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약 사용 후 흡연자에서 폐기능 향상과 삶의 질 개선
Improving Lu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Smokers after Taking Herbal Medicine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7 no.1, 2013년, pp.130 - 135  

고흥 (세명대학교 제천한방병원 한방내과) ,  김기태 (세명대학교 제천한방병원 한방내과) ,  신선미 (세명대학교 제천한방병원 한방내과) ,  이형권 (세명대학교 회계학과) ,  문주호 (세명대학교 제천한방병원 한방내과) ,  박유진 (세명대학교 제천한방병원 한방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lung function change and quality of life in smokers after taking herbal medicine.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smoking and non-smoking). We measured lung function change by VRI and quality of life by BDI and Fatigue Scale Score before and after herbal medicine intak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피로를 호소하여 한약을 복용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복용 후 추적 관찰이 가능했던 환자들을 흡연군과 비흡연군으로 나누어 VRI 검사 및 피로도, 우울증 검사를 비교 검토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흡연이란? 흡연은 각종 암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현재 증가 추세에 있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담배 연기에서는 약 4000여종의 화학적 성분이 생성1)되고 기관지의 섬모운동을 방해하여 가래배출능력이 줄어 만성기관지염이나 호흡기도 감염을 빈발시키는 원인이 된다2).
한의학에서의 보약은 어떨 때 사용되었는가? 한의학에서 보약은 평상시 신체의 정기(正氣)를 도와 항병능력(抗病能力)을 향상시키는 원리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피로를 주증으로 하는 사람에서 한약복용이 흡연자에서는 폐기능이 호전되고 생활의 질이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보약 복용을 통하여 흡연자의 삶의 질은 개선이 되었는가? 증상이 없는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대상을 측정하였을 때, VRI의 energy bar는 호흡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유용하지 못하다. 흡연군은 비흡연군에 비하여 우울증과 피로도가 높고 보약을 복용하고 난 후 피로도와 우울증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보약을 복용하는 것이 흡연자에서 흡연 양, 담배 맛, 니코틴 의존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rmtiage, A., Dollery, C.T., Huseman, T. Absorption of nicotine from small cigars. Clin Pharmacol Ther. 23(2):143-151, 1978. 

  2. 의학교육연수원 편. 가정의를 위한 진료지침 가정의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pp 1046-1049, 2003. 

  3. 서일. 한국인의 흡연율과 그 역학적 특성. 한국역학회지 10:131-137, 1988. 

  4. 한국금연운동현의회. 제 5차 전국 중?고등학생 흡연실태 조사 근간. 1995. 

  5. Correa, P., Fontham, E., Kickle, L.W., Lin, Y. Passive smoking and lung cancer. Lancet 2(8350):595-597, 1983. 

  6. 천강일.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진동 공명 영상의 임상적 유용성.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7. Beck, A.T., Ward, C.H., Mendelson, M., Mock, J., Erbaugh, J. Inventory of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4: 561-567, 1961. 

  8. 신선미 고흥. SM-2000의 항피로 효과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32(3):411-424, 2011. 

  9. 박순영. 한국인 중고교생들의 흡연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 7(1):57-71, 1994. 

  10. 이기영. 일부 남자 고등학생의 흡연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간호학회, 36(5):91-100, 1997. 

  11. 곽정욱. 일부 여대생의 흡연 실태와 그 관련요인 분석. 한국보건교육학회, 12(2):120-138, 1995. 

  12. 박명윤. 청소년 흡연실태와 대책. 한국보건학회지 5(2):24-30, 1992. 

  13. 황도연. 방약합편. 서울, 남산당, p 88, 1978. 

  14. 이 천. 원본편주의학입문 상권. 서울, 남산당, pp 347-350, 1985. 

  15. Pasterkamp, H., Kraman, S.S., Wodicka, G.R. Respiratory sounds. Advances beyond the stethoscpe. Am J Respir Crit Care Med. 156: 974-987, 1997. 

