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통 브랜드의 슬로건 태도, 브랜드 태도, 브랜드 회상 모형 분석
Model analysis of slogan attitude, brand attitude, and brand recall of retail brands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1 no.3, 2013년, pp.338 - 347  

여은아 (계명대학교 패션마케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t was explored a research model consisting of slogan attitude, brand familiarity, brand attitude, brand recall, and product category recall of retailers.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with 3,028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to 40's using stimuli of 10 slogan-brand sets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대부분의 유통업체들은 슬로건에 대한 효과 검증이 거의 없이 브랜드 네임과 병기하여 슬로건을 제작,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상품을 취급하는 유통업체의 슬로건을 대상으로 이에 대한 소비자 반응, 즉 슬로건 태도, 브랜드 태도, 브랜드 회상, 카테고리 회상을 연결하는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또한 기존에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던 브랜드 친숙성은 다른 변인을 예측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사료되어, 이를 포함한 연구모형 개발과 검증을 실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상품을 취급하는 유통업체의 슬로건을 대상으로 이에 대한 소비자 반응, 즉 슬로건 태도, 브랜드 태도, 브랜드 회상, 카테고리 회상을 연결하는 모형을 제안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또한 기존에 소비자들이 가지고 있던 브랜드 친숙성은 다른 변인을 예측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고 사료되어, 이를 포함한 연구모형 개발과 검증을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슬로건을 사용하고 있거나, 사용 계획 중인 유통업체들에게 슬로건의 사용이 줄 수 있는 직접적, 간접적 효과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그러나 슬로건의 사용이 유통 브랜드의 호감도를 상승시키는지, 어떤 요소가 슬로건을 보았을 때 해당 슬로건을 사용하는 브랜드나 상품군을 바르게 연상하는데 도움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통 브랜드의 슬로건에 대한 태도, 브랜드 친숙성, 브랜드 태도, 브랜드 회상, 카테고리 회상 변인들간의 관계를 모형 개발과 검증을 통해 알아봄으로서 슬로건의 사용이 유통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 유통 브랜드나 카테고리 회상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여 슬로건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앞서 제시한 연구가설을 증명하기 위한 연구모형을 [Fig. 1]과 같이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얻은 자료를 기반으로 이 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랜드 슬로건이란? 브랜드 슬로건은 ‘기업의 생각이나 주장을 일정기간이나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좋은 인상을 유지, 누적, 정착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카피’로 인식된다(Lee, 1990). 슬로건은 브랜드 네임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브랜드 네임과 병기하여 쓰거나, 광고 캠페인 홍보의 주요 도구로 활용하는 등 브랜드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며, 경쟁 브랜드와 차별화하는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Keller, 2003).
브랜드 슬로건에 대한 연구 중 없었던 연구는? 그간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 브랜드 슬로건에 대한 연구자들의 관심은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슬로건 사용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을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는 거의 없었다(Lee, 2006; Reece et al., 1994).
보다 더 강렬한 슬로건의 반복적 노출을 하려는 기업이 늘어나는 이유는? 광고의 홍수 속에서 과다한 상업적 메시지의 남발로 광고회피가 빈번해짐에 따라(Hawkins & Hoch, 1992) 보다 더 강렬한 슬로건의 반복적 노출을 통해 광고효과를 얻으려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늘어가는 광고비와는 반대로 소비자들은 그들이 접촉한 광고를 바르게 회상하는 확률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lba, J. W., & Hutchinson, J. W.(1987). Dimension of experti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 411-454. 

  2. Barros, C. P., Santos, A. B., & Chack, S.(2007). Sponsorship brand recall at the EURO 2004 soccer tournament. Sports Marketing Quarterly, 16(3), 161-170. 

  3. Dahlen, M., & Rosengren, S.(2005). Brands affect slogans affect brands? Competitive interference, brand equity and the brand-slogan link. Brand Management, 12(3), 151-164. 

  4. Ennis, R., & Zanna, M.(1993). Attitudes, advertising, and automobiles: A functional approach.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0, 662-666. 

  5. Fiore, A. M., Yah, X., & Yoh, E.(2000). Effects of a product display and environmental fragrancing on approach responses and pleasurable experiences. Psychology & Marketing, 17(1), 27-54. 

