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뿌리혹 형성능과 질소 고정능이 우수한 헤어리베치 유래 Rhizobium의 분리 및 선발
Screening of Rhizobium, Hairy Vetch Root Nodule Bacteria, with Promotion of Nodulation and Nitrogen Fixa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9 no.2, 2013년, pp.131 - 136  

장종옥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 ,  권미경 (충청남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박동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 ,  성창근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창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자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헤어리베치로부터 뿌리혹 형성능과 질소 고정능이 우수한 Rhizobium 균주를 분리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일곱 군데 헤어리베치 재배 지역에서 수집 후 뿌리혹으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고, 헤어리베치에 분리 균주를 재접종하여 뿌리혹 형성능과 질소 고정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52개의 Rhizobium 속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 중 0.5% NaCl 농도 이상에서 자라는 Rhizobium은 16균주이었다. 뿌리혹 형성능은 16개 균주 중 Rhizobium sp. RH1, RH3, RH81, RH82, RH84, RH93의 균주를 접종한 시험구에서 우수하였다. 또한, 질소 고정능을 확인한 결과 Rhizobium sp. RH84가 가장 높은 acetylene reduction activity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염의 분포가 불균일한 간척지에 적용 시에도 헤어리베치의 생육을 촉진해 녹비 작물로의 활용 가능성을 높여주는 결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rhizobia from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with nodulation and excellent nitrogen-fixing ability. Hairy vetch root was collected from 7 of cultivation region of all over the country, rhizobia were isolated from the root nodules. Isolates were re-inoculated in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 Rhizobium sp. RH84에 대한 균주의 특성을 파악하고, 실제 간척지 포장 실험에서의 헤어리베치의 생산량 증대 가능성에 관한 연구를 계속하고자 한다.
  • , 2012). 본 연구에서는 뿌리혹박테리아에 의한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특히 간척지에서도 활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헤어리베치에 대한 감염 및 근류 형성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간척지의 불균일한 염 농도에서도 생장이 가능하며, 질소 고정력이 높은 균주를 분리 선발하여 그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간척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간척지 토양의 개량을 위한 녹비작물로서 헤어리베치를 기본적으로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후작물과 간척지 토양에 충분한 유기물 공급을 위해 헤어리베치의 질소 고정능을 높이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국내에 보고된 관련 연구는 헤어리베치의 생산성 및 헤어리베치 생장 후의 토양 변화가 주된 연구분야라 할 수 있다(Seo and Lee, 1998; Kim et al.
  • 본 연구에서는 헤어리베치로부터 뿌리혹 형성능과 질소 고정 능이 우수한 Rhizobium 균주를 분리하고자 하였다. 전국의 일곱 군데 헤어리베치 재배 지역에서 수집 후 뿌리혹으로부터 균주를 분리하였고, 헤어리베치에 분리 균주를 재접종하여 뿌리혹 형성능과 질소 고정능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뿌리혹박테리아에 의한 헤어리베치의 생육 증진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특히 간척지에서도 활용 가능한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헤어리베치에 대한 감염 및 근류 형성능이 우수할 뿐 아니라 간척지의 불균일한 염 농도에서도 생장이 가능하며, 질소 고정력이 높은 균주를 분리 선발하여 그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향후 본 결과는 기존의 화학적 토양 개량 방법보다 더욱 친환경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법으로서 간척지 토양의 개량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비작물로 알려진 헤어리 베치의 생육 특징은 무엇인가? , 2012). 베치 중에서도 헤어리베치는 월동이 가능하여 겨울에서 봄 사이 휴경지에서 녹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sand vetch (Goar, 1934)라고 불릴 만큼 모래에서 진흙토양까지 그 생육 범위가 넓고, 산성과 알칼리 토양에서도 잘 적응한다고 알려져 있다(Walton, 1991). 헤어리베치의 녹비작물로서 큰 장점은 뿌리에 공생하는 뿌리혹박테리아에 의해 공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며(Mueller and Thorup-Kristensen, 2001; Provorov and Tikhonovich, 2003), 수확기 이후 헤어리베치가 분해된 후에도 토양에 부족한 질소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학성 질소비료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이라 하겠다(Stewart, 1987).
헤어리베치의 녹비 작물로서 큰 장점은 무엇인가? 또한, sand vetch (Goar, 1934)라고 불릴 만큼 모래에서 진흙토양까지 그 생육 범위가 넓고, 산성과 알칼리 토양에서도 잘 적응한다고 알려져 있다(Walton, 1991). 헤어리베치의 녹비작물로서 큰 장점은 뿌리에 공생하는 뿌리혹박테리아에 의해 공기 중의 질소를 고정하며(Mueller and Thorup-Kristensen, 2001; Provorov and Tikhonovich, 2003), 수확기 이후 헤어리베치가 분해된 후에도 토양에 부족한 질소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학성 질소비료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이라 하겠다(Stewart, 1987).
베치의 대표적인 품종으로 무엇이 있는가? 녹비작물로 알려진 콩과 식물인 베치(vetch)는 전 세계적으로 150여 품종이 재배 중이고(Bull and Mayfield, 1992) 코먼베치(Vicia sativa L.), 헤어리베치(Vicia villosa Roth), 퍼플베치(Vicia benghalensis L.) 그리고 울리포드베치(Vicia villosa spp., dasycarpa Ten. Eav.)가 대표적인 품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나라마다 재배되고 있는 품종이 다르며(Shin and Ko, 2003), 일본과 터키 등지에서는 종자수량이 많은 개체를 선발 육성하여 이용하고 있다(Walton, 1991; Mayfield,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exander, M. 1991. Introduction to soil microbiology. Krieger Pub Co. Malabar, Florida, USA. 

