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로 인한 마비말장애 성인의 최대 혀 및 입술 강도와 자음정확도 및 말명료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Maximal Tongue and Lip Strength and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Dysarthric Adults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5 no.2, 2013년, pp.11 - 22  

최여진 (하나아동발달센터 언어치료실, 이화여자대학교) ,  심현섭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of the tongue/lip strength and speech production for dysarthric adults with cerebral palsy. The maximal tongue and lip strengths of 22 normal adults, 27 dysarthric adults (10 adults with mild dysarthria, 10 adults with 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비말장애란 무엇인가? 마비말장애(dysarthria)는 말초 또는 중추 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말 기제(speech mechanism)의 근육조정장애로 나타나는 말장애를 총체적으로 일컫는 용어이다[10]. 이것은 말 근육의 마비(paralysis), 약화(weakness), 불협응(incoordination) 등을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말의 강도, 속도, 운동 범위 그리고 정확성 등이 저하되어 구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 어려움을 갖게 된다[12].
마비말장애를 정확하게 판별해내기 위해서는? 이러한 마비말장애를 정확하게 판별해내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구강 운동 기능과 말 산출의 필수 요소, 즉 호흡, 발성, 공명, 조음, 운율을 정확하게 평가해야 한다[12]. 선행 연구들에서는 마비말장애 환자들의 구강 운동 기능과 호흡, 발성, 공명, 조음, 운율 등이 어떤 특징들을 가지는지, 그러한 특징들을 어떻게 평가하여 마비말장애를 판별할 수 있는지, 그리고 마비말장애 환자들을 위한 적절한 치료법이 무엇인지,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치료법들은 타당한지 등을 밝혀내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다.
마비말장애시 어떤 어려움을 유발하는가? 마비말장애(dysarthria)는 말초 또는 중추 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말 기제(speech mechanism)의 근육조정장애로 나타나는 말장애를 총체적으로 일컫는 용어이다[10]. 이것은 말 근육의 마비(paralysis), 약화(weakness), 불협응(incoordination) 등을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말의 강도, 속도, 운동 범위 그리고 정확성 등이 저하되어 구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 어려움을 갖게 된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J. S., & Kim, Y. T. (2000). The effect of syntactic complexity on sentence repetition performance and intelligibility between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normal children. Speech Sciences, 7(3), 249-262. (안지숙, 김영태 (2000).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정상아동의 구문적 난이도에 따른 문장 따라말하기: 수행력 및 명료도 비교. 음성과학, 7(3), 249-262.) 

  2. Barlow, S. M., & Abbs, J. H. (1983). Force transducers for the evaluation of labial, lingual, and mandibular motor impairmen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26, 616-621. 

  3. Bigenzahn, W., Fischman, L., & Mayrhofer-Krammel, U. (1992). Myofunctional therapy in patients with orofacial dysfunctions affecting speech. Folia Phoniatrica, 44, 238-244. 

  4. Bunton, K. (2008). Speech versus nonspeech: different tasks, different neural organization.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29(4), 267-275. 

  5. Bunton, K., & Weismer, G. (1994). Evaluation of a reiterant force-impulse task in the tongue.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7, 1020-1031. 

  6. Chang, SJ., Sim, HS., & Kwon, M. (2012).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skills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Korea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The Japan Journal of Logopedics and Phoniatrics, 53, 20-26. 

  7. Chung, J. J. (1998). The effect of oral motor training on language 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7(2), 27-46. (정진자 (1998). 구강운동훈련이 뇌성마비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언어치료연구, 17(2), 27-46.) 

  8. Clark, H. M., & Solomon, N. P. (2011). Age and sex differences in orofacial strength. Dysphagia, 27(1), 2-9. 

  9. Crow, H. C., & Ship, J. A. (1996). Tongue strength and endurance in different aged individuals.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1(5), 247-250. 

  10. Darley, F. L., Brown, J. R., & Aronson, A. E. (1975). Motor speech disorders. Philadelphia: Saunders. 

  11. Dworkin, J. P., & Aronson, A. E. (1986). Tongue strength and alternate motion rates in normal and dysarthric subjects.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9, 115-132. 

  12. Freed, D. B. (2000). Motor speech disorders: diagnosis and treatment. San Diego: Thomson Learning. 

  13. Kim, H. H., Lee, M. S., Kim, S. W., Choi, S. H., & Lee, W. Y. (2004). An auditory-perceptual rating scale of dysarthric speech of patients with Parkinsonism. Speech Sciences, 11(2), 39-49. (김향희, 이미숙, 김선우, 최성희, 이원용 (2004). 파킨슨증으로 인한 마비말장애에 대한 청지각적 평가척도. 음성과학, 11(2), 39-49.) 