  6. Garbett, T. F.(1981). Corporate advertising: The what, the why, and the how. New York: McGraw-Hill. 

  7. Hawkins, S. A., & Hoch, S. J.(1992). Low-involvement learning: Memory without evalu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2), 212-225. 

  8. Hitchon, J., Thorson, E., & Zhao, X.(1988). Advertising repetition as a component of viewing environment: Impact of emotional execution on commercial reception. Working paper from the School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at Madison. 

  9. Hoch, S. J., & Deighton, J.(1989). Managing what consumers learn from experience. Journal of Marketing, 53(2), 1-20. 

  10. Holbrook, M. B., & Batra, R.(1987). Assessing the role of emotions as mediators of consumer response to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 (December), 404-420. 

  11. Holden, S., & Lutz, R.(1992). Ask not what the brands evoke, ask what evoke brand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9, 101-107. 

  12. Hwang, I. S.(2011).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dorser fit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in print adverti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Science, 36(3), 75-90. 

  13. Johnson, E. J., & Russo, J. E.(1984). Product familiarity and learning new inform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1, 542-550. 

  14. Keller, K. L.(2003) Strategic brand management.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5. Kent, R. J., & Allen, C. T.(1994). Competitive interference effects in consumer memory for advertising: The role of brand familiarity. Journal of Marketing, 58, 97-105. 

  16. Kent, R. J., & Kellaris, J. J.(2001). Competitive interference effects in memory for advertising: Are familiar brands exempt?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7(3), 159-169. 

  17. Kiley, D.(2004, October 14). Can you name that slogan? Business Week Online. Retrieved from http://www.businessweek.com/bwdaily/dnflash/oct2004/nf2041014_4965_db035.htm 

  18. Kim, D. H.(2012). Effects of city slogan on slogan and city attitud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19. Kim, H. S., Lee, K. Y., & Ryu, J. H.(2010). The effect of three factors for advertising communication: Brand familiarity, message complexity and advertisement's novelty.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1(1), 311-328. 

  20. Kim, H.(December 5, 2012). Fashion clothing sales, decrease in the department store and increase in the home-shopping. Joinsmsn. Retrieved from http://isplus.liv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9789916&cloc 

  21. Kohli, C., Leuthesser, L., & Suri, R.(2007). Got slogan? Guidelines for creating effective slogans. Business Horizons, 50, 415-422. 

  22. Law, S.(2002). Can repeating a brand claim lead to memory confusion? The effects of claim similarity and concurrent repeti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9(August), 366-378. 

  23. Lee, H. B.(2006). Analysis of major brand slogan: Focus on 50th big clients.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7(5), 267-280. 

  24. Lee, K. S.(1990). Print media advertising design. Seoul: Nanam. 

  25. Mitchell, A. A., & Olson, J. C.(1981). Are product attribute beliefs the only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s on brand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August), 318-332. 

  26. Park, H. S., & Kim, Y. H.(2001). The relation between response of travel agency's internet ad and ad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16(2), 167-185. 

  27. Park, Y. J.(2001). Analysis on linguistic usage of institutional slogan. Bilinguals, 19, 273-297. 

  28. Petty, R. E., Cacciopo, J. T., & Schumann, D.(1983).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0(2), 135-146. 

  29. Raju, P. S., Lonial, S. C., & Mangold, W. G.(1995). Differential effects of subjective knowledge, objective knowledge, and usage experience on decision making: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4(2), 153-180. 

  30. Reece, B. B., Vanden Bergh, B. G., & Li, H.(1994). What makes a slogan memorable and who remembers it. Journal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16(2), 41-57. 

  31. Rosengren, S., & Dahlen, M.(2006). Brand-slogan matching in a cluttered environment. Journal of Marketing Communications, 12(4), 263-279. 

  32. Yang, Y., & Yun, S. Y.(2005). The effects of brand name, prior knowledge, response mode on consumer's information recall. Advertising Research, 67, 85-108. 

  33. Yoo, J. H.(2003). The impact of English slogans on advertising effects in corporate adverti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4. Yoo, J. H.(March 21, 2013). Fashion power in the on-line fashion industry. Digital Times, p.15. Retrieved from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3032102011532787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