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들빼기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성 연구
Phenolics Leve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lant Parts in Youngia sonchifoli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8 no.1, 2013년, pp.20 - 27  

천상욱 (조선대학교 BI센터 (주)이파리넷) ,  강종구 (순천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들빼기의 부위별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일반성분, 폴리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성 및 항암성을 분석하였다. 고들빼기 식물체 부위별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꽃, 잎, 줄기 뿌리 순으로 높았고 조섬유와 조회분은 줄기와 뿌리가 꽃과 잎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들빼기의 총 페놀 함량은 꽃($72.9\;mgkg^{-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잎, 줄기, 뿌리 순으로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잎($23.3\;mgkg^{-1}$), 꽃, 줄기, 뿌리 순으로 나타났다. 고들빼기에서 DPPH(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법에 의한 항산화성은 농도와 비례하게 활성이 증가하는 양상을 합성 항산화제 Vitamin C와 BHT보다 낮은 활성이지만 뿌리, 잎, 꽃, 줄기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MTT assay에 의한 세포독성 시험결과 뿌리 추출물이 폐암(Calu-6) ($IC_{50}=196.3\;mgkg^{-1}$)과 대장암 세포주(HCT-116) ($IC_{50}=623.6\;mgkg^{-1}$)에 대해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생리활성물질 함량과 그 활성은 고들빼기 부위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생리활성과 낮은 연관성을 보였으나 항산화성과 항암활성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ximate composition, total phenolics and total flavonoids leve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ytotoxicity were determined in the methanol extracts of different plant parts of Youngia sonchifolia at reproductive growth stage.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ere present as the highest amou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부위별 고들빼기의 생리활성물질 함량과 활성분포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식품 외의 기능성 관련 식품소재를 탐색하고 그 이용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기능성을 갖고 있는 노지재배 고들빼기를 대상으로 잎, 줄기, 뿌리, 꽃의 부위별 성분 및 생리활성 차이를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들빼기의 주성분은 무엇인가? 고들빼기(Youngia sonchifolia Maxim)는 국화과에 속하는 2년생 산채류로서 주성분은 이눌린(inulin)으로 매우 떫고 쓴맛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주로 어린잎이나 뿌리를 데친 후 양념에 무치거나 김치를 담가 먹기도 하고 해열, 건위, 조혈, 소화불량, 폐렴, 간염, 타박상, 종기 등의 치료제로도 쓰여 왔다(Kim, 1984). 일년생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L.
고들빼기는 무엇인가? 고들빼기(Youngia sonchifolia Maxim)는 국화과에 속하는 2년생 산채류로서 주성분은 이눌린(inulin)으로 매우 떫고 쓴맛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주로 어린잎이나 뿌리를 데친 후 양념에 무치거나 김치를 담가 먹기도 하고 해열, 건위, 조혈, 소화불량, 폐렴, 간염, 타박상, 종기 등의 치료제로도 쓰여 왔다(Kim, 1984). 일년생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L.
민간에서 고들빼기는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는가? , 2002). 민간에서는 위장장해를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혈청의 지질 농도를 낮추는 효과(Kim et al., 1998), 고콜레스테롤 혈증 개선효과(Yo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 O. A. 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2. Agnese, A. M., C. Perez, and J. L. Cabrera. 2001. Adesmia aegiceras : antimicrobial activity and chemical study. Phytomedicine. 8(5) : 389-394. 

  3. Bae, S. J., N. H. Kim, B. J. Ha, B. M. Jung, and S. B. Roh. 1997. Effects of Godulbaegi leaf extracts on CCl4-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1) : 137-143. 

  4. Bae, S. J., S. B. Roh, and B. M. Jung. 1998. Effects of Godulbaegi extracts on the stability and fluidity of phospholipid liposomal membra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3) : 508-517. 

  5. Blosi,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 1199-1200. 

  6. Choi, J. S., S. H. Park, and I. S. Kim. 1989. Studies on the active principles of wild vegetables on biotransformation of drug. Kor. J. Pharmacogn. 20 : 117-122. 

