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초균과 유산균의 혼합배양에 의한 두유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oybean Yogurt by Mixed Culture of Bacillus sp. and Lactic Acid Bacteri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6 no.2, 2013년, pp.273 - 279  

양밍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곽정순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세리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찌아위엔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인식 (동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이 풍부한 원료 콩에 청국장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와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혼합발효를 통해 대두 발효 제품의 개발을 목표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우수 균주 선별을 위한 연구로 고초균의 경우 단백질 분해능이 높은 균주를 청국장에서 분리하였고, 유산균의 경우 산도 생성이 높은 균주를 김치에서 분리하였다. 그리고 청국장에서 분리한 균주는 Bacillus subtilis로, 김치에서 분리한 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다. 두유 발효에서 pH는 Lactobacillus plantarum를 이용한 두유 발효와 혼합 배양의 경우가 급격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고,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일 경우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완만한 변화를 보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두유 발효와 혼합 배양의 경우가 lactic acid의 생성은 배양 8시간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의 경우가 완만하게 증가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pH 분석에서 나타난 결과와 일치하였다. 두유 요구르트 생육도 측정 결과는 혼합 배양의 경우 단독 배양에 비해 증식이 더 우수하였으며, 배양 32시간째 각 처리구별 총 균수는 Lactobacillus plantarum의 경우 $1.02{\times}10^8$ $cfu/m{\ell}$, Bacillus subtilis의 경우 $2.12{\times}10^8$ $cfu/m{\ell}$인데 비해 혼합 배양의 경우는 $4.09{\times}10^8$ $cfu/m{\ell}$로 가장 높았다. ${\alpha}$-Amylase의 활성은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과 혼합 배양일 경우는 8시간 이후 효소 활성이 증가되면서 24시간 동안 발효시 22.01 $unit/m{\ell}$, 8.13 $unit/m{\ell}$로 가장 높았다. Protease의 경우는 Bacillus subtilis 단독 배양과 혼합 배양일 경우는 8시간 이후 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발효 32시간째 103.08 $unit/m{\ell}$, 85.84 $unit/m{\ell}$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Lactobacillus plantarum 단독 배양일 경우는 가수분해효소 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croorganisms producing high protease activity and acid producing ability were isolated from Chunggukjang and kimchi, which were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and Lactobacillus planetarum by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nutrient requirement. The attempt was made to produce soybean milk yo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양학적으로 손색이 없는 단백질 자원의 대두를 주원료로 청국장 발효 균주인 고초균과 김치에서 유래한 유산균을 이용하여 혼합 발효를 통한 대두발효 식품인 두유 요구르트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이 풍부한 원료 콩에 청국장에서 분리한 Bacillus subtilis와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혼합발효를 통해 대두 발효 제품의 개발을 목표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구르트의 건강 증진 효과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요구르트는 우유를 젖산균으로 발효시켜 산미와 향미를 강화시킨 것으로 우유성분 외에 젖산균으로 유효성분(lactate, peptone, peptide, 미량활성물질)의 생성, 젖산균이 함유되어 있어서 영양학적으로 우유보다 우수하다(Jung & Ju 1997). 특히 요구르트의 건강 증진 효과로는 유당 소화 불량 개선, 장내 균총 정상화 및 정장 작용, 설사와 변비의 개선, 장내 유해 세균의 생육 억제 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면역 증진 작용, 항암 작용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obinson 등 1984; Savaiano 등 1984; So MH 1985; Hood & Zottola 1988).
대두는 어떤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가? 또한 대두는 곡식이지만 육류에 가까운 성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밭에서 나는 육류라고 부르고 있다. Saponin, phytic acid, isoflavones, hema- glutinins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암을 비롯한 성인병 예방 및 치료에 대한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Yoo & Yeo 2008).
콩의 이용에 제한을 받게 되는 콩의 특성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렇게 풍부한 영양학적인 가치를 지닌 콩도 특성상 몇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있는데, 특히 콩 비린내를 내는 lipoxygenase는 기호성을 저하시키고, 인체의 대사중에 위와 장에서 가스를 생성하는 flatulence와 trypsin inhibitor, phytic acid 등의 영양장애 요인이 있어(Jung HJ 2008), 이용을 하는데 제한을 받고 있기 때문에, 가공법의 개선과 함께 소화율을 높이고, 콩 비린내와 가스 생성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발효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다(Lim 등 1984). 최근에는 두유에 Lactobacillus나 Bifidobacteria 등과 같은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 두유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Jang & Yoo 1997), 그러나 식물 유래 유산균과 고초균을 이용한 두유 발효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 EK, Cho HY, Kim BC, Shin HH, Cho SC, Kook MC, Pyun YR. 2011. Development of pretreatment and mixed culture processes for plant originated lactic acid to produce a functional lactic acid beverage. Korean J Food & Nutr 24:117-123 

