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동공원으로서 철도공원의 변화와 의의
Transition of Cheoldo Park and Its Significance as Sports Park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8 no.3, 2020년, pp.54 - 65  

김영민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조세호 ((주)싸이트플래닝건축사사무소)

초록

본 연구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철도공원의 연혁, 이용행태,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고, 공원계획 의미를 운동공원의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는 철도공원이 일제강점기에 최초로 신규 계획 조성된 공원이면서 공식적인 계획도서에서 계획 공원으로 편입되어 여러 차례 명칭과 영역이 변경된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이는 철도공원의 변화가 중요한 계획적 개념의 변화를 반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철도공원에 대한 분석은 공간적, 이용적 특징과 계획적 의미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공원 이용의 행태는 주로 당시의 공원과 관련된 신문기사와 사진의 분석을 통해 물리적 특징과 공간적 변화는 도시계획서 내용과 부도 및 지도 자료, 항공사진을 시기별로 분석하여 파악하였다. 계획적 의미는 도시계획서와 부도에 나타난 철도공원의 변화를 운동공원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1915년 개설된 철도공원은 철도국 용산관사단지의 부대시설로 조성되었으나, 1925년 경성부 공원으로 편입되면서 일제강점기에 종합운동경기장의 역할을 하였다. 1930년 공원계획에서 운동공원의 유형이 등장하지만, 프로그램적 성격이 명확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며, 운동공원으로서 철도공원의 중요성은 주목받지 못했다. 1930년대에 운동공원이 계획적으로 일반공원과는 다른 프로그램적 성격의 공원으로 인식되면서 철도공원을 확대하여 운동공원으로 만들기 위한 시도가 나타난다. 1940년의 계획안에서 철도공원은 이촌공원으로 재편되어 경성의 중요한 대형 공원이자 운동공원으로 계획된다. 철도공원은 근대 공원계획이 양적인 계획에서 프로그램을 고려한 질적 공원계획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여러 제약 속에서 근대 공원계획을 구현할 수 있는 현실적인 모델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history, usage, and spatial change of Cheoldo Park and its significance in the park planning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the concept of a sports park. Cheoldo Park was verified as the first newly planned park buil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ontinuo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철도공원의 현황, 이용행태, 공간적 변화를 파악하고, 두 공원이 지니는 공원계획적 의미를 운동공원과 아동공원의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가 철도공원에 대해 알아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철도공원(鐵道公園)을 분석하고, 계획적 의미를 밝히고자 한다. 철도공원이 선행연구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은 바는 아니나, 존재의 유무와 위치 정도만 언급이 될 뿐 구체적인 내용이 다루어진 적은 없다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20년부터 1943년까지의 철도공원의 이용행태는? 1920년부터 1943년까지의 신문기사의 내용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철도공원의 이용행태는 운동경기와 체육 관련 행사이다(Table 3 참조). 1915년 최초의 전국 규모의 야구대회인 전조선야구대회가 철도공원에서 열렸으며(Figure 7 참조) 13), 1921년에는 동아일보가 후원하는 조선체육회 주최의 야구대회14), 1934년에는 전국체전 성격의 전조선종합경기대회의 경기 일부도 철도공원에서 개최되었다15).
철도공원의 최초 명칭은 무엇인가? 철도공원은 경성부가 처음 공원녹지의 현황을 조사한 1925년 「경성도시계획조사자료」에서 만철공원( 鐵公園)으로 최초의 명칭이 나타나며, 이후의 문헌에서는 철도공원으로 기록되고 있다. 일제의 주요 공원 관련 계획 문헌의 현황 일람표에 나타나는 철도공원은 1936년까지는 공원으로 분류되었고, 1940년의 현황 일람표에서는 운동장으로 분류된다8).
만철공원은 해방 이후에는 어떻게 사용 되었는가? 공원이 위치했던 한강통 16번지는 현재 용산구 한강로3가 65번지 일대이다. 해방 후에는 미군 헌병대대(Camp Tracy)가 주둔한 것으로 “서울시가지도”를 통해 파악되었으며, 이후 국군복지단과 육군부대, 용산세무서가 공원부지를 점유하였고, 현재는 용산구 특별계획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약 25,000m2로 문헌에 따라 수치가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기록의 오류 정도로 보아도 무방한 작은 차이이다(Table 2 참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hn, S. M. and J. I. Ishida(2014) Reconsideration of park planning in Seoul, especially about neighborhood play fields created with Kyoungseong street planning and land readjustment project from 1936.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64: 131-173. 

