미생물퇴비 > 유기질비료 순으로 길었으나 시비량 간에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2. 밀 수량구성요소 중 수당입수는 비료 종류나 시비량 간에 차이가 없었고, $m^2$경수는 비료 종류 간에는 복합비료 > 유기질비료 > 미생물퇴비 순으로 많았으며, 시비량은 200% 시용에서는 많아 차이를 보였으며, 천립중은 금강밀은 41.1~42.7 g, 조경밀은 41.0~42.9 g 으로 처리 간에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3. 비료의 종류에 상관없이 시비량이 증가 할수록 생육 및 수량은 좋았으며, 비종간에는 유기질비료가 미생물 퇴비보다 수량성은 높으나 보리복합비료(관행 4.12 Ton $ha^{-1}$) 대비 2~6%가 감수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4. 친환경 자재의 적정 사용량은 표준시비 수준인 유기질 비료은 800 kg $ha^{-1}$, 미생물퇴비는 2,000 kg $ha^{-1}$ 시용으로 95%이상의 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 5. 밀가루의 품질은 밑거름 50% 감비구에서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단백질함량과 침전가는 관행복합비료 > 미생물퇴비 > 유기질비료 순이었으나 회분함량은 0.40~0.38%로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optimum organic fertilization and microbial compost on wheat cultivation in order to reduce the use of chemical fertiliz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wheat. The tests resulted in a yield of organic fertilization of 2~6% lower than the yield of standard 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밀 친환경 재배를 위해 화학비료 사용을 줄이고 밀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유기질비료와 미생물퇴비의 적정 사용량을 설정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는 밀의 주 재배는 어떤 형태인가? 4배까지 좁혀져 식량안보가 부각되고 있다(KREI, 2010). 국내에서는 밀의 주 재배는 벼 후작 형태로 되어있어 근본적으로 작부체계를 합리화할 수 있는 밀 품종의 조숙화, 단위면적당 수량성의 제고와 용도별 고품질 품종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Chun & Kang, 2002).
밀과 함께 3대 작물인 것은 무엇인가? 밀은 옥수수와 쌀과 더불어 3대 작물 중 하나이며, 최근 세계 주요 밀 수출국가의 기상이변에 따른 생산량 감소와 재고량의 감소로 세계 밀 곡물가가 상승하면서 수입밀과 국산밀의 가격이 현재 2.4배까지 좁혀져 식량안보가 부각되고 있다(KREI, 2010).
2010년 국산밀 생산량은 얼마인가? 2010년 정부의 자급률 향상을 위한 정책으로 2015년까지 10% 자급률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한 결과 2010년에는 12.5천 ha로 재배면적이 확대되었고 35천 톤을 생산하였다(MIFAFF, 2009; MIFAFF,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un J. U. and S. W. Kang. 2002. Genetic analyses of heading and maturing dates and their relationship to freezing resistance in barley. Korean. J. Crop Sci. 47(6) : 395-401. 

  2. Institute of Agricultural Technology(IAT). 1997. Problem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organic agricultural technique (In korean). 

  3. Kang, C. S., H. S. Kim, Y. K. Cheong, J. G. Kim, Park, K. H., and C. S. Park, 2008a. Flour characteristics and End-use quality of commercial flour produced from Korean wheat and imported wheat. Korean J. Food Preserv. 5(5) : 687-693. 

  4. Kim. H. J. 2008, Environmentally friendly cultivation technology for safe agricultural production, Food Storage and Processing Industry, Vol. 7 (2). 37-48 (In korean). 

  5. KREI(Korea Rural Economic Institue). 2010. World Agriculture. 124 : 71-77. 

  6. Lee. Y. H., S. M. Lee, J. K. Sung, D. H. Choi, H. M. Kim, and G. H. Ryu. 2006. Development of Soil management Technique in Organic Rice Cultivation.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14(2) : 205-217. 

  7.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09. Agriculture and Forestry Key Statistics. pp. 208, 273-303 (In korean). 

  8.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11.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In korean). 

  9. Park. H. H., D. W. Kim, J. J. Hwang, J. T. Kim, and W. H. Kim. 2009.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Agronomic Traits and Amino Acid Content of Wheat.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pp. 322. 

  10. Park. H. H., D. O. Kim, J. J. Whang, J. H. Sung, J. C. Moon, K. G. Park, N. C. Baek, and O. H. Kim. 2010. Fertilization of organic fertilizer according to the main ingredient of wheat seed changes.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Spring Annual Conference. p. 68 (In korean). 

  1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1994. Report on organic farming (In korean). 

  1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08-2010. Livestock income Kits (In korean). 

  1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1995. Standard Survey for Agricultural Testing and Research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