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인삼 씨의 식품 유용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국 인삼 씨의 무게, 일반성분, 무기질, 지방산 조성, 총 당, 산성다당체 함량을 비교해보았다. 먼저 인삼 씨의 백립중은 AGS가 $4.21{\pm}0.31g$으로 가장 무거웠다. 일반성분의 경우 조단백질 함량은 AGS가 $17.00{\pm}1.04%$로 가장 높았고, 조회분 함량은 KGS3가 $8.65{\pm}0.31%$로 매우 높은 값을 나타내 무기질이 풍부한 식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저연근의 인삼일수록 무기성분이 많았던 연구결과와 일치했다. 조지방 함량은 AGS가 $24.06{\pm}0.57%$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조섬유소 함량은 43.21-47.49%로 전체 씨의 절반 정도가 섬유소로 이루어진 섬유질이 매우 풍부한 식품 자원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기질은 칼륨과 인이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은 96% 이상이 불포화 지방산으로, oleic acid (C18:1, n9c)가 79.93-87.0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linoleic acid (C18:2, n6c)가 8.94-15.82%로 다음으로 많은 함량을 보였다. 품종이 다른 AGS는 유의적으로 oleic acid와 linoleic acid 조성에 차이가 났고, linolenic acid가 전혀 검출되지 않아 품종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총 당 함량은 15.00-26.17 mg glucose/g으로 인삼에 비해서는 적었지만, 다른 씨와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수치로 비교적 당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씨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삼 산성다당체는 0.56-0.80 mg ${\beta}$-D-galacturonic acid/g을 함유해 소량이지만 최근 유효성분으로 알려진 인삼 산성다당체를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Asian ginseng seed (Panax ginseng C.A. Meyer) and the American ginseng seed (Panax quinquifolium L.) grown in Korea (3 years, KGS3; 4 years, KGS4), China (4 years, CGS4), and USA (4 years, AGS4). AGS had the heaviest 100-seed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Meyer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산지특성을 부각시킨 것을 고려인삼(Korean ginseng)이라고 부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양이 서로 유사한 고려인삼과 학명이 같은 중국인삼, 학명이 다르지만 세계적으로 많이 유통되고 있는 미국삼의 씨를 이용해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인삼 씨가 약용이나 식품으로 응용될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이란?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한방에서는 신비의 불로장생 약으로 여겨져 왔다. 인삼이 언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는지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2천년전 고대 중국의 고서에 문자와 효능이 기술된 것으로 미루어보아 오랜 약용역사를 가졌음을 알 수 있다.
상품성이 입증되어 유통되고 있는 인삼 종은 무엇인가? 세계적으로 여러 인삼 종이 밝혀져 있는데, 그 중에서 상품성이 입증되어 유통되고 있는 종에는 크게 3가지 종이 있다. 한국을 비롯한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고 재배되고 있는 종(Panax ginseng C.A. Meyer)과 미국과 캐나다에서 재배되고 있는 미국삼(Panax quinquifolium L.)이 있으며, 중국 남쪽 지방의 운남성에서 생산되고 있는 전칠삼(Panax notoginseng F. H. Chen)이 있다. Panax ginseng C.
인삼에서 주요 효능성분은 무엇인가? 이와 함께 이들의 면역활성, 혈당강하활성, 항암활성 등이 알려져 있다(3). 이에 반해 인삼 씨에 대한 연구는 초기 인삼뿌리 연구를 위한 발아율 연구 1건(4)과 인삼에서 주요 효능성분이라고 알려진 ginsenoside에 대한 연구(5-7), 인삼 씨 오일의 지방산과 phytosterol에 대한 연구만 몇 건(8-10) 이루어졌을뿐 식용으로 이용되는 인삼 씨 자체에 대한 성분을 분석한 사례는 찾을 수 없었다. 세계적으로 여러 인삼 종이 밝혀져 있는데, 그 중에서 상품성이 입증되어 유통되고 있는 종에는 크게 3가지 종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un TK. Brief introduction of Panax ginseng C.A. Meyer. J. Korean Med. Sci. 16(Suppl): S3-5 (2001) 

