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악산 발생 버섯의 종 다양성 비교 분석
Species Diversity Analysis of the Mushroom in Mt. Chiak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1 no.2, 2013년, pp.57 - 66  

이병국 (세종데이터 해석연구원) ,  엄기철 (세종데이터 해석연구원) ,  석순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농업미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악산 지역의 7개 세부조사구에서 2002~2003년도에 수집 분류 동정된 버섯은 총 53속, 84종, 143개체이었다. 지역 간 중복 발생된 버섯은 총 43종이었으며 이중 2개 및 3개 구역에서 중복 발생된 버섯은 2002년 12개 및 3개종, 2003년 7개 및 4개종이었다. 상대 종 밀도지수(RSD)는 7개 구간에서 0.179~0.226 범위 이었으며 종 다양성 지표 중 유사도(Similarity index: C)는 지역(7개 조사구)간 11.3%~15.9% 범위이었고 평균 13.1% 이었다. 조사지역 전체의 버섯발생은 같은 시기에 인근 지역에 중복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지역 간 유사도보다 다음연도에 동일 지역에서 다시 발생할 가능성인 년차간 유사도가 8.2% 더 높았다. 전체 조사기간의 버섯 종 다양성과 관련된 6가지 지표 중 지역 간 변이계수(CV)는 개체수(10.5%)>우점도 (9.2%)>다양도 (8.9%)>종수 (8.5%)>풍부도(7.4%)>균등도(2.2%) 순 이었다. 버섯 종 다양성 지표 중 풍부도지수(Richness index: R1)는 지역 간 4.85~6.01 범위의 평균 5.36 및 지역전체 16.72, 다양도 지수(Variety index: V1)는 지역 간 14.44~18.66 범위의 평균 16.24 및 지역 전체 68.82, 균등도 지수(Evenness index: E2)는 지역 간 0.926~0.982범위의 평균 0.95 및 지역전체 0.819, 우점도 지수(Dominance index: D1)는 지역 간 0.055~0.073 범위의 평균 0.071 및 지역전체 0.018 이었다. 개체수는 종 다양성 지수들과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않았으나, 종수는 풍부도, 다양도 및 우점도 지수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종 다양성 지수 간 상호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지수들은 풍부도와 다양도 및 우점도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ushrooms collected at seven areas of Mt. Chiak in 2002 and 2003 were classified to analyse the distribution and species diversity. Frequency (number of mushroom : N), number of species (S), relative species density (RSD), similarity index (C), richness index (R1), variety index (V1), evennes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악산의 지역별 버섯 발생양상과 종 다양성 분석을 구명하고, 이를 통하여 버섯 분야의 종 다양성 분석 방법을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섯은 어떤 미생물이라고 볼 수 있는가? 버섯은 생태계의 먹이사슬에서 분해자의 위치에 속하는 매우 유용한 미생물이라고 볼 수 있다(Imazeki et al., 1987).
현재까지 실시된 버섯 종 다양성 연구 분석에 사용된 다양성 관련 지수는 무엇인가? , 2003). 현재까지 종 다양성 연구는 발생종수 및 개체 수, 그리고 다양성 관련 지수 즉 풍부도 지수(Richness index), 다양도 지수(Variety index), 균등도 지수(Evenness index) 및 우점도 지수(Dominance index) 등 4종류의 관련 지수 (index) 구명을 통하여 다양성 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버섯 연구에 있어서는 상기 지수 구명을 통한 버섯의 종 다양성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치악산에서 발생된 버섯들의 종다양성 지수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지수들은 무엇이 있었는가? 개체수는종다양성지수들과유의성있는상관관계를보여주지않았으나, 종수는풍부도, 다양도 및 우점도지수와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종 다양성 지수 간 상호 유의성 있는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지수들은 풍부도와 다양도 및 우점도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Y. H., Kim, Y. S., Seok, S. J. and Yoon, K. H. 1998. Notes on Korean Strobilomycetaceae (III) On Austroboletus and the key to genera of the Strobilomycetaceae. Kor. J. Mycol. 26:230-238. (in Korean). 

  2. Cho, D. H. 2003. Biodiversity of Korean Myxomycetes (II). Kor. J. Plant. Res. 16:245-250. (in Korean). 

  3. Cho, D. H. and Park, S. S. 1991. The flora of higher fungi in Mt. Jiri areas (V). Kor. J. Mycol. 19:175-185. (in Korean). 

  4. Choi, S. W. 2003. Biodiversity and biogeography of the north Korean Geometridae (Lepidoptera). Ph.D.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5. Curtis, J. T. and McIntosh, R. P. 1950.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476-496. 

  6. Gilbertson, E. J. 1931. Les Bolets , pp.1-225. Paris. 

  7. Go, P. Y., Seok, S. J. and Chun, Y. C. 2012. Four new records of Agaricales from Halla mountain of Jeju island in Korea. Kor. J. Mycol. 40:127-131. (in Korean). 

