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와 농가묘의 만기재배에서 품종 간 생육 및 수량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Sweet Potato Cultivars between Virus-free and Farmer's Slips in Late Season Cultiva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8 no.1, 2013년, pp.43 - 49  

유경란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 ,  이승엽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소)

초록

바이러스 무병묘의 만기재배를 통한 우량 씨고구마의 안정적 생산과 적응품종 선발을 위하여, 9 품종의 바이러스 무병묘와 농가묘를 7월 10일 $75{\times}25cm$로 정식하여 흑색비닐로 멀칭재배를 한 다음, 생육특성 및 수량 등을 조사하였다. 1. 정식 30일째의 초기생육은 농가묘보다 무병묘에서 줄기 길이, 줄기 직경, 마디수, 곁가지수 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품종 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고건미', '신천미', '신황미', '신율미', '연황미' 등에서 초기생육이 양호하였다. 2. 정식 110일째의 지상부 생육에서 줄기 길이, 줄기 직경, 마디수, 분지수 및 생체중 등은 품종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무병묘와 농가묘간에는 마디수 외에 다른 형질들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만기재배에 따른 무병묘 수량은 품종에 따라 농가묘보다 12-49% 증수되었으며, 무병묘와 농가묘간 평균수량은 각각 1,625 kg/10a과 1,230 kg/10a 으로 무병묘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 씨고구마로 이용할 수 있는 40 g 이상의 상저비율은 무병묘 65.6%, 농가묘 57.8%로 무병묘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무병묘와 농가묘간 상저수량은 각각 1,067 kg/10a과 710 kg/10a 이었다. 5. 공시된 9품종 중에서 1,300 kg/10a 이상의 상저수량을 보인 '신자미', '신천미', '신율미' 등 3품종의 만기재배 적응성이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work was conducted to obtain some information about stable production of high quality seed-tubers in the late season cultivation of virus-free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L.) Lam.]. Growth characteristics and storage root yield between virus-free and farmer's slips in 9 cultivars were inv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바이러스 무병묘의 자가증식으로 정식시기가 늦어지는 경우, 만기재배를 통한 우량 씨고구마의 안정적 생산을 위하여, 9 품종의 바이러스 무병묘와 농가묘를 공시 하여 생육, 수량 및 품질특성 등에 대한 품종간 차이를 조사하고, 만기재배 적응 품종을 선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구마가 최근 건강식품으로도 크게 각광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 Lam.)는 풍부한 미네랄, 비타민류, 식이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안토시아닌, 토코페롤 및 베타카로틴 등과 같은 항산화 물질도 풍부하여, 최근 건강식품으로도 크게 각광받고 있다(Teow et al., 2007).
2010년 국내 고구마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어느정도인가? 국내 고구마 재배면적은 1970년대 이후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가, 1990년대 중반부터 완만한 증가추세를 보여 2010년 19,200 ha에서 298,930톤이 생산되었다. 주요 고구마 주산지는 여주, 해남, 익산, 논산 등이며, 최근 연작으로 인한 수량감소 및 품질저하가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내 고구마의 주요 주산지는 어디인가? 국내 고구마 재배면적은 1970년대 이후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가, 1990년대 중반부터 완만한 증가추세를 보여 2010년 19,200 ha에서 298,930톤이 생산되었다. 주요 고구마 주산지는 여주, 해남, 익산, 논산 등이며, 최근 연작으로 인한 수량감소 및 품질저하가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영양번식을 하는 고구마는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수량감소와 품질저하가 크게 나타나는데(Karyeij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arrolla, H. W., A. Q. Villordonc, C. A. Clarkb, D. R. La Bontea, and M. W. Hoya. 2004. Studies on Beauregard sweetpotato clones naturally infected with viruses. Int. J. Pest Manag. 50 : 101-106. 

  2. Chung, M. N. 2008. A study on the virus detection methods and virus-free plant mass production in sweetpotato. Ph. 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3. Clark, C. A. and R. A. Valverde. 2000. Identifying the role of viruses in sweet potato cultivar decline in Louisiana, USA. in: Int. Workshop Sweetpotato Cultivar Decline Study. Y. Nakasawa and K. Ishiguro, eds. Miyakonojo, Japan. p. 62-69. 