  16. Murphy, R.L., Vyshedskiy, A., Power-Charnitsky, V.A., Bana, D.S., Marinelli, P.M., Wong-Tse, A., et al. Automated lung sound analysis in patients with pneumonia. RespirCare. 49: 1490-1497, 2004. 

  17. Kompis, M., Pasterkamp, H., Wodicka, G.R. Acoustic imaging of the human chest. Chest 120: 1309-1321, 2001. 

  18. 박유진, 박종희, 홍미진, 김원동, 이계영, 김순종, 김희정, 하경원, 전규락, 김현애, 유광하. 폐렴환자에서 진동 공명 영상검사(VRI)의 유용성.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 71(1):30-36, 2011. 

  19. Issahar Ben-Dov MD, Ariela Velner, Pnina Yaron and Hector Roizin MD. Assessing Global and Regional Tidal Ventilation in Asthma, During Bronchospasm and Following Bronchodilation, Using A Dynamic Acoustic Image of the Lung, Assembled by the PALISope[abstract]. CHEST 800A, 2004. 

  20. R. Mor, Igal Kushnir, Zipi Yemini. Vibration response imaging(VRI):a new modality for evalution of Pneumothorax[abstract]. ERS. 3398A, 2005. 

  21. Payam Aghassi, J. Mark Madison, and Issahar Ben-Dov. Association between features of Vibration Response Imaging(VRI) of the Lungs and the Results of Methacholine Inhalation Challenge Testing[abstract]. CHEST 395A, 2005. 

  22. 김명식, 백유진. 금연관련 심리측정 도구. 가정의학회지 29:315-324, 2008. 

  23. 전국 한의과 대학 간계내과학 교수 공저. 간계내과학. 서울, 동양의학연구원, pp 690-692, 2001. 

  24. Schwartz, J.E., Jandorf, L., Krupp, L.B. The measurement of fatigue: A new instrument. J psychosom Res. 37(7):753-762, 1993. 

  25. Chalder, T., Berelowitz, G., Pawlikowska, T., Watts, L., Wessley, S., Wright, D., et al. Development of a fatigue scale. J psychosom Res. 37(2):147-153, 1993. 

  26. Smets, E.M., B. Garssen, B., Bonke, B. De Haesn, J.C. The multidimensional Fatigue Inventory(MFI) psychometric qualities of an instrument to assess fatigue. J psychosom Res. 39(3):315-325, 1995. 

  27. Yun, Y.H., Wang, X.S., Lee, J.S., Roh, J.W., Lee, C.G., Lee, W.S., et al.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rief Fatigue Inventory. J pain Symptom Manage. 29(2):165-172, 2005. 

  28. Zung, W.W.K.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 Gen Psychiatry. 12: 63-70, 1965. 

  29. Yesavage, J.A., Brink, T.L., Rose, T.L., Lum, O., Huang, V., Adey, M., Von Otto.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 phychiary Res. 17: 37-49, 1983. 

  30. 신호철, 김철환, 박용우, 조비룡, 송상욱, 윤영호, 오상우. 우울증 선별검사 도구로서 Beck Depression Inventory(BDI)의 타당성. 가정의학회지 21(11):1451-1465, 2000. 

  31. Mathew, R.J., Weinman, M.L., Mirabi, M. Physical symptoms of depression. Br J Psyshiary. 189: 293-296, 1981. 

  32. Glassman, A.H., Stetner, F., Walsh, B.T. Heavy smokers, smoking cessation, and clonidine:results of a double0blind, randomozed trial. JAMA. 259: 2863-2866, 1988. 

  33. 윤방부, 강희철, 신경균, 이균상. 외래환자의 피로에 대한 분석. 가정의학회지 20(08):978-990, 1999. 

  34. 소병교. 전문분야별 방사선사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중재 요인과의 관련성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35. 이경희, 정우진, 이선미. 스트레스 수준과 흡연 여부의 관련성. 가정희학회지 27: 42-48, 2006. 

  36. 윤숙희, 배정이, 이소우, 안경애, 김세은.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음주 및 흡연형태. 보건과 사회과학 19: 31-50,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