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박정희 정권의 언론 정책과 지역 신문: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Media Policy of the Third Republic and the Local Newspapers : focused on the case of Busan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no.62 = no.62, 2013년, pp.140 - 158  

채백 (부산대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박정희 정권의 언론 정책에서 지역 신문이 어떻게 다루어졌고, 그것이 지역 신문들에게는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분석하였다. 5.16쿠데타 직후 언론통폐합을 단행한 군사정부는 1962년 6월과 7월에는 새로운 언론정책의 방향과 그 시행 기준을 발표하였다. 이 시행 기준은 지역 신문에 심각한 파급효과를 가져왔다. 시설 기준과 단간제, 지역의 취재 활동 제한, 기자 급료와 사이비 기자 문제 등의 조항들이 지역 신문의 경영난을 가중시키고 언론 활동을 위축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부산의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을 한국문화방송과 함께 강압적으로 빼앗아 5.16장학회의 소유화함으로써 부산의 언론을 왜곡하였다. 박정희 정권이 언론사에 제공했던 차관의 혜택에서도 지역 신문들은 배제되어 윤전기 도입을 위해 타인 자본에 의존함으로써 경영난을 더욱 악화시켰다. 1971년에도 언론계의 자율정화결의라는 형태로 지역 신문의 보급 범위를 해당 도와 인접도로 국한시켜버리며 지사와 지국의 취재 활동을 전면 금지시키고, 주재 기자의 숫자와 배치도 제한하였다.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언론 분야에서도 중앙집중화가 본격화될 수밖에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 policy of the Third Republic and its influence on local newspapers in Korea. Just after the May 16th coup Military Government enforced the press merger and abolition and in 1962 announced the direction of the media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stan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 언론의 문제가 고착화된 이유는? 지역 언론이 안고 있는 문제는 비단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해방 이후 현대사의 전개 속에서 중앙집중이 점차 심화되면서 지역 언론의 문제도 고착화되며 악화일로를 걸어 온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역 언론의 문제가 박정희 정권기부터 심화되기 시작하였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여 이를 논증해 보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현재의 대한민국을 구성하는 많은 부분은 어떤 정권의 유산인가?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역 언론의 문제가 박정희 정권기부터 심화되기 시작하였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여 이를 논증해 보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현재의 대한민국을 구성하는 많은 부분은 박정희 정권의 유산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권보드래와 천정환(2012, 553쪽)은 “1960년대는 우리가 살고 있는 당대의 기원”이라고 규정하면서 현재의 한국사회는 그 이전의 역사적 경험들도 1960년대를 통해 재구조화된 결과이거나 그 잔여물이라고 평가하였다.
박정희 정권의 언론 정책에 대한 논의의 한계는? 박정희 정권의 언론 정책에 대해서는 그동안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그 논의들은 대부분 통사적 서술의 한 부분으로 이루어졌을 뿐, 독립된 연구 주제로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통사적 연구들도 대부분 박정희 정권의 언론 정책이 전체로서의 한국 언론에 대해서 갖는 의미와 영향에 집중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