  2. Bergersen, F.J. and Turner, G.L. 1976. The role of $O_{2}$ -limitation in control of nitrogenase in continuous cultures of Rhizobium sp. Biochim. Biophys. Res. Commun. 73, 524-531. 

  3. Bull, B. and Mayfield, A. 1992. Growing vetch bold images, Australia. 

  4. Dazzo, F.B. and Hrabak, E.M. 1981. Presence of trifoliin A, a rhizobium trifolii binding lectin, in clover root exudate. J. Surramol. Struct. Cell. Biochem. 16, 133-138. 

  5. Elas, J.D.V., Trevors, T.J., and Wellington, E.M.H. 1997. Modern soil microbiology.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USA. 

  6. Gharzouli, R., Carpene, M.-A., Couderc, F., Benguedouar, A., and Poinsot, V. 2013. Relevance of Fucose-rich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produced by Rhizobium sullae strains nodulating Hedysarum coronarium L. legumes. Appl. Environ. Microbiol. 79, 1764-1776. 

  7. Goar, G.L. 1934. Vetches and related crops for forage. U. C. Coop. Ext. Berkeley. 

  8. Jeon, W.T., Hur, S.O., Seong, K.Y., Oh, I.S., Kim, M.T., and Kang, U.G. 2011. Effect of green manure hairy vetch on rice growth and saving of irrigation water. Korean J. Soil Sci. Fert. 44, 181-186. 

  9. Kim, J.G., Chung, E.S., Lim, Y.C., Seo, S., Kim, M.J., and Kim, J.D. 2004. Studies on the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in induced vetch cultivar. K. Grassl. Sci. 24, 177-182. 

  10. Kim, S.J., Kim, I.S., and Lee, J.S. 2007. Effect of autumn seeding date on the productivity and feed values of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varieties. Kor. J. Organic Agric. 15, 59-69. 

  11. Ku, J., Kim, M., Son, B., Lee, J., Kim, J., Hwang, J., Beak, S., Moon, J., and Kwon, Y. 2012. Change of seed yield, germination rate and hard seed rate with harvest time in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J. Kor. Grassl. Forage Sci. 32, 157-164. 

  12. Lim, K.H., Choi, H.S., Na, Y.G., Song, J.H., Cho, Y.S., Choi, J.J., Choi, J.H., and Jung, S.K. 2012. Nutrient contribution and growth of "Niitaka" pear trees as affected by mix-seeding and single-seeding of rye and hairy vetch. Korean J. Intl. Agri. 24, 70-75. 

  13. Long, S.R. 1996. Rhizobium symbiosis: nod factors in perspective. Plant Cell 8, 1885-1898. 

  14. Mayfield, A. 1999. Namoi woolly pod vetch dynamic spring pasture. Kondinin Group, Australia. 

  15. Mueller, T. and Thorup-Kristensen, K. 2001. N-fixation of selected green manure plants in an organic crop rotation. Biol. Agric. Hort. 18, 345-363. 

  16. Ott, T., van Dongen, J.T., Gnther, C., Krusell, L., Desbrosses, G., Vigeolas, H., Bock, V., Czechowski, T., Geigenberger, P., and Udvardi, M.K. 2005. Symbiotic leghemoglobins are crucial for nitrogen fixation on legume root nodules but not for general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Curr. Biol. 15, 531-535. 

  17. Provorov, N.A. and Tikhonovich, I.A. 2003. Genetic resources for improving nitrogen fixation in legume-rhizobia symbiosis. Genet. Resour. Crop Evol. 50, 89-99. 

  18. Ryoo, J.W. 2008.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een manure productivities of hairy vetch and woolly pod vetch under different sowing seasons in the highland area. Kor. J. Organic Agric. 16, 409-420. 

  19. Seo, J.H. and Lee, H.J. 1998. Study on no-tillage silage corn production with legume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cover. J. Kor. Grassl. Sci. 18, 43-48. 

  20. Shin, C.N., Kim, D.A., Ko, K.H., and Kim, Y.W. 2000. Forage performance of introduced vetch cultivars and Korean native vetch. J. Kor. Grassl. Sci. 20, 251-258. 

  21. Shin, C.N. and Ko, K.H. 2003. Comparison of forage performance of introduced vetch cultivars and Korea wild vetch. J. Kor. Grassl. Sci. 23, 223-228. 

  22. Stewart, B.A. 1987. Advances in soil sciences. In Smith, M.S., Frye, W.W., and Varco, J.J. (eds.), Legume winter cover crops, Vol. 7, pp. 95-139. Springer-Verlag, New York, N.Y., USA. 

  23. Walton, G. 1991. Vetches. Farmnote (No. 56/91). 

  24. Yang, C.H., Lee, J.H., Beak, N.H., Jeong, J.H., Cho, K.M., Lee, S.B., and Lee, G.B. 2012. Incorporation effect of green manure crops on improvement of soil environment on Saemangeum reclaimed land during Sorghum x Sudangrass hybrid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45, 744-74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