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략기술정보 '레포지터리'로서 기술트리(Tech. Tree)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기술로드맵(TRM)과의 전략적 통합방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Technology Tree as a Strategic Technology Information Repository - Focused on the Tech-Tree and TRM Integration - 원문보기

정보관리연구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39 no.3, 2008년, pp.205 - 220  

이원일 (한국전력공사 경영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연구개발 조직에서 '전략기술정보 레포지터리'로서 기술트리(Technology Tree)의 도입을 추진한 후 기술트리의 전략적 활용(utilization)을 위해서 기술로드맵과 통합추진 과정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을 두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기술트리의 개념과 특성을 밝히고, 연구개발 과정에 기술트리를 전략적으로 기술로드맵과 연계 활용하게 되는 주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이론연구 및 사례 분석을 통하여 기술트리의 전략적 활용을 위해서는 기술로드맵과 유기적으로 연계해야 한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기술트리 활용을 위한 제반요인을 기술정보역량 측면에서 고찰한 본 연구는 기술트리 추진 후에 이를 실제로 전략적으로 활용하려는 연구개발 조직에게 큰 함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major determinants for the strategic utilization of technology tree as a strategic technology information repository after the adoption of the technology tree in the R&D intensive organization. The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both theoretical study and qualitative ca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연구원은 기술로드맵의 전략적 추진을 통해서 전략과 연구개발의 통합을 이루고 미래연 구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전략기획팀을 중심으로 기술로드맵 중심 추진 조직을 구축하였으며, 외부 과제 발주 형식으로 기술로드맵 전문 외부조직을 통해 기술로드맵 도입을 추진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연구개발의 최적화 및 기술 역량의 탐색과 활용의 최대화를 위하여 기술 로드맵 추진 중에 기술트리를 보완적으로 추진하는 측면에 집중하여 전략적 연계성을 추진하는 측면을 고찰하여 본다. 기술로드맵의 추진은 크게 2단계로 나누어서 추진되며, 대개 1단계 핵심기술도출 단계 이후에 기술트리가 추진된다.
  • 지속적으로 조직혁신을 추구하고 급변하는 시장상황에 대응해야 하는 현재의 글로벌 경쟁 환경하의 조직상황에서 기술트리의 전략적 활용은 연구개발활동에 전략적 방향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조직의 미래비전에 근거한 미래기술 성능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시장-기술통합의 전략적 인프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트리의 이러한 혁신의 속성을 고찰하고 기술트리의 개념과 추진단계를 기술정보관점에서 고찰하였으며, 기술트리 추진한 후 조직내에서 전략적 활용을 위한 방안을 타 기술기획과의 연계방안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기술트리는 자체가 기술의 체계화를 통해 기술혁신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미래 시간축상에서 미래기술의 전략방향에 따라 시간전개를 통해 기술혁신의 인프라로 작용할 수 있는 기술로드맵과의 연계를 통해서 시너지가 창출될 수 있다.
  • 이러한 기술트리의 작성방법은 다음과 같은 논리로 전개될 수 있다. 우선, 시장에 근거하여 대상연구개발의 제반기술 이슈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제품의 콘셉트를 설정하고 관련 시장정보를 입수한다.
  • 기술 표준화는 연구개발 필드에 있는 자원을 활용하는 역량이 될 수 있으므로, 조직내 어떠한 역량을 활용할 수 있고, 어떠한 역량을 외부에서 도입할 수 있는지 기술도입의 관점도 고려 되었다. 이렇게 조직내의 기술트리의 체계적 전개를 통하여 조직내 기술역량에 대한 체계적 전개와 향후 활용가능성이 진지하게 논의될 수 있었으며, 향후 필요 기술에 대한 도입 방안도 논의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트리의 개념과 특성을 밝히고, 연구 개발 과정에 기술트리를 전략적으로 기술로드 맵과 연계, 활용하는 과정에 관하여 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하여 향후 기술트리의 전략적 활용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현재 기술트리 연구의 대부분은 기술 적인 측면에서 핵심기술도출, 요소기술도출 및 품질기능전개(Quality Function Deployment) 와의 연개방안의 모색 등에만 집중되어 있는 현실이며, 기술로드맵과 같은 주요 타 기술기획과 기술트리의 실질적이고 전략적인 활용에 대한 연구는 시도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트리의 개념과 특성을 밝히고, 연구 개발 과정에 기술트리를 전략적으로 기술로드 맵과 연계, 활용하는 과정에 관하여 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통하여 향후 기술트리의 전략적 활용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 내에서 기술의 전략적 방향성을 체계 적으로 제시하는 기술트리를 활용할 때 이점은 무엇인가? 조직 내에서 기술의 전략적 방향성을 체계 적으로 제시하는 기술트리를 활용하여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기술트리의 요소기술 간의 전략적 연계성은 R&D 프로젝트의 진행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구체화되어질 수 있다. 지속적으로 조직혁신을 추구하고 급변하는 시장상황에 대응해야 하는 현재의 조직상 황에서 기술트리의 활용은 연구개발 활동에 전략적 방향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조직의 미래비전에 근거한 미래기술 성능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시장-기술통합의 체계적인 전략적 인프라’라고 할 수 있다.
기술트리란? 기술트리(Tech. Tree)는 연구개발의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동시에 기업전략과 시장상황 및 연구개발 활동의 정합을 추구하는 강력한 ‘시장-기술통합의 매커니즘’1)이라고 할 수 있다. 기술트리는 조직의 미래비전 달성을 위해 전략 기능별로 연구개발 조직의 각 부문별로 산재되어 있는 여러 기술들 중 시장상황 및 조직역량에 비추어 가장 중요한 전략적 핵심기술(core technology)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요소기술, 세부 요소기술들을 전략적으로 도출함과 동시에 그룹화를 함으로써 체계적 프로젝트 수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게 한다.
기술트리의 전략적 혁신성을 사장시키는 측면으로 서술된 것은? 지속적으로 조직혁신을 추구하고 급변하는 시장상황에 대응해야 하는 현재의 조직상 황에서 기술트리의 활용은 연구개발 활동에 전략적 방향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조직의 미래비전에 근거한 미래기술 성능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시장-기술통합의 체계적인 전략적 인프라’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현재 많은 조직에서 기술트리를 연구개발 부문에 전략적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인식하고 이를 추진하고 있지만, 기술트리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기술트리의 추진을 연구개발 부문의 하나의 이벤트성 경영혁신으로 파악하는 경우가 있다. 즉, 타 기술기획 툴과의 전략적 연계를 시키지 못해서 기술트리가 연계성이 없이 자체적으로만 활용되어 지는 경우가 있다. 이는 기술트리의 전략적 혁신성을 사장시키는 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윤진효 외. 2006. 신연구개발기획론: 특허, 시장, 논문분석의 통합을 중심으로. 서울: 경문사. 

