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연구개발(R&D)위한 기술계통도(Technology Tree) 기획방법론 활용 사례 - 에너지저장 기술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Technology Tree Methodology of Energy R&D 원문보기

신재생에너지 = New & Renewable Energy, v.9 no.2, 2013년, pp.40 - 50  

강근영 (고려대학교 그린스쿨대학원 에너지.환경정책기술학과) ,  윤가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김동환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overnment spending 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creased continuously is much more important to decision-making methodology for rational investment. Rely on a group of minority experts in the application of a general methodology, a tipping effect occur in specific technology field or difficult ba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주장하는 내부적 자원인 내생적 자료와 외부적 자원인 기획위원, 특허 기술동향 조사, 경제성 분석 등이 상호 작용하여 기획시스템에서 작용되도록 조직이 구성되고 기획시스템6)이 전반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2011년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기획과정에서 에너지저장 기술 분야를 구체적으로 실시하여 보겠다. 기술계통도는 과거 기술 추진현황, 연구기반이 조성된 분야, 연구관심분야, 기술수요분야 등과 현재 시점으로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국가 연구개발사업의 기획단계에서 일부 정책적 결정 및 전문가 그룹에 의존하여 이뤄지는 사항을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으로 추진되도록 개선된 방법론을 기획절차에 도입하는 것이 목적이다.
  • 연구개발 기획방법론 측면에서 기술계통도 분석은 기술예측, 기술로드맵, 기술영향평가, 국가과학기술 중장기 계획 등의 모델들과 함께 작동하여 유의미한 기획 결과로 도출되기 위한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활용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방법론에 의해 실현되는 기획 결과가 확정적으로 유효할 수는 없다.
  • 지금까지 에너지저장 기술 분야에 대한 기술계통도 분석 자료를 제시하였고, 분석 자료가 기획위원회에 작용하여 기획과제로 도출되는 과정에서 작용토록 하는 것이 분석 시도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너지기술개발사업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에너지기술개발사업은 1988년 대체에너지기술개발(현재 신재생에너지를 말함) 국가 기본계획을 토대로 사업이 태동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에너지기술개발사업은 에너지자원기술개발,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 전력 및 원자력발전기술개발, 방사성폐기물관리기술개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88년 7.5억원 예산으로 시작하여 2012년에는 7,000억원 이상 투자규모로 확대되었다.
에너지기술개발사업이 일반적으로 거치는 기획 절차는? 과학기술기본법에서는 기술예측, 기술로드맵, 기술영향 평가와 연구개발 중장기 계획에서는 보다 세부적인 특허 기술동향 조사, 경제성 분석의 기획방법론을 제시하여 정부 연구개발사업 추진 시 이를 준수하고 있다. 에너지기술개발사업은 일반적으로 “수요조사→기획 주제 검토→기획위한 전문가 그룹구성→기획보고서 작성”으로 기획절차를 거친다.
에너지기술개발사업의 정성적 의사결정 방식을 보완하는 방법은? 그런데 이러한 기획절차는 선형적1)으로 단계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획에 참여하는 전문가 그룹에만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정성적 의사결정 방식이다.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써 정부의 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는 전담기관에서는 특허 기술동향조사와 경제성 분석의 정량적이고 외생적인 기획 기초자료를 활용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당해년도 지원할 기술 분야를 도출하는 과정은 수요조사와 기존 수립된 국가로드맵, 국가 산업 정책 목표 달성을 위한 해당년도 연구개발 정책 등이 고려되어 기획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Park, C. G., Hong, J. S., Park, Y. G., Choi, K. R. 2000, "A Study on a Model for Energy R&D strategies Using AHP", Energy Engg, Vol. 9, No. 3, pp. 269-270, 277. 

  2. KETEP., 2012, "Energy R&D statistical data", KETEP, seoul, pp. 68-72. 

  3. Lee, J. J., Hyen, B. W., Choi, Y. H. 2011,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phenomenon and theory", KM CO, seoul, pp. 76-77, 167, 182, 196-198. 

  4. Albert H. Teich., 1994, "Priority-setting and economic payoffs in the basic research: An American perspective", Higher Education 28, Netherlands, pp. 1. 

  5. Lee, J. O., Lee, G. H., Jeong, S. Y., Jo, S. B., Yeun, J. H. 2007, "R&D Management", KM CO, seoul, pp. 137-167. 

  6. Song, W. J. 2010,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policy of the 2000s: pursuit of creation and integration", hanwul academy, seoul, pp. 15-20. 

  7. Moon, S. Y. 2004, "Strategic Planning Methodology for National R&D Projects of Emerging Technology: Integrated Procedure of TRM and KM", STEPI, Policy research 2004-10, pp. 56-72, 78, 80. 

  8. Jang, D. H. 2004, "R&D strategic planning manual", STEMI, seoul, pp. 154-157, 168-199, 262-264. 

  9. Karpsoo KIM. 2004, "A Study on Best Practice Model of R&D Planning System: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STEPI, Policy research 2002-09, pp. 12, 15, 16-26. 

  10. KETEP. 2011, "Green Energy strategic Roadmap: Energy Storage System (ESS)", KETEP, seoul, pp. 14-18, 124, 130, 139, 142, 152, 156. 

  11. Jang D. H. 2004, "Technology Roadmap", STEMI, seoul, pp. 11-12, 35-53. 

  12. Andreas Falui. 1973, "Planning Theory", Pergamon Press, Oxford, pp. 36. 

  13. KETEP. 2012, "Energy Technology R&D Warehouse: Energy Storage System (ESS)", KETEP, seoul, pp. 10, 73-89. 

  14.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11, "Energy Storage System Technology Development & Industrialization strategy (K-ESS 2020)", MKE, Gyeng Ki, pp. 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