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어메니티 촉진을 위한 마을만들기 운영사례 비교연구
A comparative case study of neighbourhood making for promoting a local amenity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19 no.2, 2013년, pp.129 - 138  

이영창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김근호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research was to analyze programs, outcomes, promotion process, and operation methods of neighbourhood making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ogressive improvement directions in the future. Buk-gu in Gwanju city, samdeok-dong in Daegu city and dongpirang in Tongyeong city were se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는 지역 이미지를 확립하고, 어메니티 형성 촉진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자 하는 취지로 시행되었던 국내사례들 중 마을만들기의 주도유형에 따른 대표적 사례지 세 곳을 선정하여 마을만들기의 현황과 각종 프로그램 추진과정과 운영방식 등을 비교분석 함으로서 향후 바람직한 어메니티 촉진을 위한 마을만들기 시행의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요약되었다.
  • 따라서 세계 주요 도시에서는 경쟁력 제고를 위해 어메니티 개념의 도입과 아울러 다양한 디자인 프로젝트를 시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기존의 도시에 대한 질적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어메니티와 관련된 다양한 제도적, 디자인 관련 사업 활성화 등을 통한 실질적 촉진에 대한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 가운데 특히, 지역주민들이 지역사회를 만드는 데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지역 환경을 개선시키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동시에 어메니티 촉진을 유도하려는 움직임에 대하여 주목하고자 한다. 즉,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는 지역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생활자 중심의 개발사업을 말하며, 이러한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의 관련 디자인개발을 통해 지역의 어메니티와 아이덴티티를 확립시키는 것에 큰 특징이 있다고 볼 수 있다(김인환, 2008).
  • 딸린 점포는 녹색가게로 이용되다가 일부공간은 2008년부터 희망자전거 수리 센터로 사용되고 있고, 나머지 공간은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연계한 예비 사회적 기업인 피스트레이드가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경과를 통해 어떠한 주요 프로그램이 지역의 활성화에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세 가지의 프로그램 성과를 알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이미지를 확립하고, 어메니티 형성 촉진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자 하는 취지로 시행되었던 국내사례들 중 마을만들기의 주도유형에 따른 대표적 사례 세 곳을 선정하여 마을만들기의 현황과 각종 프로그램 추진과정과 운영방식 등을 비교분석 함으로서 향후 바람직한 어메니티 촉진을 위한 마을만들기 시행의 운영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에 있어 중요한 부분은? 주민은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의 대표적이고 가장 중요한 추진 주체이며, 마을만들기의 대상이 되는 물리적·비물리적 지역 환경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으며 전문가나 외부인이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방법을 제시해 나갈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있어야만 지속적인 지역사회운동의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주민주도형 마을만들기가 제일 중요시되고 있다(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6).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이후부터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사회의 주역이 되는 세대 역시 과거의 경제발전만을 외치던 세대에서 자율성 또는 개성을 중시하는 세대로 점차 바뀌어 나가면서 주민들의 생각과 가치관 또한 변화되기 시작하였고, 이전의 생계유지를 위한 1차원적 방식으로 벗어나, 삶의 질에 관심을 쏟기 시작하였다.
어메니티는 어떻게 활용 가능한가? 현대시민의 삶의 질이 도시를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면서 도시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요소 중에 어메니티(Amenity)라는 요건에 대한 기대가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어메니티는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구적 기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의 강력한 도구로도 활용 가능하므로 자치단체들이 지향하고 있는 도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조건으로 작용하기도 한다(김인환, 2008; 마은주와 박부미, 2008,). 따라서 세계 주요 도시에서는 경쟁력 제고를 위해 어메니티 개념의 도입과 아울러 다양한 디자인 프로젝트를 시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기존의 도시에 대한 질적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어메니티와 관련된 다양한 제도적, 디자인 관련 사업 활성화 등을 통한 실질적 촉진에 대한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세계 주요 도시에서는 어메니티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가? 이러한 어메니티는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구적 기능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의 강력한 도구로도 활용 가능하므로 자치단체들이 지향하고 있는 도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조건으로 작용하기도 한다(김인환, 2008; 마은주와 박부미, 2008,). 따라서 세계 주요 도시에서는 경쟁력 제고를 위해 어메니티 개념의 도입과 아울러 다양한 디자인 프로젝트를 시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기존의 도시에 대한 질적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어메니티와 관련된 다양한 제도적, 디자인 관련 사업 활성화 등을 통한 실질적 촉진에 대한 모색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 가운데 특히, 지역주민들이 지역사회를 만드는 데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지역 환경을 개선시키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동시에 어메니티 촉진을 유도하려는 움직임에 대하여 주목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김남두, 2006,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사업의 유형별 특성 분석,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은경, 2012, 도시문화프로젝트 : 통영 동피랑 벽화마을, 대한지방행정공제회 47(523), 60-63. 

  3. 김은경, 민원기 2011, 브라보 My파트너 : 광주광역시 북구 주민자치과 마을만들기킴-주민참여로 특화된 마을만들기 전형을 보여주다, 대한지방행정공제회, 60(694), 52-55. 

  4. 김인환, 2008, 어메니티를 활용한 문화도시 활성화 방안, 전남대 석사학위논문. 

  5.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6, 농촌계획의 이론과 실제, 보성각. 

  6. 마은주, 박부미, 2008,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 어메니티를 활용한 지역개발사례연구-어메니티에 기반을 둔 국내.외 지역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19, 17-26. 

  7. 문종화, 장준호, 2012,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마을 만들기 사업 연구, 한국지역사회발전 논문집 37(1), 75-87. 

  8. 박현옥, 2008, 국내 마을만들기 사업에서 나타난 주민참여형 공공디자인 표현특성 연구-대구 삼덕동, 광주 북구, 마산시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4(4), 206-216. 

  9. 송혜승, 이명훈, 이명규, 2008, 주민 참여 마을만들기의 선호사업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 북구 문화동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3(3), 37-53. 

  10. 심재봉, 2006,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 북구청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이명규, 2007, 광주광역시 북구의 마을만들기 추진 현황과 과제, 광주광역시 북구. 

  12. 이용연, 2004, 지방자치발전을 위한 마을만들기 사업 활성화 방안 : 광주광역시 북구와 광주 YMCA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13. 이훈규, 2004, 좋은 동네 만들기의 활성화 방안 연구-광주YMCA와 북구청 사례를 중심으로, 전남대 석사학위논문. 

  14. 조득환, 김묘정, 2005, 대구광역시 마을만들기와 담장허물기의 연계방안, 대구광역시. 

  15. 조순제, 1999, 지방자치와 주민참여: 근린조직의 활성화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6(2), 349-369. 

  16. 조윤미, 2011, 국내 벽화마을만들기의 성공요건 분석, 경원대 석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