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강우 시 나지교란사면 토사유출에 미치는 다짐처리의 영향
Effects of Surface Compaction Treatment on Soil Loss from Disturbed Bare Slopes under Simulated Rainfall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6 no.5, 2013년, pp.559 - 568  

박상덕 (강릉원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신승숙 (강릉원주대학교 방재연구소) ,  김선정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재해기상연구센터) ,  최병구 (강릉원주대학교 수충부 및 토석류 방재기술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양의 다짐은 강우 시 지표유출 및 토사유출에 큰 영향을 끼친다. 다짐은 체적밀도 증가, 전단강도 증가, 공극률 변형, 투수계수 등과 같은 토양특성 변화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인공강우 실험을 활용하여 개발지의 사면조건과 유사한 나지교란사면에서 표면의 다짐처리가 지표유출 및 토사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표면처리(다짐, 비다짐), 강우강도(68.5mm/hr, 95.6mm/hr), 사면경사($5^{\circ}$, $12.5^{\circ}$, $20^{\circ}$)의 각 조건별 3회 반복하여 총 36회의 강우모의에 따른 지표유출 및 토사유출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다짐처리 후 토양의 체적밀도 및 전단강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 특성의 변화가 지표유출에 미치는 영향은 강우강도와 사면경사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였다. 평균 토사유출량은 강우강도와 사면경사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토사유출량은 강우강도와 사면경사 별 다짐처리 유 무에 따라 다른 반응을 보였다. 완경사($5^{\circ}$)에서는 다짐처리에서 더 많은 토사가 유출되었으나, 급경사($20^{\circ}$)에서의 다짐처리는 토사유출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지교란사면에서는 토사유출에 대한 다짐효과의 천이구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본 연구의토양조건 및 강우조건에서 천이구간은 완경사와 급경사 사이로서 사면경사 $10{\sim}15^{\circ}$ 범위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rface compaction significantly impacts runoff and soil erosion under rainfall since it leads to changes of soil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increase of bulk density and shear stress, change of microporosity, and decrease of hydraulic conductivity. This study addressed surface compaction eff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지역 공사현장의 대표적인 지표유형인 나지교란사면에서 표토의 다짐(compaction) 처리가 지표유출 및 토사유출 저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강우모의 실험을 수행하고, 토양침식의 주요 지배요인인 강우강도와 사면경사에 따라 이들이 어떠한 변화 특성을 나타내는지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표토의 다짐을 위해 다짐롤러(직경 35 cm, 폭 60 cm, 무게 50 kg)를 이용하여 선행 측정된 토양의 체적밀도와 유사한 값이 되도록 재현하였다. 선행 측정된 토양의 체적밀도는 건설현장에서 백호의 버킷을 이용하여 다짐처리 할 경우로 가정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하여 숙련자에 의해 성토된 동일한 토양에 대해 현장다짐을 실시한 후 총 4곳에서 측정된 평균 체적밀도를 측정하였고, 이 값을 토양상자 내의 토양의 다짐 횟수별 체적밀도와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발지 교란사면에서 원천적으로 토사유출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방법들의 문제점은? , 2009), 임목폐기물(Kang and Lee, 2012)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개발지 교란사면에서 원천적으로 토사유출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들을 평가하였으며 높은 수준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대단위 개발지에 적용하기에는 높은 공사비가 소요되며, 연간 유출되는 토사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장마기와 집중호우 대비를 위한 일시적인 대책으로는 시공 상 많은 시·공간적인 제약이 따른다. 그러한 이유로 개발공사 중에 일시적으로 포장을 덮기도 하지만, 대부분 나지상태로 방치하며 토사유출 저감을 위해 나지사면을 다짐처리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개발행위는 무엇의 원인이 되는가?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더불어 도로개설, 신도시건설 및 산지개발 등 인간에 의한 토지이용의 고도화로 인해 매년 자연을 훼손한 개발지의 사면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개발행위는 특성상 기존 토지의 용도가 변경되고, 건설공사가 수반됨에 따라 광범위한 지표의 노출과 교란이 필연적으로 발생되어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강우 시 유실토양은 인근 수계로 유입되어 다른 유기물들과 함께 수생태계의 형성 및 유지에 필요한 생육공간(Gomi et al.
개발지에서 토사유출을 저감하는 방법은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개발지에서 발생하는 토사유출을 저감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실트펜스(silt fence), 토목섬유 등의 가설형 시설과 이동식 여과 처리시설 등과 같은 장치형 시설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구분한다. 가설형 유출저감 시설은 간단하고 저렴한 시공비로 인해 가장 범용화 되어있는 일반적인 방법이고(Harbor, 1999), 장치형 시설은 보다 높은 저감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으나 비용 측면에서는 효율적이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dekalu, K.O., Okunade, J.A., and Osunbitan, J.A. (2006). "Compaction and mulching effects on soil loss and runoff from two southwestern Nigeria agricultural soils." Geoderma, Vol. 137, pp. 226-230. 

  2. Agassi, M., Bloem, D., and Ben-Hur, M. (1994). "Effect of drop energy and soil and water chemistry on infiltration and eros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pp. 1187-1193. 

  3. Aust, W.M., Burger, J.A., Carter, E.C., Preston, D.P., and Patterson, S.C. (1998). "Visually determined soil disturbance classes used as indices of forest harvest disturbance." Southern Journal of Applied Forestry, Vol. 22, pp. 245-250. 

  4. Block, R., Van Rees, K.C.J., and Pennock, D.J. (2002). "Quantifying harvesting impacts using soil compaction and disturbance regimes at a landscape scale."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n Journal, Vol. 66, pp. 1669-1676. 

