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장암 수술 후 퇴원 환자에게 적용한 컴퓨터 기반 애니메이션 동영상 교육의 효과
Effects of a Discharge Education Program using Computerized Animation Video for Post-operative Colon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6 no.1, 2013년, pp.37 - 46  

김영미 (서울대학교병원) ,  김민영 (제주대학교 간호학과) ,  권원경 (서울대학교병원) ,  김호숙 (서울대학교병원) ,  박승현 (서울대학교병원) ,  천명숙 (서울대학교병원) ,  한혜정 (서울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nurse-led education program using computerized animation video for post-operative colon cancer patients. Methods: a total of 163 patients and 51 nurs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pati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Price, MacKenzie, Metlay, Camargo, & Gonzales, 2011) 퇴원 후 환자의 접근성에 대해서는 고려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원에서는 물론 퇴원 후 가정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고려한 방법을 채택하였다. 우선 12개 항목에 대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일반외과 전문의 2인과 검토한 후 전문 애니메이션 업체 제작업체에 인터넷 정보 처방으로 실시간 구현되는 동영상을 제작 의뢰하였고, 3차례의 회의를 통해 10분 분량의 동영상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대장암 수술 환자에게 효율적인 퇴원 교육을 시행하기 위해 퇴원 후 관리 내용에 대한 브로슈어와 컴퓨터 기반 애니메이션 동영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를 이용하여 기존 방식의 퇴원교육을 시행한 대조군과, 개발된 브로우셔를 적용한 실험군 1, 개발된 컴퓨터 기반 애니메이션 동영상을 이용한 실험군 2를 설정하였다(Table 1).
  • 본 연구는 대장암 환자의 퇴원 후 자가관리를 위한 퇴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교육 프로그램이 환자와 간호사에게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수술 후 대장암 환자에게 질적이고 표준화된 퇴원 교육을 시행하고, 퇴원 후 가정에서도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의도로 이루어졌다. 간호사 주도로 환자의 요구에 맞추어 대장암 수술 후 퇴원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공신력 있는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모색이 이루어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수술 환자가 퇴원 후 원활한 자가관리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퇴원 후 관리 사항인 운동, 식이, 목욕, 상처관리, 통증관리, 부부관계, 활동제한, 가사활동, 사회 활동, 여행, 운전, 비행기 탑승 등 12가지 항목에 대해 애니메이션 기법을 이용해 개발된 10분 정도의 동영상을 퇴원 당일 간호사실에 마련된 공간에서 퇴원 환자에게 상영하고, 환자의 의문 사항에 대해 개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총 20분 정도의 퇴원 교육을 말한다. 개발된 동영상은 퇴원 후 가정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간호사가 해당 사이트에 회원 가입을 한 후 환자에게 정보 처방을 하여 환자의 휴대폰에 개인 인증번호와 인터넷 주소가 문자로 전송되도록 하여, 퇴원 후 집에서도 컴퓨터를 이용하여 필요 시 다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형식을 갖추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수술 후 퇴원을 앞둔 환자의 요구에 맞는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12가지 항목의 퇴원 후 관리 사항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브로슈어와 컴퓨터 기반 애니메이션 동영상을 간호사 주도로 개발하였다. 이는 환자를 가장 가까이에서 간호하는 간호사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여 대상자의 요구에 맞추기 위한 노력임과 더불어, 의료기관의 질을 측정하는 의료기관평가 요소 중 퇴원 교육 강화에 대한 요구 모두를 만족하기 위한 시도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가설 설정