  8. Imazeki, R. and Hongo, T. 1987. Colored illustrations of mushrooms of Japan 1, Hoikusha Publishing Co., Ltd., Osakapp. pp.325. 

  9. Kim, C. H., Myung, H. and Shin, B. C. 1999. Species diversity of forest vegetation in Mt. Jangan, Chollabuk-do. Kor. J. Env. Eco. 13:271-279. (in Korean). 

  10. Kim, D. S., Kim, Y. S. and Park, Y. H. 1975. Taxonomic study on Korean Basidiomycetes. Kor. J. Mycol. 3:39-40. (in Korean). 

  11. Kim, Y. S., Seok, S. J. and Sung, J. M. 1998. Articles : Notes on the higher fungi in Kangwon do (1) On Some unrecorded species. Kor. J. Mycol. 26:153-162. (in Korean). 

  12. Kim, Y. S., Seok, S. J., Lee, K. J. and Hyun, J. O. 1994. Articles: Notes on the higher fungal flora in Mt. Hungjung in Kangwon province. Kor. J. Mycol. 22:216-221. (in Korean). 

  13. Lee, K. B., Kim, C. H., Lee, D. B., Kim, J. G., Park, C. W. and Na, S. Y. 2003. Species diversity of riparian vegetation by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water quality in the upper stream of Mankyeong river. Kor. J. Environ Agri. 22:100-110. (in Korean). 

  14. Lee, K. J., Koo, C. D. and Kim, Y. S. 1982. Originals: Identification of ecotomycorrhizal fungi in a Pinus rigida-rigida ${\time}$ taeda Stand. Kor. J. Mycol. 10:21-25. (in Korean). 

  15.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em. 3:36-71. 

  16. Moser, M. 1983. Keys to Agarics and Boleti. The Whitefriars mushrooms to genus. Vol. 3 Mad River Press. pp. 216-217. Press Ltd., Tonbridge. 

  17. Park, J. H. and Hong, S. H. 1998. Estimation of fish species diversity of small and medium rivers of Korea with fish species-habitat relationship models of GAP. J. GIS Assoc. Korea 6:91-102. 

  18. Park, Y. H., Kim, Y. S. and Cha, D. Y. 1978. Notes on Korean Agaricales. Kor. J. Mycol. 6:57. (in Korean). 

  19. Seok, S. J., Chung, Y. A., Park, I. C., Kwon, S. W., Kim, Y. S. and Yoo, K. H. 2011. Some unrecorded genera and species in Korean Agaricales(II). Kor. J. Mycol. 39:155-163. (in Korean). 

  20. Seok, S. J., Kim, Y. S. and Lee, K. J. 1994. Articles: Higher fungi in Mt. Chilgap. Kor. J. Mycol. 22:209-215. (in Korean). 

  21. Seok, S. J., Kim, Y. S. and Park, D. S. 1994. Articles: Notes on Korean Agaricales (3). Kor. J. Mycol. 22:421-426. (in Korean). 

  22. Seok, S. J., Kim, Y. S., Ryu, Y. J. and Park, D. S. 1995. Articles: Higher Fungi in Korea (1). Kor. J. Mycol. 23:144-152. (in Korean). 

  23. Seok, S. J., Kim, Y. S., Seo, J. S., Kwon, S. W. and Park, I. C. 2010. Some unrecorded genera and species in Korean Agaricales (I). Kor. J. Mycol. 38:192-196. (in Korean). 

  24. Seok, S. J., Kwon, S. W., Park, I. C., Kim, Y. S. and Yoo, K. H. 2012. Notes on Some unrecorded species in Korean Hypholoma. Kor. J. Mycol. 40:179-182. (in Korean). 

  25. Seok, S. J., Park, I. C., Kim, Y. S. and Kim, W. G, 2010. Notes on rare species of Mycoparasitic forming fungus in Korea. Kor. J. Mycol. 38:95-98. (in Korean). 

  26. Shannon, C. E. and W. Weaver 1949. The Mar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illinois Press, Ubana, IL. 

  27. Sheldon, A. L. 1969. Equitability indices: dependence on the species count. Ecology 50:466-467. 

  28. Simpson, E. 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688. 

  29. Singer, R. 1986. 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my. 4.th E. Koeltz Scientific Books Germany. pp. 981. 

  30. Smith, A. H. and Stuntz, D. E. 1958. Studies on the genus Pluteus I. Lloydia. 22:115-136. 

  31. Sokal, R. R. and Michener, C. D.1958. A statistical method for evaluating systematic relationships. Univ. Kans. Sci. Bull. 38:1409-1438. 

  32. Son, M. H., Lee, J. W., Moon, C. H., Kim, S. and Chun, C. K. 2004. Latitudinal variation of the number of species and species diversity in shelled Gastropods of eastern coast of Korea. Kor. J. Malacol. 20:159-164.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