  14. Kim, M. J., Pae, S. Y., & Park, C. I. (2007). Assessment of phonology and articulation for children. Seoul: Hube R&C. (김민정, 배소영, 박창일 (2007). 아동용 발음평가. 서울: 휴브알앤씨.) 

  15. Kim, S. H., Ahn, J. B., & Kwon, D. H. (2008). A correlation studying between feeding skills and percent of correct articulation of the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17(4), 1-17. (김선희, 안종복, 권도하 (2008).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들의 섭식 기능과 조음정확도 간의 상관연구. 언어치료연구, 17(4), 1-17.) 

  16. Kim, S. J. (2003). Perceptual-phonemic contrasts of single-word intelligibility for testing Korean dysarthric speech.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22(8), 694-702. (김수진 (2003). 뇌성마비로 인한 마비말장애의 음소대조 낱말명료도와 문장명료도. 한국음향학회지, 22(8), 694-702.) 

  17. Kim, Y. T., & Shin, M. J. (2004).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Seoul: Hakjisa. (김영태, 신문자 (2004). 우리말 조음?음운평가. 서울: 학지사.) 

  18. Lass, N. J., & Pannbacker, M. (2008). The applic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 to nonspeech oral motor treatment.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 in Schools, 39, 408-421. 

  19. Lee, K. H., Sim, H. S., & Kim, H. H. (2005). Tongue strength, range of motion, and speech intelligibility in dysarthric speakers. Speech Sciences, 12(2), 89-99. (이경하, 심현섭, 김향희 (2005). 마비말장애 환자의 혀의 강도?운동 범위와 말명료도에 관한 연구. 음성과학, 12(2), 89-99.) 

  20. Lee, Y. M., Sung, J. E., & Sim, H. S. (2012). The effect of tongue strength on speech produ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roceedings of the KASA conference. Seoul: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이영미, 성지은, 심현섭 (2012). 혀 강도가 뇌성마비 아동의 말 산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서울: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1. Lof, G. L., & Watson, M. M. (2008). A nationwide survey of nonspeech oral motor exercise use.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9, 392-407. 

  22. McAuliffe, M. J., Ward, E. C., Murdoch, B. E., & Farrell, A. M. (2005). A nonspeech investigation of tongue function in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Gerontology, 60, 667-674. 

  23. McCauley, R. J., Strand, E., Lof, G. L., Schooling, T., & Frymark, T. (2009). Evidence-based systematic review: effects of nonspeech oral motor exercises on speech.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8, 343-360. 

  24. Park, D. G., & Rhee, S. C. (2004). A quantitative study on specific syllables used in the colloquial speeches of students. Korean Language Research, 14, 181-199. (박동근, 이석재 (2004). 대학생 구어의 음절 구조 선호도에 대한 계량적 연구, 한말연구, 14, 181-199.) 

  25. Potter, N. L., & Short, R. (2009). Maximal tongue strength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adolescents. Dysphagia, 24, 391-397. 

  26. Robin, D. A., Goel, A., Somodi, L. B., & Luschei, E. S. (1992). Tongue strength and endurance: relation to highly skilled movemen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35, 1239-1245. 

  27. Ruscello, D. M. (2008). Nonspeech oral motor treatment issues related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speech sound disorders.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 in Schools, 39, 380-391. 

  28. Shin, J. Y. (2010). Phoneme and Syllable Frequencies Based on the Analysis of Entries in the Korean Dictionary.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5(1), 94-106. (신지영 (2010). 한국어 사전 표제어 발음의 음소 및 음절 빈도. 언어청각장애연구, 15(1), 94-106.) 

  29. Solomon, N. P., Robin, D. A., & Luschei, E. S. (2000). Strength, endurance, and stability of the tongue and hand in Parkinson diseas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3, 256-267. 

  30. Yi, K. A. (2009). The effects of Korean alphabet cues on the intelligibil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dysarthria secondary to cerebral palsy. M.A.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이경아 (2009). 첫 글자 단서 제공 전략이 뇌성마비로 인한 마비말장애 아동의 말명료도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Yoon, M. S., Lee, Y. K., & Si, H. S.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speech intelligibility and related factors of speakers in prelingually hearing impaired children using hearing aid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5(2), 1-15. (윤미선, 이윤경, 심현섭 (2000). 청각장애아동의 말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화자 요인. 언어청각장애연구, 5(2),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