  4. Fuglie, K. O., L. Zhang, L. F. Salazar, and T. S. Walker. 1999. Economic impact of virus-free sweetpotato planting material in Shandong province, China. In : Impact on a Changing World. CIP program report 1997-98. CIP, Rima, Peru. p. 249-254. 

  5. Gibson, R. W., I. Mpembe, T. Alicai, E. E. Carey, R. O. M. Mwanga, S. E. Seal, and H. J. Vetten. 1998. Symptoms, aetiology and serological analysis of sweet potato virus disease in Uganda. Plant Pathol. 47 : 95-102. 

  6. Gibson R. W., R. O. M. Mwanga, S. Kasule, I. Mpembe, and E. E. Carey. 1997. Apparent absence of viruses in most symptomless field-grown sweet potato in Uganda. Ann. Appl. Biol. 130 : 481-490. 

  7. Gutierrez, D. L., S. Fuentes, and L. Salazar. 2003. Sweetpotato virus disease (SPVD): distribution, incidence, and effect on sweetpotato yield in Peru. Plant Dis. 87 : 297-302. 

  8. Kano, Y. and R. Nagata. 1999. Comparison of the rooting ability of virus infected and virus-free cuttings of sweet potatoes (Ipomoea batatas Poir.) and an anatomical comparison of roots. J. Hort. Sci. Biotechnol. 74 : 785-790. 

  9. Karyeija, R. F., R. W. Gibson, and J. P. T. Valkonen. 1998. The significance of sweetpotato feathery mottle virus in subsistence sweetpotato production in Africa. Plant Dis. 82 : 4-15. 

  10. Ling, K. S., D. M. Jackson, H. Harrison, A. M. Simmons, and Z. Pesic-Van Esbroeck. 2010. Field evaluation of yield effects on the USA heirloom sweetpotato cultivars infected by sweet potato leaf curl virus. Crop Protection 29 : 757-765. 

  11. Matimati, I., E. Hungwe, and F. S. Murungu. 2005. Vegetative growth and tuber yields of micropropagated and farm-retained sweet potato (Ipomea batatas) cultivars. J. Agron. 4 : 156-160. 

  12. Ngevea1, J. M. and J. C. Bouwkamp. 1991. Effects of sweet potato virus disease (SPVD) on the yield of sweet potato genotypes in Cameroon. Exp. Agric. 27 : 221-225. 

  13. Park, K. W. and Y. S. Kim. 1998. Hydroponics in horticulture. Academybook, Seoul. 

  14. RDA. 2006. Cultivation of sweet potato. Standard textbook for agronomy-2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5. Song, H. A., K. C. Kim, and S. Y. Lee. 2012. Effect of virus-free plant and subsoiling reversion soil for reduction of injury by continuous cropping of sweet potato. Kor. Crop. Sci. 57 : 254-261. 

  16. Teow, C. C., V. Truong, R. F. McFeeters, R. L. Thompson, K. V. Pecota, and G. C. Yencho. 2007. Antioxidant activities, phenolic and ${\beta}$ -carotene contents of sweet potato genotypes with varying flesh colours. Food Chem. 103 : 829-838. 

  17. Untiveros, M., S. Fuentes, and L. F. Salazar. 2007. Synergistic interaction of sweet potato chlorotic stunt virus (Crinivirus) with carla-, cucumo-, ipomo-, and potyviruses infecting sweet potato. Plant Dis. 91 : 669-676. 

  18. Villordon, A., D. R. LaBonte, N. Firon, Y. Kfir, E. Pressman, and A. Schwartz. 2009. Characterization of adventitious root development in sweetpotato. HortScience 44 : 651-655. 

  19. Yang, C. L., Y. F. Shang, J. H. Zhao, and C. S. Li. 1998. Produce techniques and practice of virus-free sweetpotato. Acta Phytophylac. Sin. 25 : 51-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