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 김치로부터 Probiotic 유산균의 분리 및 우유 발효 특성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with Probiotic Activities from Kimchi and Their Fermentation Properties in Milk 원문보기

Journal of milk science and biotechnology = 한국유가공학회지, v.37 no.2, 2019년, pp.115 - 128  

임영순 ((주)서울에프엔비 식품연구소) ,  김지연 ((주)서울에프엔비 식품연구소) ,  강현철 ((주)서울에프엔비 식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통 김치로부터 유단백질 분해능lactose 분해능을 가지는 유산균을 선발하고,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측정하여 발효유용 스타터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BCP agar에서 젖산생성력이 우수한 32 colony를 선발한 후 내산성 및 내담즙성 모두에서 90% 이상으로 내성이 우수한 2 colony(KC23, KF26)를 2차로 선발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API 50CHL 탄수화물 이용성 테스트 및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L. plantarum KC23과 L. paracasei KF26으로 동정되었다. 이들 중 lactose와 raffinose를 포함하여 당분해능을 가진 L. plantarum KC23을 최종 선발하고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조사하였다. 우유단백질 분해능을 10% 환원탈지유 배양 중의 유리 tyrosine 함량으로 측정한 결과, 배양 8시간 후에는 $24.1{\mu}g/mL$에서 배양 16시간 후에는 $43.9{\mu}g/mL$로 급격하게 증가되었으며, 또한 clear zone형성 크기를 비교한 결과 12 mm로 상업균주인 L. acidophilus CSLA의 9 mm보다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온도별 생장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45^{\circ}C$에서 보다 $35^{\circ}C$에서 잘 증식하는 중온균의 특성을 나타내었고, $37^{\circ}C$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 배양 6-10시간 사이에 대수증식기를 보였으며, 배양 12시간 후 생균수는 $8.9{\times}10^8CFU/mL$와 pH 4.25 수준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5개 병원성균에 대하여 8-13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여 우수한 저해특성을 보였으며, 그중 Salmonella typhimurium과 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장내부착능을 측정한 결과는 비교균주인 LGG에 비하여 2.23배의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10% 환원탈지유를 이용한 $37^{\circ}C$ 배양에서 젖산생성능을 확인한 결과는 대조군인 L. acidophilus CSLA에 비하여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적정산도가 0.74% 수준으로서 저산성 발효유 제조를 위한 스타터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ctic acid bacteria obtained from traditional Kimchi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ir caseinolytic activity and lactose usability and examined for availability as a starter in probiotic activity. Thirty-two strains were selected as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in BCP agar, and two strains (KC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통 김치로부터 유단백질 분해능과 lactose 분해능을 가지는 유산균을 선발하고,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측정하여 발효유용 스타터로서의 이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BCP agar에서 젖산생성력이 우수한 32 colony를 선발한 후 내산성 및 내담즙성 모두에서 90% 이상으로 내성이 우수한 2 colony(KC23, KF26)를 2차로 선발하였다.
  • 이중 저작능력 저하는 섭취할 수 있는 음식에 제한이 생기고, 식사의 양과 질이 떨어질 수도 있는데, 발효유 소재는 섭취 용이성과 함께 영양을 효과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며 특히, 단백질 분해특성이 우수한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는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물질의 저분자화로 소화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Food Yearbook, 2018). 본 연구에서는 강원지역에서 제조된 전통김치로부터 lactose와 raffinose를 포함하여 분해능을 가지며 또한, 내산성 및 내담즙성과 우유단백질 분해능이 우수한 유산균을 분리 선발하고, 분리균의 형태 및 생화학적 특성과 항균성 및 장내부착능 등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새로운 유산균주로서 우유 발효용 스타터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화 사회에서 발효균을 섭취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는? 고령인구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인체를 구성하는 조직 및 기관의 생리적 기능은 성숙기에 비해 비가역적으로 저하되며, 이러한 신체변화에 따라 만성 퇴행성질환의 위험률이 증가하며, 저작장애, 연하장애, 소화흡수율 저하, 미각감소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중 저작능력 저하는 섭취할 수 있는 음식에 제한이 생기고, 식사의 양과 질이 떨어질 수도 있는데, 발효유 소재는 섭취 용이성과 함께 영양을 효과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며 특히, 단백질 분해특성이 우수한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는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물질의 저분자화로 소화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Food Yearbook, 2018).
유산균이란? 유산균은 탄수화물을 이용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미생물로서 오랫동안 산업에 이용되어 왔으며, 발효공정을 통해 탄수화물과 단백질 및 지방성분 등을 분해하여 풍미를 증진시키고, 영양학적 가치를 높여준다(Leroy and De Vuyst, 2004). Elie Mechinikoff가 불가리아 사람들이 장수를 누리는 이유가 Lactobacillus로 발효된 발효유의 섭취 때문이라는 것을 밝혀내어 노벨상을 받은 이래로 유산균과 프로바이오틱스의 기능성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오고 있다(Mercenier et al.
발효공정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유산균을 비롯한 세균들이 프로바이오틱스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위산과 담즙산에 살아 남아 소장까지 도달하여 장에서 증식하고 정착하여야 하며, 장관 내에서 유효한 효과를 나타내어야 한다. 또한, 발효공정을 통해서는 추가적으로 유당불내증을 개선하고, 면역기능 개선 등 다양한 효능을 기대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화 되고 있는 제품 유형과 소비자 성향을 충족시켜주기 위해서는 우수한 프로바이오틱스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2. Ahn, D. K., Han, T. W., Shin, H. Y., Jin, I. N. and Ghin, S. Y. 2003. Diversity and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1:191-196. 

