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추가루 첨가 비율에 따른 약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pyun by the Addition of Jujube Powder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2, 2013년, pp.241 - 249  

이승민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유승석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yakpyun processing using jujube powder. The yakpyun was prepared with rice, jujube powder, makkolli, sugar, and salt. The yakpyun is made with various amounts (0, 2, 4, 6, 8%) of jujube powder. The effect of adding jujube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pyun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약용 및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대추를 약편에 이용하기 위하여 대추가루로 가공하여 활용하였다. 대추가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약편을 제조하고, 기계적 특성검사와 관능검사를 통해 가장 바람직한 첨가비율과 최적의 제조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추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한 약편의 수분함량은 대추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약용 및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대추를 약편에 이용하기 위하여 대추가루로 가공하여 활용하였다. 대추가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약편을 제조하고, 기계적 특성검사와 관능검사를 통해 가장 바람직한 첨가비율과 최적의 제조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성분과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된 대추를 조리에 적용하기 위해 대추가루로 제조하고, 대추가루의 첨가 비율을 달리하여 약편을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여 약편의 제조에 가장 적합한 시료의 첨가비율과 최적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추의 효능은? 대추는 예로부터 한방 약재로서 또는 과실의 한 종류로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약용과 기능성 식품으로서 인기가 커지고 있다. 대추는 약용 성분과 기능성 성분을 많이 함유하면서도 과용에 따른 부작용이 없는 식품재료로써(강 등 1995), 소화 완화, 강장, 항 알레르기, 간 보호 작용 등(육 등 1992)과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보고되었다(Choi et al 2003). 대추에 가장 많이 들어있는 성분은 당질로써, 생과는 24~31%, 건과는 58~65% 정도가 단당류와 다당류이며, 일반 과종에 비하여 월등히 높다고 보고되었다(김 과 김 2001).
대추의 주된 당류는 무엇인가? 대추에 가장 많이 들어있는 성분은 당질로써, 생과는 24~31%, 건과는 58~65% 정도가 단당류와 다당류이며, 일반 과종에 비하여 월등히 높다고 보고되었다(김 과 김 2001). 대추의 주된 당류는 과당, 포도당 및 자당이며, 다양한 맛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떡, 한과, 죽, 차류 등의 조리에 이용되고 있다(Choi & Hong 2007). 대추가 가지고 있는 비타민류나 식이섬유, 플라보노이드, 미네랄 등은 노화방지와 항암효과가 있으며, 식이섬유는 발암 물질을 흡착, 배출하고(Min et al 2003), 베타카로틴은 체내 유해활성산소를 제독하는 기능이 있다(Kim et al 2001).
떡의 종류 중 약편의 이명은? 우리 민족의 생활 속에 깊숙이 뿌리내려온 떡은 그 종류가 200여종이 될 정도로 맛과 조리법에서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으나, 식생활의 서구화, 각종 의례의 간소화 등의 영향으로 점차 위축되어 가고 있다. 약편은 충청도 향토음식으로 ‘대추편’이라고도 하는데, 수분 조절을 막걸리로 하는 떡으로, 대추고와 막걸리를 섞은 멥쌀가루를 시루에 얹어서 밤채․대추채․석이채를 고물로 뿌려 찐 떡이다(농촌진흥청 2008). 한국의 떡과 과즐 에서 약편은 “멥쌀을 깨끗이 씻어 일어 충분히 불린 다음, 건져 물기를 빼서 소금을 넣고 빻아 가루로 만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병수, 고운채, 김선희, 노승현, 박용기, 서부일, 서영배, 송호준, 신민교, 안덕균, 이강희, 이영종 (1995) 본초학. 영림사, 서울. pp 542-543. 

  2. 강인희 (1997) 한국의 떡과 과즐. 대한교과서, 서울. p 25. 

  3. 강인희, 조후종, 이춘자, 이효지 (2000) 한국음식대관. 한림출판사, 서울. pp 49, 122, 157-158, 226. 

  4. 김덕희 (2006) 떡.한과.음청류. 백산출판사, 서울. p 99. 