  • •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이해도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만족도 점수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가 퇴원 시 고려해야할 점은 무엇인가? 최근 의료기관은 병상가동률을 높이기 위하여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조기 퇴원제도나 당일수술병동 등을 확대 운영하고 있어 환자 교육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며, 해당 병동이 아닌 다른 병동에 입원시키는 경우 또한 증가하여 환자들은 충분한 정보와 대처방안을 배울 기회를 갖지 못한 채 가정으로 돌아가고 있는 실정이다(Fagermoen & Hamilton, 2006). 정보 부족은 재입원이나 의료서비스 이용 증가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환자가 퇴원 시 적당한 수준의 만족할만한 교육을 받을 권리가 충족되고 있는지 고려되어야 한다(Sivarajan & Ganesan, 2012). 이와 관련하여 일부 국가에서는 법으로 환자의 정보 제공 권리를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의료기관평가에서 수술한 암 환자의 퇴원 후 관리 정보가 잘 제공되는지 평가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n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1).
정보 부족은 무엇을 초래하는가? 최근 의료기관은 병상가동률을 높이기 위하여 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조기 퇴원제도나 당일수술병동 등을 확대 운영하고 있어 환자 교육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으며, 해당 병동이 아닌 다른 병동에 입원시키는 경우 또한 증가하여 환자들은 충분한 정보와 대처방안을 배울 기회를 갖지 못한 채 가정으로 돌아가고 있는 실정이다(Fagermoen & Hamilton, 2006). 정보 부족은 재입원이나 의료서비스 이용 증가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환자가 퇴원 시 적당한 수준의 만족할만한 교육을 받을 권리가 충족되고 있는지 고려되어야 한다(Sivarajan & Ganesan, 2012). 이와 관련하여 일부 국가에서는 법으로 환자의 정보 제공 권리를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의료기관평가에서 수술한 암 환자의 퇴원 후 관리 정보가 잘 제공되는지 평가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n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1).
퇴원 시 적절한 정보의 제공시 어떠한 문제가 있는가? 퇴원 시 적절한 정보의 제공은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차원에서 중요한 사항이지만 간호사에게는 또 하나의 추가적인 업무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조직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수술한 암 환자의 퇴원 후 관리를 위한 표준화된 자료는 부족하며, 자료가 있는 경우에도 간호사 개인의 능력에 의존하여 개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환자가 질 높은 교육을 받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길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Fagermoen, M. S., & Hamilton, G. (2006). Patient information at discharge -A study of a combined approach.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63 (1), 169-176. http://dx.doi.org/10.1016/j.pec.2005.09.016 

  2.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http://dx.doi.org/10.3758/BRM.41.4.1149 

  3. Goodman, K., Nowacki, A., Wu, J., & Hickner, J. (2011). Utilization and impact of pre-office visit video health maintenance educatio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5 (2), e65-e68. http://dx.doi.org/10.1016/j.pec.2011.02.012 

  4. Gyomber, D., Lawrentschuk, N., Wong, P., Parker, F., & Bolton, D. M. (2010). Improving informed consent for patients undergoing radical prostatectomy using multimedia techniques: A prospective randomized crossover study. BJU International, 106 (8), 1152-1156. http://dx.doi.org/10.1111/j.1464-410X.2010.09309.x 

  5. Halkett, G. K. B., Kristjanson, L. J., Lobb, E., Little, J., Shaw, T., Taylor, M., et al. (2012). Information needs and preferences of women as they proceed through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6 (3), 396-404. http://dx.doi.org/10.1016/j.pec.2011.05.010 

  6. Hochlehnert, A., Richter, A., Bludau, H., Bieber, C., Blumenstiel, K., Mueller, K., et al. (2006). A computer-based information-tool for chronic pain patients: Computerized information to support the process of shared decision-making.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61 (1), 92-98. http://dx.doi.org/10.1016/j.pec.2005.02.014 

  7. Hwang, S. E. (2009). Need assessment of web based health education at cancer health information center .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8. Ihrig, A., Herzog, W., Huber, C. G., Hadaschik, B., Pahernik, S., Hohenfellner, M., et al. (2012). Multimedia support in preoperative patient education for radical prostatectomy: The physicians' point of view.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7 (2), 239-242. http://dx.doi.org/10.1016/j.pec.2011.08.014 

  9. Jeong, H. C. (2008). The effect of in-patient guide movie and booklet programs on understanding of hospital life and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4 (1), 45-50. 

