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에 대한 국내 의학계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대한비만학회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Domestic Medicine Study Tendency on Obesity -Focused o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원문보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13 no.1, 2013년, pp.1 - 9  

김두희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신우석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김동환 (대전자생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정연재 (대전자생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임한빛 (대전자생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  박원형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  차윤엽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cent trend of the studies about obesity in medicine and to provide background for futher studies. Methods: All of the article were selected in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Search were conducted through "http://kosso.or.kr" with the search w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 의학계에서 주로 어떤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한의학계의 비만 연구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 를 바탕으로 향후 한의학계의 비만 연구 방향을 설정하는데 근거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저자는 비만에 관련된 의학계의 연구가 가장 많이 등재되는 대한비만학회지를 대상으로 하여 ‘obesity’를 주제어로 검색한 결과 총 184편의 논문을 수집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한의학계의 비만 연구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에 대한 최근 국내 의학계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집된 논문들의 유형은 각 각 어느정도를 차지하였는가? 전체 184편의 논문 중 임상연구논문은 143편, 문헌논문은 26편, 증례보고는 7편, 실험논문은 2편, 기타 6편으로 임상 연구논문이 약 77.7%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Fig. 1).
국내의 비만 유병률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세계보건기구의 조사에 따르면 2008년을 기준으로 14억 이상의 인구가 과체중에 해당된다고 하였다1). 국내에서도 비만은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는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비만 유병률은 1998년 26.0%에서 2005년 31.3%로 증가한 후 최근 5년간 31%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2011년에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31.
2008년 기준 과체중에 해당하는 인구는 몇 명 이상인가? 세계보건기구의 조사에 따르면 2008년을 기준으로 14억 이상의 인구가 과체중에 해당된다고 하였다1). 국내에서도 비만은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는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비만 유병률은 1998년 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Obesity and overweight [Internet]. Geneva: WHO; c2013 [updated 2013 Mar; cited 2013 Mar 27].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 factsheets/fs311/en/.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ational nutrition survey. Seoul :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 

  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ational nutrition survey. Seoul :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08. 

  4. Park B, Song Y, Lim H. An analysis of domestic oriental medicine study tendency on obesity-Focused on domestic academic journal since 2006-. J Soc Korean Med Obes Res. 2010 ; 10(2) : 1-16. 

  5. Lim J, Song Y, Lim H. Comparative review of current clinical trials on abdominal obesity. J Orient Rehab Med. 2010 ; 20(2) : 63-77. 

  6. Moon S, Kong J, Kwon Y, Song Y, Han A, Kwon Y, et al. Review of clinical studies on oriental medicine treatment for obesity in the Korean literature. Korean J Oriental Med. 2010 ; 16(3) : 85-93. 

  7. Tak YJ. Kang GW. Trends of Korean and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about obesity. Korean J Obes. 2008 ; 17(4) : 154-61. 

  8. Tak YJ, Lee YS, Lee JS, Kang JH. The trend of obesity-related researches in Korea: from 1984 to 2002. Korean J Obes. 2004 ; 13(1) : 1-13. 

  9. Tak YJ. Trend of medical researches in Korea: on the field of obesity. Korean J Obes. 2006 ; 15(3) : 137-45. 

  10. Blair D. Evidence for an increased risk for hypertension with centrally located body fat and the effect of race and sex on this risk. Am J Epieomiol. 1984 ; 119 : 526-40. 

  11. Zhou Z. Association between obesity indices and blood pressure or hypertension: which index is the best? Public Health Nutr Epub. 2008 ; 9 : 1-11. 

  12. Nam SM, Ha EH, Suh YJ, Park HS, Chang MH, Seo JH, et al. Effect of obesity and blood lipids profiles on hyperlipidemia in adults aged over 40 years. Korean J Obes. 2008 ; 17(1) : 20-8. 

  13. Yoon JH, Kim JW, Lee SY, Kim KM, Cho IY, Cho YM. What is the most reliable obesity index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Korean J Obes. 2012 ; 21(3) : 140-7. 

  14. Tiryakioglu O, Ugurlu S, Yalin S, Yirmibescik S, Caglar E, Yetkin DO, et al. Screening for Cushing's syndrome in obese patients. Clinics. 2010 ; 65(1) : 9-13. 

  15. Huh K, Ko JK, Park MJ. Two cases of polycystic ovary syndrome with metabolic syndrome presenting with hirsutism in adolescence. Korean J Obe. 2009 ; 18(4) : 167-72. 

  16. Choe JH, Park HS. 3-case review hypothyroidism presented with obesity or weight gain. Korean J Obes. 1994 ; 3(1) : 65-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