  5. 김용석, 김월수 (2001) 대추재배 신기술. 오성출판사, 서울. p 27. 

  6.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8) 한국의 전통향토음식 4 충청북도. 교문사, 파주. p 231. 

  7. 육창수, 심재륜, 류기옥, 김형근, 남준용 (1992) 한약학 II. 광명출판사, 서울. p 394. 

  8. 윤서석 (1989) 한국의 음식-떡. 국민영양 10월호. p 32. 

  9. 윤숙자 (2008) 한국의 떡.한과.음청류. 지구문화사, 파주. pp 9-13, 108, 184. 

  10.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 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ington. p31. 

  11. Bae KH, Lee SM, Lee ES, Lee JS (1996)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betulinic acid and alphitolic acid from Zizyphi fructus. Yakhak Hoeji 40: 558-562. 

  12. Cha GH, Lee HG (2002) Sensor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orage time of daechu-injeulmi added with various levels of chopping jujube. Korean J Food Cookery Sci 17: 29-42. 

  13. Cha KH (1999) Effects of addition of dietary fiber and jujube on sensory,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orage of Injeulmi. Ph D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pp 32-35. 

  14. Choi EJ, Hong J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jinmal dasik containing jujube past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713-719. 

  15. Choi KS, Kwon KI, Lee RK (2003)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tumor activities of jujube tea products. J Resour Develop 22: 23-29. 

  16. Choi WS (2006) Functional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apricot and Korean rice cake. Ph 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pp 50-52. 

  17. Gu SY, Lee HG (2001) The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chicksulgi. Korean J Food Cookery Sci 17: 523-532. 

  18. Hong JS (2002a)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daechu injeolmi by various soaking time of glutinous r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18: 211-215. 

  19. Hong JS (2002b)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echupyun by the addition of jujube paste. Korean J Food Cookery Sci 18: 677-683. 

  20. Kang YS (2009)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loquat(Eriobotrya japonica Lindly)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rice cake added with loquat. Ph 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pp 52-56. 

  21. Kim AJ, Kim MW, Kim MH, Woo KJ (2000) Mineral contents and properties of pongihp julpyun preparation by adding mulberry leaves powder. Korean J Soc Food Sci 11: 311-315. 

  22. Kim GY (2002) A study on function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leaf tears and their effects on Korean rice cake. Ph 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pp 47-50. 

  23. Kim HH, Park GS (1998) The sensory and texture charactertics of julpyun and sulgidduk in according to concent- ions of green tea pow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8: 454-461. 

  24. Kim JS (1998)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bread. Korean J Food & Nutr 11: 657-661. 

  25. Kim SK, Lee HJ, Kim MK (2001) Effec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leaf and green tea different conditions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12-month-old rats. Korean J Food Nut 34: 499-512. 

  26. Kwon YI, Jung C, Kim SH, Kim SY, Lee JS (1997) Changes in properties of pitted jujube during drying and extraction. Agr Chem Biotechnol 40: 43-47. 

  27. Lee HG, Han JY (2002)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olsulgi using varied levels of pine leave powders and different types of sweetners. Korean J Food Cookery Sci 18: 164-172. 

  28. Lee HG, Lee EM, Cha GH (2005)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hinsuncho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422-432. 

  29. Lee MY, Kim JG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eon by different ratios of Lycil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18-823. 

  30. Lee SM (2010) Physiological activity of jujub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jujube added brown rice yakpyun. Ph 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pp 53. 

  31. Min HY, Park EJ, Lee SK, Cho YI (2003) Effects of grape extracts on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in mouse macrohage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32-137. 

  32. Park BH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jujube past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added jujube paste. Ph 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pp 46-48. 

  33. Park NH (2006) Quality properties of seolgiddeok with jujube powder. MS Thesis Sunchon University, Sunchon. pp 40-42. 

  34. Shin SR, Han JP, Lee SH, Kang MJ, Kim KS, Lee KH (1999)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dried jujube fruit by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6: 61-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