  7. Chon, S. U., C. H. Bae, and S. C. Lee. 2012. Antioxidant and cytotoxic potentials of methanol extracts from Taraxacum officinale F. H. Wigg. at different plant parts. Kor. J. Plant Res. 25(2) : 232-239. 

  8. Fukumoto, L. R. and G. Mazza. 2000. Assessing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J. Agric. Food Chem. 48(8) : 3597-3604. 

  9. Gray, J. I. and L. R. Jr. Dugan.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 981-984. 

  10. Guh, J. O., C. S. Kim, D. J. Lee, O. D. Kwon, Y. I. Kuk, S. U. Chon, and S. U. Han. 2002. Weed flora of Korea. Korean Soc. Agr. System. pp. 862. 

  11. Hwang, E. Y., H. S. Ryu, S. S. Chun, and K. Y. Park. 1995a. Dietary fiber in Godulbaegi (Korean lettuce, Ixeris sonchifolia H.)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3) : 404-408. 

  12. Hwang, E. Y., H. S. Ryu, S. S. Chun, K. Y. Park, and S. H. Rhee. 1995b. Effect of Godulbaegi (Korean lettuce, Ixeris sonchifolia H.) Kimchi on the in vitro digestibility of proteins. J. Korean Soc. Food Nutr. 24(6) : 1010-1015. 

  13. Jang, D. S., T. J. Ha, S. U. Choi, S. H. Nam, K. H. Park, and M. S. Yang, 2000. Isolation of isoamberboin and isolipidiol from whole plants of Youngia japonica (L.) DC. Korean J. of Pharmacognosy. 31 : 306-309. 

  14. Kang, D. H., Y. S. Woo, Y. K. Lee, and S. Y. Chung. 1983. Organic constituents in Kimchis (Ixeris sonchifolia H.)-On free amino acids-. Korean J. Food & Nutrition. 12(3) : 225-229. 

  15. Kim, H. R. and I. S. Lee, 2008. Quality changes of Godulbaegi (Youngia sonchifolia Maxim) Kimchi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5) : 617-625. 

  16. Kim, J. G. 1984. Illustrated natural drugs encyclopedia (color edition). Namsandang. pp. 42. 

  17. Kim, J. Y., S. W. Oh, and J. B. Koh. 1998. Effect of Godulbaegi (Ixeris sonchifolia H.) powder on growth, protein and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3) : 525-530. 

  18. Lee, C.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p. 783-784. 

  19. Lim, S. S., H. O. Jung, and B. M. Jung. 1997. Effect of Ixeris Sonchifolia H. on serum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rat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0(8) : 889-894. 

  20. Lister, C. E., J. E. Lancaster, K. H. Sutton, and J. R. L. Walker. 1994. Developmental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and composition of flavonoids in skin of a red and a green apple cultivar. J. Science Food and Agric. 64 : 155-161. 

  21. Lu, J. C., X. Z. Feng, Q. S. Sun, H. W. Lu, M. Manabe, K. Sugahara, D. Ma, Y. Sagara, and H. Kodama. 2002. Effect of six flavonoid compounds from Ixeris sonchifolia on stimulus-induced superoxide generation and tyrosyl phosphorylation in human neutrophils. Clin. Chim. Acta. 316(1) : 95-99. 

  22. Ma, J. Y., Z. T. Wang, L. S. Xu, G. J. Xu, S. Kadota, and T. Namba. 1998. Sesquiterpene lactones from Ixeris sonchifolia. Phytochemistry. 48(1) : 201-203. 

  23. Matsukawa, Y., N. Marui, T. Sakai, Y. Satomi, M. Yoshida, K. Matsumoto, K. Nishino, and A. Aoike. 1993. Genistein arrests cell cycle progression at G2-M. Cancer Res. 53 : 1328-1331. 

  24. Meyer, A. S., J. L. Donovan, D. A. Pearson, A. L. Waterhouse, and E. N. Frankel. 1998. Fruit hydroxycinnamic acids inhibit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in vitro. J. Agric. Food Chem. 46(5) : 1783-1787. 

