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교육복지 연구 동향
Trends in Education Welfare Research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6, 2013년, pp.260 - 269  

진혜경 (목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교육복지 연구를 분석하여 학문적 위치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방향과 함의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석사,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총 596편의 연구 주제, 대상, 방법에 대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복지 연구가 사회복지학 뿐 아니라 교육학 등 인접 학문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제도화 관련 연구는 감소하는 반면에 전문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대상은 중고생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양적 연구방법이 주도적이나 질적 연구의 비율이 전반적인 사회복지의 연구 동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제언으로는 다학문적 접근의 필요성과 특정 주제에 지나치게 편중되지 않는 주제의 다양성과 포괄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Education Welfare researches in Korea. For this study, a content analysis was employed in relation to topics, targets and methods of 596 articles, masters and doctoral thesis published from 2003 to 2012.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apers have expand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국 교육복지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임종호 등의 후속연구로 2003년부터 2012년까지의 최근 10년간의 연구들을 함께 분석한 것이다[17]. 따라서 2003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구를 주요 대상으로 하지만,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방법의 세 가지 영역에서 내용분석을 실시하면서 필요에 따라 이전의 연구를 재분석하거나 함께 분석하여 연대별 경향을 분석하여 그 동향을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종호 등의 후속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당시 공동 연구자의 일원으로, 이후 최근 10년간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초기부터 현재까지의 전반적인 연구 경향과 함께 일차 연구와의 변화된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 교육복지 연구가 무엇을 어떻게 다루어 왔는지 학문적 위치를 확인하고, 향후의 발전적인 연구의 방향과 함의를 얻고자 한다.
  • 연구자는 당시 공동 연구자의 일원으로, 이후 최근 10년간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초기부터 현재까지의 전반적인 연구 경향과 함께 일차 연구와의 변화된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국 교육복지 연구가 무엇을 어떻게 다루어 왔는지 학문적 위치를 확인하고, 향후의 발전적인 연구의 방향과 함의를 얻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교육복지 연구를 분석하여 학문적 위치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방향과 함의를 얻고자 연구한 결과는? 이를 위하여 2003년부터 2012년까지 석사,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총 596편의 연구 주제, 대상, 방법에 대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복지 연구가 사회복지학 뿐 아니라 교육학 등 인접 학문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제도화 관련 연구는 감소하는 반면에 전문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대상은 중고생이 가장 많았으며,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양적 연구방법이 주도적이나 질적 연구의 비율이 전반적인 사회복지의 연구 동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교육복지란? 교육복지는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모든 국민이 언제나 어디서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지만 그 핵심은 학교를 기반으로 하는 학교사회복지에 있다[25]. 1992년 대통령 교육정책자문회의가 교육복지실현을 위하여 학교사회사업요원의 배치와 교육복지법의 제정을 건의하였지만[1], 전국 초,중, 고등학교로 가시화된 것은 2003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과 2004년 교육부의 학교사회복지 연구학교가 계기가 되었다.
교육의 목적은? 교육은 삶의 질을 높이는 활동으로 복지와 같은 목적을 담고 있다. 특히 하루의 대부분을 학교에서 생활하는 학령기 아동과 청소년에게는 교육과 복지는 불가분의 관계이며, 교육소외 학생을 위한 교육 불평등 완화는 교육 복지의 핵심 과제가 되었다[13][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교육정책자문회의, 교육정책자문회의 활동 실적 보고서, 1992. 

  2. 김경미, 김미옥, "한국장애인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과 고찰: 장애인복지학의 이론적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8권, 제3호, pp.269-294, 2006. 

  3. 김기덕, "사회복지 지식의 인식론적 기초", 비판사회정책, 제15권, pp.13-43, 2003. 

  4. 김연옥, "우리나라 사회복지학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에 실린 경험분석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35권, pp.85-105, 1998. 

  5. 김인숙, "한국 사회복지 질적 연구 : 동향과 의미", 한국사회복지학, 제59권, 제1호, pp.275-300, 2007. 

  6. 김지연, 학교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학습조직 수퍼비전의 적용과 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7. 류상일, 현택수, "행정학에서 복지분야의 연구경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2호, pp.254-262, 2013. 

  8. 민기채, "북한 사회복지 연구 동향",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3호, pp.5-32, 2011. 

  9. 박지혜, 박은주, 조상미,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 연구경향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1호, pp.33-55, 2009. 

  10. 배성찬, 다문화자녀 교육.복지 서비스 통합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1. 배지연, 김은이, "사회적 지지에 관한 사회복지 논문분석- 주효과, 완충효과 모델의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245-265, 2003. 

  12. 양옥경, "한국 임상사회복지실천의 효과성 연구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42권, pp.225-253, 2000. 

  13. 이기범, "복지사회와 교육: 자유, 평등, 공동체를 위한 교육복지", 교육학연구, 제34권, 제2호, pp.21-39, 1996. 

  14. 이기용, 교육복지정책 평가 연구 : 교육복지투자 우선지역 지원사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5. 이지혜, 허남순, 김지일, "교육복지실의 의미에 드러난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역할", 학교사회복지, 제21호, pp.185-216, 2011. 

  16. 임경선, 학교부적응 중학생을 위한 생태체계적 관점의 학교사회사업실천 사례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17. 임종호, 유영준, 진혜경, "한국 학교사회복지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학교사회사업, 제6호, pp.67-99, 2003. 

  18. 조운희, "교회사회복지 논제분석을 통한 연구경향에 관한 연구", 신학과 목회, 제19호, pp.425-450, 2003. 

  19. 최균,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의 분석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학회 1995년 춘계학술대회자료집, pp.1-14, 1995. 

  20. 하소연, "사회복지조직의 리더십 연구경향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2호, pp.201-223, 2012. 

  21. http://www.kassw.or.kr 

  22. 황창순, "새천년 학교사회복지의 연구 방향", 학교사회사업, 제4호, pp.173-192, 2001. 

  23. 홍경준,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의 과제", 1998년 한국사회복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31-53, 1998. 

  24. "한국 사회복지학계 연구방법론의 동향",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추계 학술대회자료집, pp.1-14, 2002. 

  25. 홍봉선, "우리나라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1호, pp.253-282, 2004. 

  26. A. Rubin and E. Babbie, Research methods in social work, 1997, 성숙진, 유태균, 이선우 역, 사회 복지조사방법론, 나남출판, 1998. 

  27. P. Allen-Mears and B. A. Lane, "A content analysis of school social work literature, 1968-1978," In R. Constable and J. Flynn (Eds.), School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 perspectives, pp.49-72, Homewood, IL.:Dorsey Press, 1982. 

  28. T. Tripodi, "Trends in research publication : A study of social work journals from 1956-1980," Social Work, Vol.29, pp.353-359, 1984. 

  29. R. Weinberger and T. Tripodi, "Trends in types of research reported in selected social work journals, 1956-65," Social Service Review, Vol.43, pp.439-447, 1969.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