  2. Park CK, Jeon BS, Yang JW.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ginseng. Food Indus. Nutr. 8: 10-23 (2003) 

  3. Jung NP, Jin SH.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effects of Korean ginseng. Korean J. Ginseng Sci. 20: 431-471 (1996) 

  4. Huang YG, Li XG, Cui SY, Yu WB, Kuang YL, Yan JK, Yang JX, Liu RS, Kim HS. Dynamic studies on physiology and biochemistry in american ginseng seed during stratification - Part II. Contents of soluble carbohydrate, crude fat, fatty acid and soluble protein. Korean J. Ginseng Sci. 21: 39-42 (1997) 

  5. Ko SK, Bae HM, Cho OS, Im BO, Chung SH, Lee BY. Analysis of ginsenoside composition of ginseng berry and seed. Food Sci. Biotechnol. 17: 1379-1382 (2008) 

  6. Sugimoto S, Nakamura S, Matsuda H, Kitagawa N, Yoshikawa M. Chemical constituents from seeds of Panax ginseng: structure of new dammarane-type triterpene ketone, panaxadione, and HPLC comparisons of seeds and flesh. Chem. Pharm. Bull. 57: 283-287 (2009) 

  7. Hu JN, Lee JH, Shin JA, Choi JE, Lee KT. Determination of ginsenosides content in Korean ginseng seeds and root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od Sci. Biotechnol. 17: 430-433 (2008) 

  8. Zhu XM, Hu JN, Shin JA, Lee JH, Hong ST, Lee KT. Comparison of seed oil characteristics from Korean Ginseng, Chinese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and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L.). J. Food Sci. Nutr. 15: 275-281 (2010) 

  9. Matsumoto T, Akihisa T, Soma S, Takido M, Takahashi S, Yamanouchi S. Composition of unsaponifiable lipid from seed oils of Panax ginseng and P. quiquefolium. J. Am. Oil Chem. Soc. 63: 544-546 (1986) 

  10. Beveridge THJ, Li TSC, Drover JCG. Phytosterol content in American ginseng seed oil. J. Agr. Food Chem. 50: 744-750 (2002) 

  11.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Method 777, 780, 788.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ry, Washington, DC, USA (1990) 

  12.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1956) 

  13. Do JH, Lee HO, Lee SK, Jang JK, Lee SD, Sung HS.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cidic polysaccharide from Panax ginseng, its extraction condition and stability. Korean J. Ginseng Sci. 17: 139- 144 (1993) 

  14. Hwang JT, Kang HC, Kim TS, Park WJ. Lipid component and properties of grape seed oils. Koren J. Food Nutr. 12: 150-155 (1999) 

  15. Kim EO, Lee KT, Choi SW. Chemical comparison of germinated- and ungerminated-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s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162-1167 (2008) 

  16. Lee CH, Nam KY, Choi KJ. Relationship between the age and chemical components of ginseng root's portion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263-268 (1978) 

  17. Choung YY, Chung CM, Ko SR, Choi KT.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nent of panax ginseng C.A. meyer and panax quinquefolium L. Korean J. Ginseng Sci. 19: 160-164 (1995) 

  18. KH S.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unds, Biological Activities and Utilization of Loquat in Korea.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Daejeon, Korea. pp. 11-12 (1998) 

  19. Vetvicka V. Glucan-immunostimulant, adjuvant, potential drug. World J. Clin Oncol. 2: 115-119 (2011) 

  20. Cheng H, Li S, Fan Y, Gao X, Hao M, Wang J, Zhang X, Tai G, Zhou Y. Comparative studies of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ginseng polysaccharides o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Med. Oncol. 28: 175-181 (2011) 

  21. Hong HD, Kim YC, Rho JH, Kim KT, Lee YC. Change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nax ginseng C.A. Meyer during repeated steaming process. J. Ginseng Res. 31: 222-229 (2007) 

  22. Choi YJ, Hwang KH. Analysis of the extraction condition of soluble acidic polysaccharides from ginseng marc. Kor. J. Phamacogn. 42: 82-88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