  25. Moreira, A. S., V. Spitzer, E. E. Schapoval, and E. P. Schenkel. 2000.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the leaves of Gochnatia polymorpha. Phytother. Res. 14(8) : 638-640. 

  26.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 55-63. 

  27. Ooi, L. S. M., W. Hua, C. W. Luk, and V. E. C. Ooi. 2004. Anticancer and antiviral activities of Youngia japonica (L.) DC (Asteraceae, Compositae). J. of Ethnopharmacology. 94(1) : 117-122. 

  28. Park, S. S. 1977. Studies on the constituent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of Ixeris Sonchifolia Hance (1). Korean Biochem. J. 10(4) : 241-252. 

  29. Park, S. S. and A. K. Kim. 1984. Studies on the browning of Ixeris sonchifolia. Kor. J. Pharmacogn. 15(2) : 78-84. 

  30. Pettit, G. R., M. S. Hoard, D. L. Doubek, J. M. Schmidt, R. K. Pettit, L. P. Tackett, and J. C. Chapus. 1996. Antineoplastic agents 338. The cancer cell growth inhibitory. Constituents of Terminalia arjuna (Combretaceae). J. Ethnopharmacol. 53(2) : 57-63. 

  31. Ryu, S. Y., S. U. Choi, C. O. Lee, S. H. Lee, J. W. Ahn, and O. P. Zee. 1994. Antitumor activity of some phenolic components in plants. Arch. Pharmacol. Res. 17(1) : 42-44. 

  32.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2000. SAS/STAT user's guide. Version 7. Electronic Version. Cary, NC, USA. 

  33. Shimoi, K., N. Saka, K. Kaji, R. Nazawa, and N. Kinae. 2000. Metabolic fate of luteolin and its functional activity at focal site. Biofactors. 12 : 181-186. 

  34. Shin, S. C. 1988.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wild Korean lettuce (Youngia sonchifolia Max.). J. Korean Agric. Chem. Soc. 31(3) : 261-266. 

  35. Shin, S. C. 1993. Exploitation of the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in Youngia sonchifolia Max. J. Korean Agric. Chem. Soc. 36(2) : 134-137. 

  36. Shin, S. C. 1996.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of Youngia sonchifolia Max. for Kimchi preparation. Korean J. Plant Res. 9(2) : 105-112. 

  37. Singleton, V. L. and J. A. Rossi. 1965. 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38. Tanaka T., T. Kojima, T. Kawamori, N. Yoshimi, and M. Mori. 1993a. Chemoprevention of diethylnitrosamine-induced hepatocarcino genesis by a simple phenolic acid protocatechuic acid in rats. Cancer Res. 53 : 2775-2779. 

  39. Tanaka, T., T. Kojima, T. Kawamori, A. Wang, M. Suzuki, K. Okamoto, and H. Mori. 1993b. Inhibition of 4-nitroquinoline-1-oxide-induced rat tongue carcinogenesis by the naturally occurring plant phenolics caffeic, ellagic, chlorogenic and ferulic acids. Carcinogenesis. 14 : 1321-1325. 

  40. Yin, R., X. X. Deng, F. Han, Z. Song, W. M. Cheng, X. H. Chen, and K. S. Bi. 2007. Determination of five components in Ixeris sonchifolia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of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 43(4) : 1364-1369. 

  41. Young, H. S., J. S. Choi, and J. H. Lee. 1992a. Further study on the anti-hypercholesterolemic effect of Ixeris sonchifolia. Korean J. Pharmacogn. 23(2) : 73-76. 

  42. Young, H. S., K. S. Im, and J. S. Choi. 1992b. The Pharmaco-chemical study on the plant of Ixeris spp.-2. Flavonoids and free amino acid composition of Ixeris sonchifolia. J. Korean Soc. Food Nutr. 21(3) : 296-301. 

  43. 문제학, 나지이, 조정용, 이형재, 정진호, 박근형, 문영학. 2008. 고들빼기 뿌리와 줄기 및 잎으로부터 분리한 천연항산화물질 및 그의 분리방법. 등록특허(10-08441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