  10. Jones, J. M., Nyhof-Young, J., Friedman, A., & Catton, P. (2001). More than just a pamphlet: Development of an innovative computer-based education program for cancer patient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44 (3), 271-281. http://dx.doi.org/10.1016/S0738-3991(00)00204-4 

  11. Jones, R. B., Pearson, J., Cawsey, A. J., Bental, D., Barrett, A., White, J., et al. (2006). Effect of different forms of information produced for cancer patients on their use of the information, social support, and anxiety: Randomised trial. BMJ: British Medical Journal, 332 (7547), 942-948. http://dx.doi.org/10.1136/bmj.38807.571042.68 

  12. Kang, M. K., Shon, K. H., & Lee, G. N. (2011). Effects of a program using video-audio media on knowledge level and compliance of sick role for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ngiograph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 (1), 100-109.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1.100 

  13. Keulers, B. J., Welters, C. F., Spauwen, P. H., & Houpt, P. (2007). Can face-to-face patient education be replaced by computer-based patient education? A randomised trial.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67 (1), 176-182. http://dx.doi.org/10.1016/j.pec.2007.03.012 

  14. Kim, A. S. (2007). Effects of support nursing using telephone counseling on self-care practices and quality of life for wome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5. Koo, E. J., & Kim, J. S. (2011). Effects of structured education program using CD-ROM on anxiety and self-care compliance in patients undergoing orthopedic spinal surgery.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8 (1), 39-49. http://dx.doi.org/10.5953/JMJH.2011.18.1.039 

  16. Lambert, S. D., & Loiselle, C. G. (2007). Health Information-Seeking behavior.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7 (8), 1006-1019. http://dx.doi.org/10.1177/1049732307305199 

  17. Loiselle, C. G., Edgar, L., Batist, G., Lu, J., & Lauzier, S. (2010). The impact of a multimedia informational intervention on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individuals with newly diagnosed breast or prostate cancer: A feasibility stud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0 (1), 48-55. http://dx.doi.org/10.1016/j.pec.2009.09.026 

  18. Makoul, G., Cameron, K. A., Baker, D. W., Francis, L., Scholtens, D., & Wolf, M. S. (2009). A multimedia patient education program on colorectal cancer screening increases knowledge and willingness to consider screening among Hispanic/Latino patient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6 (2), 220-226. http://dx.doi.org/10.1016/j.pec.2009.01.006 

  19. Mank, A., & Molenaar, S. (2008). An interactive CD-ROM to inform patients about stem cell transplantatio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3 (1), 121-126. http://dx.doi.org/10.1016/j.pec.2008.05.007 

  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n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1). Standards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for a large hospital (ver 1.2). Seoul: Author. 

  21. Nagler, R. H., Gray, S. W., Romantan, A., Kelly, B. J., DeMichele, A., Armstrong, K., et al. (2010). Differences in information seeking among breast, prostate, and colorectal cancer patients: Results from a population-based survey.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1 (S1), S54-S62. http://dx.doi.org/10.1016/j.pec.2010.09.010 

  2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3). Side effects of colon cancer. Retrieved May 19, 2013,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jsp/cancer/cancer.jsp?cancerSeq3797&menuSeq3814&viewTypeall&idcancer_020112000000 

  23. O'Leary, K. A., Estabrooks, C. A., Olson, K., & Cumming, C. (2007). Information acquisition for women facing surgical treatment for breast cancer: Influencing factors and selected outcom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69 (1-3), 5-19. http://dx.doi.org/10.1016/j.pec.2007.08.002 

  24. Price, E. L., MacKenzie, T. D., Metlay, J. P., Camargo, C. A., & Gonzales, R. (2011). A computerized education module improves patient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appropriate antibiotic use for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85 (3), 493-498. http://dx.doi.org/10.1016/j.pec.2011.02.005 

  25. Rozmovits, L., & Ziebland, S. (2004). What do patients with prostate or breast cancer want from an internet site? A qualitative study of information need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3 (1), 57-64. http://dx.doi.org/10.1016/S0738-3991(03)00116-2 

  26. Rutten, L. J. F., Arora, N. K., Bakos, A. D., Aziz, N., & Rowland, J. (2005). Information needs and sources of information among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1980-2003).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7 (3), 250-261. http://dx.doi.org/10.1016/j.pec.2004.06.006 

  27. Sivarajan, N., & Ganesan, R. (2012). Study on discharge information for surgical patients.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5 (7), 3013-3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