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특성 및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on Psycological Adapt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3 no.6, 2013년, pp.270 - 282  

양심영 (숭의여자대학교 가족복지학과) ,  박수경 (대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미숙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특성 및 사회적 자본이 우울 및 자존감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서울 등 7개의 대도시지역의 어머니가 결혼이주여성인 초등학교 3~6학년, 중1~3학년 아동 305명, 그의 어머니 295명이다. 회귀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친구 지지가 낮을수록, 이용한 프로그램 수가 많을수록, 주관적 경제수준이 낮다고 생각할수록 우울감이 더 높게 나타났고, 이 중 친구 지지가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친구지지가 가장 강력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 교사지지, 이용한 프로그램 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족 아동의 심리적응을 높이기 위한 개입 시 이중문화특성과 사회적 자본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특히 친구지지나 교사지지와 같은 사회적 자본 특성을 반영한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capital on psychological adaptations such as depression and self-esteem. A survey was conducted on 295 foreign-born mothers and their 305 children, ranging from third to 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up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적 특성과 사회적 자본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인 우울과 자존감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아동의 사회적 자본의 차원으로서 가족, 학교의 교사, 친구의 지지[14]뿐 아니라 지역사회차원의 서비스 이용에 관한 내용도 포함하여 사회적 자본이 이들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줄 것을 예측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 즉 이중문화적 특성에 관해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적응의 부정적 시각이 지니는 단선모델의 한계에서 벗어나 이중문화성이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아직 시도되지 않은 우리나라 아동의 이중문화적응정도를 측정하여 이를 심리적 적응과 관련시켜 보았다. 또한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자본의 특성으로서 기존연구들이 다루어왔던 가족, 친구, 교사의 차원들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들을 살펴보았을 뿐 아니라 나아가 지역사회 다문화아동이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을 새로이 포함함으로써 향후 다문화 아동의 사회적 자본의 연결망의 차원을 확장하려는 사회적 시도를 함에 있어 보다 구체적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단선이 아닌 다선적인 문화적응의 관점에서 지역사회를 포함한 가정 내외 사회적 자본의 특성이 다문화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연구 분석틀을 [그림 1] 과 같이 정립하였다.
  • 즉 박주희· 남지숙(2010)의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불안, 과잉행동, 우울행동등 심리적 부적응이 높게 나타났으나[26] 전경숙(2008)의 연구결과는 자아존중감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우울과 불안정도는 오히려 다문화가족 아동이 더 낮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아동들이 지각하는 우울과 자존감이라는 심리적 적응에 관련 변인들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통해 보다 실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27].
  •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적응 정도를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는 아직 발견하지 못하였으며 그동안 다문화가족 아동들의 심리사회적 발달정도를 통하여 적응의 정도를 가늠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문화에 대한 척도[33]를 활용하여 다문화가족아동의 문화적응정도를 살펴보는 시도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 특성과 사회적 자본 특성이 우울과 자존감과 같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 한편,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의 심리적 적응을 이중 문화성과 사회적 자본의 특성을 통해 설명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지닌다. 즉 이중문화적 특성에 관해 다문화가족 아동의 문화적응의 부정적 시각이 지니는 단선모델의 한계에서 벗어나 이중문화성이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아직 시도되지 않은 우리나라 아동의 이중문화적응정도를 측정하여 이를 심리적 적응과 관련시켜 보았다. 또한 다문화아동의 사회적 자본의 특성으로서 기존연구들이 다루어왔던 가족, 친구, 교사의 차원들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들을 살펴보았을 뿐 아니라 나아가 지역사회 다문화아동이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 프로그램에 관한 내용을 새로이 포함함으로써 향후 다문화 아동의 사회적 자본의 연결망의 차원을 확장하려는 사회적 시도를 함에 있어 보다 구체적인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적 자본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 4)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적 자본이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문화가정 아동의 이중문화특성 및 사회적 자본이 우울 및 자존감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조사 분석 한 결과는? 조사대상자는 서울 등 7개의 대도시지역의 어머니가 결혼이주여성인 초등학교 3~6학년, 중1~3학년 아동 305명, 그의 어머니 295명이다. 회귀분석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친구 지지가 낮을수록, 이용한 프로그램 수가 많을수록, 주관적 경제수준이 낮다고 생각할수록 우울감이 더 높게 나타났고, 이 중 친구 지지가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친구지지가 가장 강력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 교사지지, 이용한 프로그램 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족 아동의 심리적응을 높이기 위한 개입 시 이중문화특성과 사회적 자본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특히 친구지지나 교사지지와 같은 사회적 자본 특성을 반영한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경우 어떤 문제를 겪는가? 최근 다문화가족 자녀의 증가와 함께 이들의 적응문제가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다문화가족 자녀들의 경우 한국에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족 자녀라는 이유만으로 사회적 차별을 받거나 주변 친구로부터 왕따를 당하기도 하고, 학교생활적응에 대하여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3][4]. 따라서 우리사회에서 점차 다문화가족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관심과 적절한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2011년 기준 다문화가족은 몇명인가? 한국사회에서 국제결혼은 연 3만 건 내외로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문화가족은 매년 증가하여 2011 년 기준 약 57만명 내외로 나타나고 있다. 다문화가족 의 증가로 결혼이민자는 21만명, 자녀는 15만명이며, 결혼이민자만큼 한국인배우자가 있다고 가정한 경우 다문화가족은 57만명을 차지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지원정책기본계획, 여성가족부, 2012. 

