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시 기장군 연안의 해조상 및 군집 특성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in Kijang on the Southern East Coast of Kor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5 no.3, 2010년, pp.133 - 139  

최창근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부경대학교 생물공학과) ,  최인영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홍용기 (부경대학교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장 연안 해조류의 해조상 및 군집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 2006년 8월과 2009년 8월에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조류는 녹조류 6종, 갈조류 10종, 홍조류 38종 등 총 54종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이 중 35종의 해조류가 각각의 조사 시기에 공통적으로 출현하였다. 평균 현존량은 2006년에 $616.0\;g\;m^{-2}$에서 $1,462.4\;g\;m^{-2}$였고, 2009년에는 $354.8\;g\;m^{-2}$에서 $965.6\;g\;m^{-2}$이었다. 현존량이 가장 높은 지역은 문동이었고, 가장 낮은 곳은 서암(2006년)과 동백(2009년)이었다. 출현 해조류를 6개의 기능형으로 구분하면, 성긴분지형이 58.7%와 58.1%, 다육질형이 10.9%와 11.6%, 사상형이 13.0%와 9.3%, 각상형이 6.5%와 9.3%, 엽상형이 6.5%와 7.0%, 유절산호말형이 4.3%와 4.7%로 나타났다. 생태지수인 R/P, C/P, (R+C)/P 값은 2006년에 4.00, 0.75, 4.75와 2009년에 5.17, 1.00, 6.17로 나타났다. 2006년과 2009년의 자료를 분석했을 때, 기장 연안의 해조류 출현 종 수와 현존량은 유사하였다. 이러한 자료로 볼 때, 기장 연안에서 시행된 소규모 공사 전, 후인 2006년과 2009년의 해조류 종 다양성에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at four sites in Kijang area on the southern east coast of Korea in August 2006 and August 2009, respectively. A total of 54 seaweeds including 6 green, 10 brown, 38 red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Of 54 seaweeds, 35 species were found ...

주제어

참고문헌 (28)

  1. 강제원, 1968. 한국동식물도감. 제8편. 식물편(해조류). 삼화출판사, 서울, 465 pp. 

  2. 강필준, 김영식, 남기완, 2008. 한국 일광만 저서 해조류의 해조상과 군집구조. Algae, 23: 317-326. 

  3. 남기완, 김영식, 1999. 부산 용호동 일대의 저서 해조상 및 군집구조. 한국수산학회지, 32: 374-384. 

  4. 박찬선, 위미영, 황은경, 2007. 한국 남서해안 도초군도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상. Algae, 22: 305-311. 

  5. 손철현, 1987. 한국 해조류의 식물지리학적 특성과 군집의 정량적 분석.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11 pp. 

  6. 유종수, 2003. 부산 서암 조간대 부착생물군집의 동태. 한국해양학회지, 8: 420-425. 

  7. 이기완, 강제원, 1971. 해운대 동백섬의 해조상 및 해조군락 (예보). 부산수대임연보, 4: 29-37. 

  8. 이순열, 이재완, 이해복, 1997. 동해안 영일만과 그 주변 지역의 해조상. Algae, 12: 303-311. 

  9. 이용필, 강서영, 2001.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제주대학교, 제주, 622 pp. 

  10. 이인규, 강제원, 한국산 해조류의 목록. 한국조류학회지, 1: 311-325. 

  11. 최창근, 2007. 부산 영도의 해조상과 곰피(Ecklonia stolonifera Okamura) 군락. Algae, 22: 313-318. 

  12. 최한길, 2008. 월성원자력발전소 온배수가 해조류 종조성 및 군집 구조에 미치는 영향. Algae, 23: 151-162. 

  13. Bates, C.R. and R.E. DeWreede, 2007. Do changes in seaweed biodiversity influence associated invertebrate epifauna?, J. Exp. Mar. Biol. Ecol., 344: 206-214. 

  14. Bates, C.R., G.W. Saunders and T.C. Chopin, 2005. An assessment of two taxonomic distinctness indices for detecting seaweed assemblage responses to environmental stress. Bot. Mar., 48: 231-243. 

  15. Bertness, M.D., G.H. Leonard, J.M. Levine, P.R. Schmidt and A.O. Ingraham, 1999. Testing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s in rocky interidal communities. Ecology, 80: 2711-2726. 

  16. Boo, S.M. and I.K. Lee, 1986. Studies on benthic algal community in the east coast of Korea. 1. Floristic composition and periodicity of a Sokcho rocky shore. Korean J. Phycol., 1: 107-116. 

  17. Cheney, D.P. 1977. R & C/P - 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Suppl. J. Phycol., 13: 129 

  18. Clarke, K.R. and R.N. Gorley, 2006. PRIMER V6: User Manual/ Tutorial. PRIMER-E Ltd, Plymouth, 190 pp. 

  19. Feldmann, J., 1937. Recherches sur la vegetation marine de la Miditerranec. La cote des Alberes. Rev. Algol., 10: 1-339. 

  20. Kang, J.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 Pusan Fish. Coll., 7: 1-125. 

  21. Lotze, H.K. and I. Milewski, 2004. Two centuries of multiple human impacts and succesive changes in a North Atlantic food web. Ecol. Appl., 14: 1428-1447. 

  22. Lotze, H.K., W. Schramm, D. Schories and B. Worm, 1999. Control of macroalgal blooms at early developmental stages: Pilayella littoralis versus Enteromorpha spp. Oecologia, 119: 46-54. 

  23. Orfanidis, S., P. Panayotidis and N. Stamatis, 2001. Ecological evaluation of transitional and coastal and water; A marine benthic macrophytes-based model. Medit. Mar Sci., 2: 45-65. 

  24. Russell, B.D., J.I. Thompson, L.J. Falkenberg and S.D. Connell, 2009. Synergistic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local stressors: $CO_2$ and nutrient-driven change in subtidal rocky habitats. Glo. Cha. Biol., 15: 2153-2162. 

  25. Segawa, S., 1956. Coloured illustration of the seaweeds of Japan. Hoikusha Publ. Co. Osaka. 195 pp. 

  26. Stachowicz, J.J., 2001. Mutualism, facilitation, and the structure of ecological communities. Bioscience, 51: 235-246. 

  27. Thompson, R.E., B.J. Wilson, M.L. Tobin, A.S. Hill and S.J. Hawkins, 1996. Biologically generated habitat provision and diversity of rocky shore organisms at a hierarchy of spatial scales. J. Exp. Mar. Biol. Ecol., 202: 73-84. 

  28. Yoshida, T., K. Yoshinaga and Y. Nakajima, 1995. Check list of marine algae of Japan (revised in 1995). Jpn. J. Phycol., 43: 115-1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