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 벼 Agb0101에 대한 PCR 검정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CR detection of insect-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rice Agb0101 developed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식물생명공학회지, v.40 no.1, 2013년, pp.18 - 26  

신공식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 ,  이진형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 ,  임명호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 ,  우희종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 ,  친양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 ,  서석철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 ,  권순종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 ,  조현석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살충성 유전자 mcry1Ac1을 포함하고 있는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GM) 벼 Agb0101이 국내에서 개발되었다. 향후 Agb0101 벼의 환경방출에 따른 모니터링과 이력추적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검출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해충저항성 GM벼의 사후 안전관리를 위한 정성적 및 정량적 PCR 검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벼 녹말분지효소 유전자 RBE4를 PCR 분석의 내재유전자로 사용하였고, 이의 primer쌍 RBEgh-1/-2는 101bp의 PCR 증폭산물을 형성하였다. 정성 PCR 분석을 위해서 삽입된 T-DNA를 바탕으로 특이 primer를 제작하였고, 이벤트 특이적 검출 primer의 경우 Agb0101의 도입유전자 및 벼 염색체 DNA 사이의 5' 또는 3' 인접염기부위를 정확하게 특이적으로 PCR 증폭하였다. 반면, 대조구인 각종 작물, 국내 벼 품종 및 Agb0101과 동일 형질전환 벡터를 갖는 해충저항성 벼에서는 어떠한 PCR 증폭산물도 형성하지 않았다. 표준물질로써 내재유전자 및 이벤트 특이적 단편으로 제조된 pRBECrR을 이용한 real-time PCR 분석에 의해서 정량한계(LOQ)가 10 copies 농도의 범위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이한 농도의 Agb0101시료(10, 5, 3 및 1%)를 real-time PCR 분석하여 정량검정에 대한 표준편차상대표준편차가 각각 0.06 ~ 0.40 및 3.80 ~ 7.01%의 낮은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결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정성 및 정량 PCR 검정 방법이 해충저항성 GM벼 Agb0101의 모니터링 및 이력추적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netically modified (GM) rice Agb0101, which expresses the insecticidal toxin modified cry1Ac (mcry1Ac1) gene, was develop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Korea. To monitor the probable release of Agb0101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liable detection method. Here, we 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9), 최근 GM작물의 실용화를 위해서 이벤트 Agb0101에 대한 식품 및 환경위해성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GM작물의 실용화에 따른 모니터링 및 사후 안전관리를 위한 검출방법을 개발하고자 Agb0101에 대한 특이 primer를 작성하여 정성 PCR 분석법을 도출하였고, 삽입 인접염기서열을 포함하는 plasmid를 표준물질로 한 real-time PCR을 실시하여 정량분석의 정확성 및 정밀성을 확인하였다.
  • 향후 Agb0101 벼의 환경방출에 따른 모니터링과 이력추적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검출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해충저항성 GM벼의 사후 안전관리를 위한 정성적 및 정량적 PCR 검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벼 녹말분지효소 유전자 RBE4를 PCR 분석의 내재유전자로 사용하였고, 이의 primer쌍 RBEgh-1/-2는 101bp의 PCR 증폭산물을 형성하였다.
  •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Agb0101의 지속적인 사후관리 및 이력추적을 위해서 genome 내 도입유전자의 삽입인접부위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특이적 primer를 설계하였고, 이들 이벤트 특이적 primer의 PCR 특이성을 확인하고자 Agb0101과 동일한 형질전환 운반체를 이용하여 유도된 다양한 해충저항성 벼 계통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Figure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T-DNA 내의 검출 부위를 갖는 35sBr-1/-2에 있어서는 Agb0101을 비롯한 모든 계통에서 동일한 PCR 증폭산물을 생산하였다.
  • 해충저항성 GM벼 Agb0101의 real-time PCR 정량분석을 위해서 표준 plasmid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표준 plasmid제작은 벼 내재유전자 primer쌍(RBEgh-1/-2) 및 이벤트 특이적 primer쌍(CrRB-1/-2)으로 증폭된 PCR 산물을 서로 연결하고 T-Vector에 도입하여 제조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제생명공학응용정보서비스에 따르면 2011년 기준 전 세계적으로 유전자변형 작물은 어느정도 재배되었는가? 국제생명공학응용정보서비스(ISAAA)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유전자변형(genetically modified, GM) 작물은 2011년 29개 국가에서 1억6,000만 헥타르가 재배되어, 1996년에 상업적인 재배를 시작한 이후보다 무려 94배 증가한 것으로 재배면적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James 2011). 최근에는 기존의 제초제저항성, 해충저항성 등 농업적 재배 이득이 강한 작물의 개발에서, 영양성분 개선, 에너지 생산, 의약품 생산, 환경오염 개선 등 인류의 직면한 문제해결을 위한 방향으로 생명공학작물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유전자변형 작물의 개발 방향은 어떠한가? 국제생명공학응용정보서비스(ISAAA)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유전자변형(genetically modified, GM) 작물은 2011년 29개 국가에서 1억6,000만 헥타르가 재배되어, 1996년에 상업적인 재배를 시작한 이후보다 무려 94배 증가한 것으로 재배면적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James 2011). 최근에는 기존의 제초제저항성, 해충저항성 등 농업적 재배 이득이 강한 작물의 개발에서, 영양성분 개선, 에너지 생산, 의약품 생산, 환경오염 개선 등 인류의 직면한 문제해결을 위한 방향으로 생명공학작물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GM농산물은 재배 목적이 아닌 식품, 사료 및 이의 가공목적으로 2011년 기준 총 7,853천 톤(식용 1,875천 톤 및 사료용 5,978천 톤)이 수입 승인되었다(KBCH Database, htt://www.
mcry1Ac1은 무엇인가? 살충성 유전자 mcry1Ac1을 포함하고 있는 해충저항성 유전자변형(GM) 벼 Agb0101이 국내에서 개발되었다. 향후 Agb0101 벼의 환경방출에 따른 모니터링과 이력추적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검출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uang HY, Pan TM (2005) Event-specific real-tim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Roundup Ready soybean. J Agric Food Chem 53:3833-3839 