  2.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도 다문화 가정학생 교육지원 계획, 2012. 

  3. 전기태, 2012 전국 다문화 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3. 

  4. 박계란, 이지민, "다문화가정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9권, 제2호, pp.89-99, 2011. 

  5. Y. Choi, T. W. Harachi, M. R. Gillmore, and R. F. Catalano, "Are multiracial adolescents at greater risk? Comparisons of rates, patterns, and correlates of substance use and violence between monoracial and multiracial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76, No1, pp.86-97, 2006. 

  6. A. L. Whaley and K. Francis, "Behavioral health in multiracial adolescents: The role of Hispanic/Latino ethnicity," Public Health Reports, Vol.12, No.2, pp.169-174, 2006. 

  7. S. Cheng and K. J. Lively, "Multiracial Self-Identification and Adolescent Outcomes: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Marginal Man Theory," Social Forces, Vol.88, pp.61-98, 2009. 

  8. A. M. Padilla, "Bicultural development: A theoretical and empirical examination," In R. Malgady & O. Rodriguez(Eds.), Theoretical and conceptual issues in Hispanic mental health. Melbourne, FL: Krieger Publishing Co. Inc, pp.20-51, 1994. 

  9. J. S. Phinney and M. Devich-Navarro, "Variations in bicultural identification among African American and Mexican American adolescents,"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Vol.7, pp.3-32, 1997. 

  10. C. Y. Cheng, J. Sanchez-Burks, and F. Lee, "Connecting the dots within: Creative performance and identity integration," Psychological Science, Vol.19, No.11, pp.1178-1184, 2008. 

  11. 은선경,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33권, pp.37-74, 2010. 

  12. 전병주, "외국인 노동자의 사회적 배제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237-247, 2012. 

  13. 이진향, 박기수, 김록범, "우울증상에 관련된 요인과 우울증상이 지각된 건강수준, 외래의료이용,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8권, 제1호, pp.81-92, 2011. 

  14. 박소은, 이채원,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결혼이주 여성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38권, pp.359-384, 2012. 

  15. 김현주, 이병훈,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가족배경,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의 영향," 한국인구학, 제30권, 제1호, pp.125-148, 2007. 

  16. 안우환, "가정의 사회적 자본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교육, 제30권, 제3호, pp.161-184, 2003. 