  2. 손욱. 2005. 초일류 목표설정의 길.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3.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2. 연구기획평가를 위한 방법론 개발 및 사례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4.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5. 기술전략맵.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5.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06. 기술경영 수준 평가 및 발전방안. 서울: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6. 이원일. 2008. 기술로드맵 추진과 활용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39(1):177-198. 

  7. 이원일. 2008. 전략기술로드맵(STRM)추진을 통한 전략-연구개발통합방안 - ICT전략 기술도출과 로드맵을 중심으로. 한국경영정보학회 춘계학술발표논집. 

  8. B. Berg. 2004.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ocial Sciences. Boston: Allyn and Bacon. 

  9. Emerging Industries, Competitive Australia. 2001. Technology Planning for Business Competitiveness, A Guide to Developing Technology Roadmaps. Occasional Paper. 

  10. Irene. J. P. 2006. Product & Technology Roadmapping: Maximizing Strategic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orkshop Materials, April 3-4, 2006, Savannah, GA. 

  11. Irene. J. P. 2005. "Roadmapping as a mitigator of uncertainty in strategic technology choice." Portla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Management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PICMET). 

  12. Irene. J. P. & Ann. E. 2004. "Technology roadmapping in review: A tool for making sustaining new product development decisions."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71: 81-100. 

  13. March, J. G. 1991.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in Organizational Learning." Organizational Science, 2(1). 

  14. Marie, L. G. & Olin, H. B. 1997. “Fundamentals of Technology Roadmapping, Sandia National Laboratory.”SAND, 97-165. 

  15. Martin, R. 2004. "Technology Roadmaps: Infrastructure for innova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71: 67-80. 

  16. Richey, J. M. & Grinnell, M. 2004. "Evolution of Roadmapping at motorola." Research-Technology Management, 47(2): 37-45. 

  17. Robert, P., Clare J. P. & Farukh. R. 2001. Technology Roadmapping: Linking technology resources to business objectives. University of Cambridge. 

  18. Robert, P., Clare J. P. & Farukh. R. 2004. "Technology Roadmapping - A Planning Framework for evolution and revolu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 Social Change, 71: 5-26. 

  19. Phillip. A., Roussel. K. N., Saad & Tamara. J. E. 1991. Third Generation R&D : Managing the link to the Corporate Strategy, Arthur D. Little, INC. 

  20. William L. M. & Langdon. M. 1999. 4th Generation R&D, Managing Knowledge, Technology and Innovatio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