  5. Choi, B.K. (2012). "Soil physical and hydrological properties affected by forest harvesting within riparian areas of forested headwaters." Journal of Korean Forestr Society, Vol. 101, No. 3, pp. 538-545. 

  6. Choi, Y.H., Jeong, S.H., Kim, C.Y., Kim, H.S., and Oh, J.H. (2009). "Characteristics evaluation of non point source treatment facilities in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10, No. 3, pp. 53-62. 

  7. Dong, J., Zhang, K., and Guo, Z. (2012). "Runoff and soil erosion from highway construction spoil deposits: A rainfall simulation stud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Vol. 17, pp. 8-24. 

  8. Ekwue, E.I., and Harrilal, A. (2010). "Effects of soil type, peat, slope, compaction effort and their interactions on infiltration, runoff and raindrop erosion of some Trinidadian soils." Biosystems Engineering, Vol. 105, pp. 112-118. 

  9. Flanagan, D.C., and Nearing, M.A.(eds)(1995). USDA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WEPP) version 95.7, hillslope profile and watershed model documentation. National Soil Erosion Research Laboratory Report 10. USDA-ARS, West Lafayette. 

  10. Fox, D.M., and Bryan, R.B. (1999). "The relationship of soil loss by interrill erosion to slope gradient." Catena, Vol. 38, pp. 211-222. 

  11. Gomez, J.A., and Nearing, M.A. (2005). "Runoff and sediment losses from rough and smooth soil surfaces in a laboratory experiment." Catena, Vol. 59, pp. 253-266. 

  12. Gomi, T., Sidle, R.C., and Richardson, J.S. (2002). "Understanding processes and downstream lingkages of headwater systems." Bioscience, Vol. 52, pp. 905-916. 

  13. Hairsine, P.B., and Rose, C.W. (1992). "Modeling water erosion due to overland flow using physical principles: I. Sheet Flow."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8, pp. 237-243. 

  14. Hamza, M.A., and Anderson, W.K. (2005). "Soil compaction in cropping systems: A review of the nature, causes and possible solutions." Soil & Tillage Research, Vol. 82, pp. 121-145. 

  15. Harbor, J. (1999). "Engineering geomorphology at the cutting edge of land disturbance: erosion and sediment control on construction sites." Geomorphology, Vol. 31, pp. 247-263. 

  16. Helming, K., Romkens, M.J.M., and Prasad, S.N. (1998). "Surface roughness related processes of runoff and soil loss: a flum study."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Vol. 62, pp. 243-250. 

  17. Im, J.H., Song, J.W., Park, S.S., and Park, H.S. (2007). "An experimental study on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facilities for reducing runoff considering surface materials according to housing lot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8, No. 5, pp. 47-55. 

  18. Kang, S.W., and Lee, T.Y. (2012). "Recycling of wood waste generated from construction sites for removal of soil efflux."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Vol. 29, No. 3, pp. 245-250. 

  19. Kim, C.M., Lee, E.J., Lee, S.Y., Kim, Y.C., and Kim, L.H. (2008). "Sediment unit loads from developing areas during storms."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Vol. 10, No. 1, pp. 59-68. 

  20. Kim, S.J. (2012). A study of soil erosion in bared slope. Master's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21. Kinnell, P. (1991). "The effect of flow depth on sediment transport induced by raindrops impacting shallow flow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34, pp. 161-168. 

  22. Kinnell, P. (2005). "Raindrop-impact-induced erosion processes and prediction: a review." Hydrological Processes, Vol. 19, pp. 2815-2844. 

  23. Lacey, S.T., and Ryan, P.J. (2000). "Cumulative management impacts on soil properties and early growth of Pinus radiat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Vol. 138, pp. 321-333. 

  24. Morgan, R.P.C., Quinton, J. N., Smith, R.E., Govers, G., Poesen, J.W.A., Auerswald, K., Chisci, G., Torri, D., and Styczen, M.E. (1998). "The european soil erosion model (EUROSEM): a dynamic approach for predicting sediment transport from fields and small catchments."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Vol. 23, pp. 527-544. 

  25.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2011). Experimental analysis for variation of sediment yields according to development and monitoring of experimental watersheds. No.11-1311526-000014-14. 

  26. Park, S.D., Lee, K.S., and Shin, S.S. (2012). "Statistical Soil Erosion Model for Burnt Mountain Areas in Korea-RUSLE Approach."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ASCE), Vol. 17, pp. 292-304. 

  27. Park, S.D., and Shin, S.S. (2011). "Applying evaluation of soil erosion models for burnt hillslope: RUSLE, WEPP and SEMM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1, No. 3B, pp. 221-232. 

  28. Rab, M.A. (2004). "Recovery of soil physical properties from compaction and soil profile disturbance caused by logging of native forest in Victorian Central Highlands, Australi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Vol. 191, pp. 329-340. 

  29. SAS Institute Inc. (2008). SAS/STAT 9.2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30. Shin, M.H., Won, C.H., Choi, Y.H., Seo, J.Y., Lee, J.W., Lim, K.J., and Choi, J.D. (2009). "Simulation of field soil loss by artificial rainfall simulator: By varying rainfall intensity, surface condition and slop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25, No. 5, pp. 785-791. 

  31.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3). Developing water quality criteria for suspended and beded sediments. 

  32. Zobeck, T.M., and Onstad, C.A. (1987). "Tillage and rainfall effects on random roughness: a review." Soil & Tillage Research, Vol. 9, pp. 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