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분해/GC/MS를 이용한 열화 호박(amber)의 성분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composition of amber with ageing using pyrolysis/GC/MS 원문보기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v.26 no.3, 2013년, pp.190 - 198  

박종서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호박은 오래전부터 장식품, 공예품, 부장품 등으로 사용되어 매장문화재 형태로 발굴되고 있다. 발굴 당시 호박은 풍화가 많이 진행되어 표면의 균열, 박락 등이 관찰된다. 풍화에 따른 호박의 성분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보존상태를 진단하고, 적절한 보존방법을 적용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GC/MS로 호박의 열분해 산물을 분석하여 호박을 구성하는 성분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열과 산소가 있는 조건에서 60일 동안 인공열화하여 호박의 열분해 산물의 구성비가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호박의 주요 열분해 산물로 abietic acid가 검출되었고, monoterpene류, alkene류, aromatic hydrocarbon류가 검출되었다. 주요한 23개의 성분에 대해 열화에 따른 상대적인 면적비를 비교하여 열화에 따른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주성분인 abietic acid는 산소와 열이 있는 조건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지만, 열만 있는 조건에서는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아 산소가 호박의 열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풍화된 호박 원석의 표면에 대해 열화실험 결과를 적용하여 열화상태를 파악하는 시도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bers have been used mostly as beads, jewelry and ornaments from ancient times and excavated as a buried artifact. When excavated, they are severely weathered to be cracked, exfoliated and disintegrated. Monitoring of changes in composition of amber according to weathering is very important for d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호박을열 조건, 열과 산소 조건에서 60일 동안 인공열화시킨후 열분해/GC/MS분석을 실시하여 호박 구성 성분과 열분해 산물의 변화양상을 관찰하였다. 구성 성분에 대한 상대적인 변화와 주요 성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호박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마커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 결과를 실제 호박의 풍화된 표면에 적용하여 풍화정도를 이해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 구성 성분에 대한 상대적인 변화와 주요 성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호박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마커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 결과를 실제 호박의 풍화된 표면에 적용하여 풍화정도를 이해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박을 장식품, 공예품에 사용하게된 특성은? 호박은 삼나무과, 금송과, 콩과 등의 나무에서 나오는 삼출물이 수백만년 동안 땅 속에 묻혀 고분자화된 것으로서 Baltic, Dominican 호박 등 생성된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옛날부터 광택, 희소성 등보석으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장식품, 공예품 등에 사용되어 왔다. 우리나라에서도 백제, 가야, 신라등 삼국시대 이래 유적에서 호박유물이 종종 출토되어 왔으며, 조선시대에 사용된 호박 장식품은 상당수가 전세되어 오고 있다.
호박은 무엇으로 만들어졌는가? 호박은 삼나무과, 금송과, 콩과 등의 나무에서 나오는 삼출물이 수백만년 동안 땅 속에 묻혀 고분자화된 것으로서 Baltic, Dominican 호박 등 생성된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옛날부터 광택, 희소성 등보석으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장식품, 공예품 등에 사용되어 왔다.
식물성 수지를 분류하는 2가지 그룹은? 식물성 수지는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성분들의 혼합물로서 terpenoid 수지와 phenolic 수지의 2가지 그룹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Terpenoid 수지는 isoprene 단위(C 5 H 8 )로 구성되며, fused ring system을 구성하고, 침엽수와 속씨식물에 널리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 Park and Y. Lim, J. Conserv. Sci., 28(3), 247-256 (2012). 

  2. E. Barletta and K. Wandelt, J. Non-cryst. Solids, 357, 1473-1478 (2011). 

  3. D. Grimaldi, Sci., 326, 51-52 (2009). 

  4. D. Scalarone and O. Chiantore, In 'Organic mass spectrometry in art and archaeology', M. P. Colombini and F. Modugno Eds., p327, Wiley, West Sussex, 2009. 

  5. Y. Shashoua, 'Degradation and inhibitive conservation of Baltic amber in museum collections', The National Museum of Denmark, 2002. 

  6. K. L. Sobeih, M. Maron and J. Gonzalez-Rodriguez, J. Chromatogr. A, 1186, 51-66 (2008). 

  7. L. Osete-Cortina and M. T. Domenech-Carbo, J. Chromatogr. A, 1065, 265-278 (2005). 

  8. L. Osete-Cortina and M. T. Domenech-Carbo, J. Chromatogr. A, 1127, 228-236 (2006). 

  9. H. Ling, N. Maiqian, G. Chiavari and R. Mazzeo, Microchem. J., 85, 347-353 (2007). 

  10. M. J. Casas-Catalan and M. T. Domenech-Carbo, Anal. Bioanal. Chem., 382, 259-268 (2005). 

  11. I. Bonaduce and M. P. Colombini, J. Chromatogr. A, 1028, 297-306 (2004). 

  12. M. Guiliano, L. Asia, G. Onoratini and G. Mille, Spectrochimica Acta Part A, 67, 1407-1411 (2007). 

  13. R. H. Brody, H. G. M. Edwards and A. M. Pollard, Spectrochimica Acta Part A, 57, 1325-1338 (2001). 

  14. J. Park, Y. Lim,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chaeological amb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1. 

  15. J. Park and Y. Lim, Anal. Sci. Technol., 24(4), 256-265 (2011). 

  16. J. P. Lewicki, R. L. F. Albo, C. T. Alviso and R. S. Maxwell, J. Anal. Appl. Pyrol., 99, 85-91 (2013). 

  17. D. W. Page, J. A. van Leeuwen, K. M. Spark and D. E. Mulcahy, J. Anal. Appl. Pyrol., 67, 247-262 (2003). 

  18. D. Scalarone, M. Lazzari and O. Chiantore, J. Anal. Appl. Pyrol., 58-59, 503-512 (2001). 

  19. R. C. A. Rottlaender, Archaeometry, 12, 35-52 (19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