  3. 10.1099/00207713-52-2-507 Choi, H. J., Cheigh, C. I., Kim, S. B., Lee, J. C., Lee, D. W., Choi, S. W., Park, J. M. and Pyun, Y. R. 2002. Weissella kimchii sp. nov., a novel lactic acid bacterium from Kimchi. Int. J. Syst. Evol. Microbiol. 52:507-511. 10.1099/00207713-52-2-507 11931163 

  4. Choi, H. S. and Hwang, J. H. 2000. Antioxidative characteristic of Kimchi. Food Ind. Nutr. 5:52-56. 

  5. Food Yearbook. 2018. Food Journal. Korea. pp. 122-136. 

  6. Han, H. L. 1991. The ecology of Kimchi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Microbiol. 7:68-75. 

  7. Han, H. U., Lim, C. R. and Park, H. K. 1990.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s an indicator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26-32. 

  8. Hull, M. E. 1947. Studies on milk proteins. Ⅱ.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the partial hydrolysis of the proteins in milk. J. Dairy Sci. 30:881-884. 10.3168/jds.S0022-0302(47)92412-0 

  9. 10.1016/S0928-0987(01)00209-3 Kaur, I. P., Chopra, K. and Saini, A. 2002. Probiotics: potential pharmaceutical applications. Eur. J. Pharm. Sci. 15:1-9. 10.1016/S0928-0987(01)00209-3 

  10. Kim, D. S., Cho, H. W., Kim, D. H. and Oh, K. H. 2013.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akei JK-17 isolated from long-term fermented Kimchi, Muk Eun Ji.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28:18-23. 10.7841/ksbbj.2013.28.1.18 

  11. 10.3746/jkfn.2013.42.1.089 Ko, K. H., Liu, W., Lee, H. H., Yin, J. and Kim, I. C. 2013. Biolog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n different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89-95. 10.3746/jkfn.2013.42.1.089 

  12. Lee, J. S., Lee, K. C., Ahn, J. S., Mheen, T. I., Byun, Y. R. and Park, Y. H. 2002. Weissella koreensis sp. nov., isolated from Kimchi. Int. J. Syst. Evol. Microbiol. 52:1257-1261. 10.1099/ijs.0.02074-0 

  13. 10.3746/jkfn.2013.42.11.1872 Lee, L. S., Jung, K. H., Choi, U. K., Cho, C. W., Kim, K. I. and Kim, Y. C. 201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from Kimchi and their fermentation properties of soymilk.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872-1877. 10.3746/jkfn.2013.42.11.1872 

  14. 10.1016/j.tifs.2003.09.004 Leroy, F. and De Vuyst, L. 2004. Lactic acid bacteria as functional starter cultures for the food fermentation industry. Trends Food Sci. Tech. 15:67-78. 10.1016/j.tifs.2003.09.004 

  15. 10.5851/kosfa.2008.28.1.82 Lim, Y. S., Kim, S. Y. and Lee, S. K. 2008.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efir made of goat milk. Korean J. Food Sci. Anim. Resour. 28:82-90. 10.5851/kosfa.2008.28.1.82 

  16. 10.1128/AEM.56.7.2120-2124.1990 Mcdonald, L. C., Fleming, H. P. and Hassan, H. M. 1990. Acid tolerance of Leuconostoc men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Appl. Environ. Microbial. 56:2120-2124. 

  17. 10.2174/1381612033392224 Mercenier, A., Pavan, S. and Pot, B. 2003. Probiotics as biotherapeutic agents: Present knowledge and future prospects. Curr. Pharm. Des. 9:175-191. 10.2174/1381612033392224 12570667 

  18. Mok, J. S., Song, K. C., Kim, Y. M. and Chang, D. S. 2002. Cultural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amylovorus IMC-1 producing antibacterial substan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249-254. 

  19. O’Halloran, S., Feeney, M., Morrissey, D., Murphy, L., Thornton, G., Shanahan, F., O’Sullivan, G. C. and Collins, J. K. 1997. Adhesion of potential probiotic bacteria to human epithelial cell lines. Int. Dairy J. 8:596. 

  20. 10.1016/S0958-6946(99)00043-6 Ouwehand, A. C., Kirjavainen, P. V., Shortt, C. and Salminen, S. 1999. Probiotics: Mechanisms and established effects. Int. Dairy J. 9:43-52. 10.1016/S0958-6946(99)00043-6 

  21. 10.1023/A:1020620607611 Ouwehand, A. C., Salminen, S. and Isolauri, E. 2002. Probiotics: An overview of beneficial effects. Antonie Van Leeuwenhoek. 82:279-289. 10.1023/A:1020620607611 12369194 

  22. Park, K. Y. and Cheigh, H. S. 2000.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imchi Sci. Technol. 6:117-122. 

  23. Song, Y. J., Park, S. H., You, J. Y., Cho, Y. S. and Oh, K. H. 2009.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poisoning causing bacteria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YK-9 isolated from Kimchi.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24:273-27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