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구급대원에서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 및 환자평가 향상을 위한 교육 필요성
Necessity of Education for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o Improve Awareness of Early Symptoms of Stroke and Assessment of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8 no.2, 2013년, pp.130 - 141  

이정미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장열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성빈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영훈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오경재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응급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뇌졸중과 관련된 교육에 대한 특성 및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전라북도 전체 응급구급대원 298명이었으며 설문조사는 직접면접법을 통해 이뤄졌다. 조사기간은 2011년 4월 1일-30일까지 1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뇌졸중 관련 교육 이수율은 63.2%로 나타났으며 주로 소방학교(63.1%)를 통해 이수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상자들의 뇌졸중 관련 교육 실시요구도(85.0%)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뇌졸중 조기증상에 대한 전반적인 조기인지 수준 및 뇌졸중 환자 상태평가 점수는 여자에서, 30대 미만, 소방사에서, 구급업무를 직접 담당자에서, 응급구조사에서 뇌졸중 환자 상태평가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 발생 시 우선적 조치사항으로는 전문치료가 가능한 최근접 병원으로의 환자 이송이 82.8%로 나타났다. 뇌졸중 조기증상에 대한 인지수준, 환자 상태평가, 환자처치에 대한 적절성은 뇌졸중 관련 교육 이수자에서 비이수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응급구급대원은 뇌졸중 조기증상에 대한 조기인지 수준이 증가할수록 뇌졸중 환자 처치에 대한 자신감, 처치 만족도, 처치 적절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응급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뇌졸중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시에는 기존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심층분석을 통해 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내용과 적절한 교육과정을 확보함으로써 교육 대상자들의 요구도를 충족시키고, 교육 이수율을 높여 궁극적으로는 응급구급대원들의 실질적인 역량 강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nsider the necessity of stroke-related educational programs by investigating early symptoms of stroke that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may experience. Methods: An interview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all EMTs 298 people who were work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응급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뇌졸중과 관련된 교육에 대한 특성 및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응급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뇌졸중과 관련된 교육에 대한 특성 및 뇌졸중 조기증상 인지 수준을 파악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치료의 근간은? 뇌졸중 발생은 환자 및 가족의 심리적, 신체적 부담을 증가시킴으로써 개인, 가족 및 사회의 경제적 손실과 같은 사회적 부담도 증가시키게 된다[2]. 뇌졸중 치료의 근간은 급성기에 폐색된 혈관을 빠른 시간내에 재개통시킴으로써 뇌혈류를 회복시키고, 신경보호 치료를 하여 허혈로 인한 신경세포의 손상을 방 지하는 것이다[3].
뇌졸중 환자 관리 시 응급구급대원의 역할이 중요한 까닭은? 이렇게 제한된 시간 내에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치료 가능 시간대에 병원에 도착 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뇌졸중 증상의 조기 인식, 신속한 병원이송과 같은 병원전 단계의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3]. 따라서 뇌졸중 환자 관리 시 병원전 단계에서 뇌졸중 환자 인지에 따른 병원 이송을 담당하는 응급구급대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과 관련한 특징은? 뇌졸중에 의한 사망률은 증상 발생 후 조기 치료 여부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으며, 뇌졸중 환자 중 3시간 이내에 병원에 도착하지 못하여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경우는 70%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CDC.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long-term functional level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he first-ever stroke. KCDC, 2012, pp.8 (Korean) 

  2.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 Trend of medical treatment in the elderly with geriatric diseas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0, pp.1-7 (Korean) 

  3. The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 Disorder and Stroke t-PA Stroke Study Group: Tissue plaminogen activator for acute ischemic stroke. N Engl J Med 1995;333:1581-1587 

  4. Antman EM, Anbe DT, Armstrong PW, Bates ER, Green LA, Hand M, et al. ACC/AHA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executive summary.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Writing committee to Revise the 1999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J Am Coll Cardiol 2004;44(3):671-719 

  5. Doh HB, Lee BC, Lee IH, Kim JH, Kim SM, Kwon KH. Presentation time to hospital and recognition of stroke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J Korean Neurol Assoc 2000;18(2):125-131 (Korean) 