  2. James C (2011) Global Status of Commercialized Biotech/GM Crops: 2011. ISAAA Brief No. 43. ISAAA: Ithaca, NY, USA 

  3. Jeong SC, Pack IS, Cho EY, Youk ES, Park S, Yoon WK, Kim CG, Choi YD, Kim JK, Kim HM (2007) Molecular analysis and quantitative detection of a transgenic rice line expressing a bifunctional fusion TPSP. Food Control 18:1434-1442 

  4. Kim JH, Ahn jH, Song HS, Kim KH, Kim DH, Kim HY (2006) Qualitative PCR detection of vitamin E-enriched GM perill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192-195 

  5. Kim EH, Suh SC, Park BS, Shin KS, Kweon SJ, Han EJ, Park SH, Kim YS, Kim JK (2009) Chloroplast-targeted expression of synthetic cry1Ac in transgenic rice as an alternative strategy for increased pest protection. Planta 230:397-405 

  6. Kuribara H, shindo Y, Matsuoka T, Takubo K, Futo S, Aoki N, Hirao T, Akiyama H, Goda Y, Toyoda M, Hino A (2002) Novel reference molecules for quantit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and soybean. J AOAC Int 85:1077-1089 

  7. Lee KR, Shin KS, Suh SC, Kim KY, Jeon YH, Park BS, Kim JK, Kweon SJ, Lee YH (2009)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lepidopteran pest-resistant transgenic rice events expressing synthetic Cry1Ac. Plant Biotechnol Rep 3:317-324 

  8. Lim SH, Kim NY, Lee SM, Woo HJ, Shin KS, Jin YM, Cho HS (2007) Molecular characterization and event-specific marker development of insect resistant Chinese cabbage for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J Plant Biotechnol 34:347-354 

  9. Pan A, Yang L, Xu S, Yin C, Zhang K, Wang Z, Zhang D (2006) Event-specific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CR detection of MON863 maize based upon the 3'-transgene integration sequence. J Cereal Sci 43:250-257 

  10. Pardigol A, Guillet S, Popping B (2003) A simple procedure for quantific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using hybrid amplicon standards. Eur Food Res Technol 216:412-420 

  11. Park HM, Jeon EJ, Waminal NE, Shin KS, Kweon SJ, Park BS, Suh SC, Kim HH (2010) Detection of transgenes in three genetically modified rice lines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Genes & Genomics 32:527-531 

  12. Rho JK, Lee T, Jung SI, Kim TS, Park YH, Kim YM (2004)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CR methods for detection of three lines of genetically modified potatoes. J Agric Food Chem 52:3269-3274 

  13. Shindo H, Goda Y, Toyoda M, and Hino A (2002) Validation of real-time PCR analysis for line-specific quantit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maize and soybean using new reference molecules. J AOAC Int 85:1119-1126 

  14. Shin KS, Lee SM, Lim SH, Woo HJ, Cho HS, Lee KR, Lee MC, Kweon SJ, Suh SC (2009) Molecular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using the specific markers of leaf folder-resistant GM rice. J Plant Biotechnol 36:115-123 

  15. Shin KS, Lim SH, Woo HJ, Lee KR, Lim SH, Ahn HI, Lee JH, Cho HS, Kweon SJ, Suh SC (2012) Event-specific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s for detection of insect-resistant genetically modified Chinese cabbage based on the 3'-junction of the insertion sit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5:367-375 

  16. Shrestha HK, Hwu KK, Wang SJ, Liu LF, Chang MC (2008) Simultaneous detection of eight genetically modified maize lines using a combination of event- and construct-specific multiplex-PCR technique. J Agric Food Chem 56:8962-8968 

  17. Song HS, Kim JH, Kim DH, Kim HY (2007)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genetically modified pepper. J Microbiol Biotechnol 17:335-341 

  18. Su C, Xie J, Wang X (2011) Integrated structure and event-specific real-time detection of transgenic cry1Ac/SCK rice kefeng 6. Eur Food Res Technol 232:351-359 

  19. Taverniers I, Windels P, Vaitilingom M, Milcamps A, Van Brckstaele E, Van Den Eede G, Ee Loose M (2005) Eventspecific plasmid standard and real-time PCR methods for transgenic Bt11, Bt176, and GA21 maize and transgenic GT73 canola. J Agric Food Chem 53:3041-3052 

  20. Toyota A, Akiyama H, Sugimura M, Watanabe T, Kikuchi H, Kanamori H, Hino A, Esaka M, Maitani T (2006) Quantific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soybeans using a combination of a capillary-type real-time PCR system and a plasmid reference standard. Biosci Biotecnol Biochem 70:821-827 

  21. Woo HJ, Lim SH, Lee KJ, Won SY, Kim TS, Cho HS, Jin YM (2006) Current development status on the genetically modified crops in Korea. Korean J Intl Agri 18:221-229 

  22. Yang L, Pan A, Zhang K, Yin C, Qian B, Chen J, Huang C, Zhang D (2005)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CR methods for eventspecific dete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cotton Mon1445 and Mon531. Transgenic Research 14:17-831 

  23. Zhang D, Guo J (2011) The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testing methods for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their derived products. J Integrative Plant Biology 53:539-5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