  17. J. S. Coleman,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18. M. J. Durfur, T. I. Parcel, B. Mckume, "A. Capital and context: using social capital at home and at school to predict child social adjustmen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49, No.2, pp.146-161, 2008. 

  19. 이경은, 주소희, "가족내외의 사회자본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0권, 제2호, pp.113-132, 2008. 

  20. 이재훈, 김경근, "가족 및 학교 내 사회자본과 학업성취," 한국교육학연구, 제13권, 제2호, pp.175-208, 2007. 

  21. C. M. Buchanan, J. Eccles, and J. Becker, "Are adolescents the victims of raging hormones? Evidence for activational effects of hormones on moods and behavior at adolescence," Psychological Bulletin, Vol.3, pp.62-107, 1992. 

  22. H. Chen, D. Mechanic, and S. Hansell, "A longitudinal study of self-awareness and depressed mood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27, pp.719-734, 1998. 

  23. J. T. Gibbs, "Identity and marginality: Issues in the treatment of biracial adolescents,"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57, pp.265-278, 1987. 

  24. E. K. Shrake and S. Rhee, "Ethnic identity as a predictor of problem behaviors among Korean American adolescents," Adolescence, Vol.39, pp.601-622, 2004. 

  25. 이영주, 다문화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26. 박주희, 남지숙, "다문화아동의 언어발달과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청소년연구, 제21권, 제2호, pp.279-152, 2010. 

  27. 전경숙, "경기도 지역의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생활실태 조사: 학교생활과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제16권, 제1호, pp.167-185, 2008. 

  28. 왕비비, 중국 유학생들의 문화적응 전략 유형에 다른 인터넷 이용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 

  29. J. W. Berry,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Vol.46, No.1, pp.5-68, 1997. 

  30. 박형원, "어머니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해외이주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8호, pp.1-25, 2010. 

  31. 곽금주,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달과 적응: 다문화 가정에서의 부모-자녀간의 상호 작용 패턴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2008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8. 

  32. 전은애, 다문화가정의 어머니-아동 상호작용과 어머니 문화적응 차원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3. Cortes, E. Dharma, L. H. Rogler, and G. Robert, "Malgady. Biculturality among Puerto Rican Adults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22, pp.707-721, 1994. 

  34. 노유성, 외국인 노동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5. 김동윤, 오소윤, 사회자본, Nan Lin. 2001. Social capital :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36. J. Glanville and E. Bienenstock, "A typology for understanding the connections among different forms of social capital,"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52, No.11, pp.1507-1530, 2009. 

  37. 유석춘, 장미혜, 정병은, 배영 역, 사회자본: 이론과 쟁점. J. Coleman.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서울: 도서출판 그린, 2003. 

  38. 양숙경, 문혁준, "아동의 학교적응에 대한 사회 인구학적 변인,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과 자아탄력성의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7권, 제7호, pp.59-71, 2009. 

  39. 이회경, 박종관, "사회자본이 지역축제의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192-200, 2012. 

  40. 김미숙, 김유경, 김안나, 김효진, 성수미, 다문화 가족 아동의 사회적응실태 및 아동복지서비스 지원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41. E. F. Dubow and D. G. Ulman, "Assessing social suppor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The survey of children's social suppo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8, pp.52-64, 1989. 

  42. 김명숙,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43. M. Kovacs, "Ration Scales to assess depression in school-aged children," Acta adapsychiatrica, Vol.45, pp.112-126, 1981. 

  44. 조수철, 이영식, "한국형 소아우울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제29권, 제4호, pp.943-955, 1990. 

  45. 강성률, 가족 및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정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6. 홍진주, 몽골출신 이주노동자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47. 이영주, "다문화가족 아동의 특성에 따른 적응요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분석", 한국가족복지학, 제13권, 제1호, pp.79-101, 2008. 

  48. 진혜민, 빈곤가정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