  2. Gerhardt. 1981. 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3. Harold J. 1994. Benson Microbiological Applications 6th edn. Wm. C. Brown Publishers. pp 143-168 

  4. Hood, SK, Zottola, EA. 1988. Effect of low pH on the ability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to survive and adhere to human intestinal cells. J Food Sci 55:506-511 

  5. Horikoshi K. 1971. Production of alkaline enzyme by alkalophilic microorganism. Agric Biol Chem 35:1783-1791 

  6. Jang JK, Yoo SH. 1997. Preparation of soy yogurt using isolated soybean protein and whey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1128-1134 

  7. Jeong EJ. 2010. Chemopreventive effects of soymilk fermented by Bacillus subtilis KCCM 42923.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 Busan. Korea 

  8. Jung GT, Ju IO. 1997.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dded purple sweet potato powder. Kor J Food Nutr 10:458-461 

  9. Jung HJ. 2008. Development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soy yogurt fermented Lactobacillus isolated from plants. Master's Dissertation, Yonsei Uni. Seoul. Korea 

  10. Kim CH, Shin YK, Baick SC, Kim SK. 1999. Changes of oligosaccharide and free amino acid in soy yogurt fermented with different mixed cul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739-745 

  11. Kim HJ, Lee JJ, Cheigh MJ, Choi SY. 1998. Amylase protease, peroxidase and ascorbic acid oxidase activity of Kimchi ingredi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0:1333-1338 

  12. Kim JS. 1989. Perspective and transition of death causes among Korean. Korean J Epidemiol 11:155-174 

  13. Kim RU. 2010.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oy yogurtforming lactic acid bacteria.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 Busan. Korea 

  14. Lim SJ, Kho YT, Yoo JC. 1984. Manufacture of yogurt from soy protein concentrate. Food Sci Biotechnol 16:143-148 

  15. Macfaddid JF. 1980. Biochemical Test for Identification of Medical Bacteria. 2nd edn. Willams and Wilkins. Baltimore 

  16. Noh BS, Kim SJ, Kim YS, Lee KG, Lee JH. 2008. Food Analysis. Soohaksa, Seoul 

  17. Oh SM. 2006. Optimization of production of bioactive compounds of the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by Bacillus sp. Master's Thesis, Keimyung Uni. Korea 

  18. Park KY. 2012.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fermented foods. Food Ind Nutri 17:1-8 

  19. Robinson IM, Whipp SC, Bucklin JA, Allison MT. 1984. Characterization of predominant bacteria from the colons of normal and dysenteric pigs. Appl Environ Microbiol 33:79-85 

  20. Savaiano DA, Abou A, Anouar AL, Smith DZ, Levitt MD. 1984. Lactose malabsorption from yogurt, pasteurized yogurt, sweet acidophilus milla, and cultured milk in lactose-deficient individuals. Am J Clin Nutr 40:1219-1225 

  21. Shin YS, Lee KS, Kim DH. 1983.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nd sweet potato or pump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5:666-671 

  22. So MH. 1985. Identification and tolerance test to digestive fluids of Lactobacillius isolated from Korean liquid yogurt. Kor J Food Sci Technol 17:192-196 

  23. Yoo JH, Yeo IH. 2008. Soybean Food Processing. Hyoil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