  6. Anderson NE, Broad JB, Bonita R. Delay in hospital admission and investigation in acute stroke. BMJ 1995;311(6998):162 

  7. Salisbury HR, Banks BJ, Footitt DR, Winner SJ, Reynolds DJ. Delay in presentation of patients with acute stroke to hospital in Oxford. QJM 1998;91(9):635-640 

  8. Kothari R, Jauch E, Broderick J, Brott T, Sauerbeck L, Khoury J et al. Acute stroke: delays to presentation and emergency department evaluaion. Ann Emerg Med 1999;33(1):3-8 

  9. Moser DK, Kimble LP, Alberts MJ, Alonzo A, Croft JB, Dracup K, et al. Reducing delay in seeking treatment by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and strok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ouncil on cardiovascular nursing and stroke council. J Cardiovasc Nurs 2007;22(4):326-343 

  10. Croquelois A, Bogousslavsky J. Risk awareness and knowledge of patients with stroke: 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3 months after strok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6;77(6):726-728 

  11. Campos-Sousa RN, Soares VY, Almeida KJ, Carvalho LI, Jacobina KS, Athayde Netto AE, et al. Knowledge of stroke among a Brazilian urban population. Arq Neuropsiquiatr 2007;65(3A):587-591 

  12. Aly Z, Abbas K, Kazim SF, Taj F, Aziz F, Irfan A, et al. Awareness of stroke risk factors, signs and treatment in a Pakistani population. J Pak Med Assoc 2009;59(7): 495-499 

  13.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The cognitive level of early symptoms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Regional Cardiocerebrovascular Center, 2012, pp.10 (Korean) 

  14. Community Health Research. Health and drug laws. Gyechukpub, 2013, pp.160 (Korean) 

  15. KCDC. Awareness survey of the early symptoms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in Gyeongsangbuk-do. Osong, KCDC, 2011, pp.22-23 (Korean) 

  16. Kothari RU, Pancioli A, Liu T, Brott T, Broderick J. Cincinnati Prehospital Stroke Scale: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Ann Emerg Med 1999;33(4):373-378 

  17. Kidwell CS, Starkman S, Eckstein M, Weems K, Saver JL. Identifying stroke in the field. prospective validation of the Los Angeles prehospital stroke screen(LAPSS). Stroke 2000;31(1):71-76 

  18. Community Health Research. Health and pharmaceutical laws and regulations. Gyechukpub, 2012, pp.135-204 (Korean) 

  19. Albrts MJ, Perry A, Dawson DV, Bertels C. Effects of publ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on reducing the delay in presentation and referral of stroke patients. Stroke 1992;23(3):352-356 

  20. Oh GJ. Characteristics of prehospital care against severe emergency patients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nd Hospital, 2011, pp.94-95 (Korean) 

  21. Caro JJ, Huybrechts KF, Duchesne I. Management patterns and costs of acute ischemic stroke : An international study. For the stroke economic analysis group. Stroke 2000;31(3):582-590 

  22. Jo MW, Bae HJ. One-Year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Its Comparison With Various Clinical and Functional Scale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Stroke Registry Study. J Korean Neurol Assoc 2009;27(1):28-35 (Korean) 

  23. Yoo JH, Eo EK, Kim YJ, Song HS. Educational Effect on Prehospital Personnel for Prehospital Stroke Management. J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02;13(1):23-30 (Korean) 

  24. Jeong SG, Kim KS, Cho SH, Kang MG, Han MA. The Contents of Emergency Treatment Practice Conducted b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and Related Factors. J Agri Med & Community Health 2009;34(3): 346-358 (Korean) 

  25. The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rt-PA Stroke Study Group.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for acute ischemic stroke. N Engl J Med 1995;333:1581-1587 

  26. Engelstein E, Margulies J, Jeret JS. Lack of t-PA use for acute ischemic stroke in a community hospital: high incidence of exclusion criteria. Am J Emerg Med 2000;18(3):257-2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