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시 기장 주변 해역의 해조 군집 변동
Changes in Marine Algal Communities around Gijang Busan,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6 no.3, 2013년, pp.303 - 309  

유종수 (부경대학교 LINC 사업단) ,  김종명 (부경대학교 해양바이오신소재학과) ,  최창근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at three sites in Gijang on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from February 2006 to January 2007. A Total of 74 speci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including 8 green algae, 16 brown algae, and 50 red algae. Of these, 15 specie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부산시 기장 주변 조하대 해역에 서식하는 해조류 군집의 특성 및 변동을 명확하게 밝히기 위하여 연구 대상 해역의 계절에 따른 각 수심대별 해조군집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서식 해조류의 군집구조와 분포 특성 등 시공간적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량 및 정성조사를 토대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는 해양에서 어떤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가? , 2008, Dawes, 1998). 이 외에도 해양에서 바이오필터 기능에 의한 영양염 제거, 부착생물의 착생기질 등 해양생태계의 다양성을 증대시키는 기능도 담당한다(McCall et al., 1999).
해조류는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해조류는 연안생태계에서 해양의 일차 생산자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물질순환을 주도하고 생물자원, 유용 수산생물의 산란, 서식지, 먹이원 제공, 바이오에너지원, 의약품 원료, 산업용, 식품용으로써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오랫동안 인간에 의해 이용되고 있다(Choi et al., 2008, Dawes, 1998).
한 지역의 해조군집은 어떤 여부에 의해 영항을 받을 수 있는가? 한 지역의 해조군집은 서식지 형태를 변화시키는 생물들의 존재 여부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Thompson et al., 1996; Bates and BeWreede,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tes CR and DeWreede RE. 2007. Do changes in seaweed biodiversity influence associated invertebrate epifauna? J Exp Mar Biol Ecol 344, 206-214. 

  2. Boo SM and Lee IK. 1986. Studies on benthic algal community in the east coast of Korea. 1. Floristic composition and periodicity of a Sokcho rocky shore. Korean J Phycol 1, 107-116. 

  3. Cheney DP. 1977. R & C/P - 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Suppl J Phycol 13, 129. 

  4. Choi CG and Rho HS. 2010. Marine algal community of Ulsan,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 246-253. 

  5. Choi CG, Chowdhury MTH, Choi IY and Hong YK. 2010.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Kijang on the southern east coast of Korea. The Sea 15, 133-139. 

  6. Choi CG, Kim JH and Chung IK. 2008. Temporal variation of seaweed biomass in Korean coasts: Yokjido, Gyeongnam Province. Algae 23, 311-316. 

  7. Choi CG. 2007. Algal flora and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Laminariaceae) Population of Youngdo in Busan, Korea. Algae 22, 313-318. 

  8. Choi HG. 2008. Effects of thermal effluents from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on macroalgal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Algae 23, 151-162. 

  9. Clarke KR and Gorley RN. 2006. PRIMER V6: User Manual/ Tutorial. PRIMER-E Ltd, Plymouth, USA, 190. 

  10. Connell SD, Russell BD and Turner DJ. 2008. Recovering a lost baseline: missing kelp forests from a metropolitan coast. Mar Ecol Prog Ser 360, 63-72. 

  11. Dawes CJ. 1998. Marine botan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USA, 628. 

  12. Eriksson BK, Johansson G and Snoeijs P. 2002. Long-term changes in the macroalgal vegetation of the inner Gullmar Fjord, Swedish Skagerrak coast. J Phycol 38, 284-296. 

  13. Feldmann J. 1937. Recherches sur la vegetation marine de la Miditerranee. La cote des Alberes. Rev Algol 10, 1-339. 

  14. Kang J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 Pusan Fish Coll 7, 1-125. 

  15. Kang JW. 196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8 Marine algae. Samhwa Press, Seoul, Korea. 

  16. Kang PJ, Kim YS and Nam KW. 2008.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in Ilkwang Bay, Korea. Algae 23, 317-326. 

  17. Lee IK and Kang JW. 1986. A check list of marine algae in Korea. Korean J Phycol 1, 311-325. 

  18. Lee YP and Kang SY. 2002. A catalogue of the seaweeds in Korea. Ch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Cheju, Korea. 

  19. Lee KW. and Kang JW. 1971. A preliminary survey of the algal flora and communities of Dongbaiksum, Pusan. Publ Mar Lab Pusan Fish Coll 4, 29-37. 

  20. Littler MM and Littler DS. 1984. Relationships between macroalgal functional form groups and substrate stability in a subtropical rocky intertidal system. J Exp Mar Biol Ecol 74, 13-34. 

  21. McCall RK, Moncreiff CA, Randall TA, Caldwell JD and Blackburn BR. 1999. Seagrass epiphytes: Contributions to local chlorophyll a concentration. Gulf Research Reports 11, 74. 

  22. Nam KW and Kim YS. 1999.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Yongho dong area in Pusan, Korea. J Korean Fish Soc 32, 374-384. 

  23. Park CS, Wee MY and Hwang EK. 2007. Summer algal flora of uninhabited islands in Docho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Algae 22, 305-311. 

  24. Russell BD, Thompson JI, Falkenberg LJ and Connell SD. 2009. Synergistic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local stressors: $CO_2$ and nutrient-driven change in subtidal rocky habitats. Glo Cha Biol 15, 2153-2162. 

  25. Segawa S. 1956. Coloured illustration of the seaweeds of Japan. Hoikusha Publ. Co. Osaka, Japan. 

  26. Sohn CH. 1987. Phytogeographical characteriz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algal communities in Korea. Ph.D. Thesis, Chu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27. Terawaki T, Arai S and Kawasaki Y. 1995. Methods of submarine forest formation considering local limiting factors of distribution. Fish Engineer 32, 145-154. 

  28. Thompson RE, Wilson BJ, Tobin ML, Hill AS and Hawkins SJ. 1996. Biologically generated habitat provision and diversity of rocky shore organisms at a hierarchy of spatial scales. J Exp Mar Biol Ecol 202, 73-84. 

  29. Yoo JS. 2003a. Bio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rine benthic organisms in the rocky shore of Dongbaekseom, Busan. Algae 18, 225-232. 

  30. Yoo JS. 2003b. Dynamics of marine benthic community in intertidal zone of Seoam, Busan. J Korean Soc Oceanogr 8, 420-425. 

  31. Yoshida T, Yoshinaga K and Nakajima Y. 1995. Check list of marine algae of Japan (revised in 1995). Jpn J Phycol 43, 115-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