  2. Cho, S. H. and Y. M. Kim(2019) Change in concepts and status of park and green space in urban planning documents of Gyeongseo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7(2): 117-132. 

  3. Cho, S. H. (2016) Park and Green Space Planning in Urban Planning Process of Gyeongseong.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4. Dongailbo(동아일보). 

  5. Gyeongseong-bu(1925) Urban Planning Survey Data of Gyeongseong (경성도시계획조사자료). 

  6. Gyeongseong-bu(1927) Urban Planning Survey Data of Gyeongseong (경성도시계획자료조사서). 

  7. Gyeongseong-bu(1928) Urban Planning Survey Data of Gyeongseong (경성도시계획조사서). 

  8. Gyeongseong-bu(1932) Urban Planning Survey Data of Gyeongseong (경성도시계획자료조사서). 

  9. Gyeongseong-bu(1936) Great Gyeogseong detail map(대경성정도) 

  10. Gyeongseong-bu(1938a) Urban Planning Summary of Gyeongseongbu( 경성부도시계획요람). 

  11. Gyeongseong-bu(1938b) Civil Engineering Planning of Gyeongseongbu( 경성부토목사업개요). 

  12. Jang Y. H. (2001) Suffering and Settement of Urban Parks in Seoul during Confusion Period (1940's-the early 1930'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3. Jeongchi Publisher(1955) Seoul road map (서울특별시가도). 

  14. Jung, J. J. (1999) Japanese Invasiton and Koran Rail 1892-1945, Seoul: Seoul National Universtiy Press. 

  15. Kang, S. Y. and Y. H. Jang(2004) History of Modern Urban Park in Korea, Seoul: Daewangsa. 

  16. Kim Y. M. and S. H. Cho(2019) Park and green space planning of Gyeongseong: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Urban Design, 20(3): 25-43. 

  17. Kim, H. G. and H. I. Choi(2013) A time sequential research on changes in Jangchungdan park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4): 95-112. 

  18. Kim, H. G. and Y. S. Kim(2016) Study on the change of the Hullyeonwon Park, a modern space for all-purpose exercise, Seoul and History 94: 121-156. 

  19. Kim, H. G., Y. S. Kim and H. J. Yun(2013) 1910’s Tap-gol park construction process through design document interpret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1(2): 103-117. 

  20. Kim, H. S. (2008) Night cherry blossoms festival and Yojakura(夜櫻) at Changgyeong garden, Journal of Korean and Contemporary Art History, 19: 139-162. 

  21. Kim, J. E. (2015) The image of Changgyeongwon and culture of pleasure groun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6): 1-15. 

  22. Kim, S. L., H. G. Kim and M. H. Park(2014)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nge in the Mordern Sajik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2(4): 120-131. 

  23. Lee, Y. J. (2008) The significance of independence park in Korean landscape architectural histo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1): 103-115. 

  24. Lee. S. B. (2005) The Establishment of the Jangchungdan and Jangchungdanje, Research Center of Regional Culture. 

  25. Li, Y. N. and J. J Jung(2017) Construction and destruction of large rail official residence complex in Seoul during Japanese occupation period, Seoul and History 97: 215-256. 

  26. Maeilshinbo(매일신보). 

  27. Park, H. S. (2015) The change and transformation of Namsan(Mt.) parks in early moder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4): 124-139. 

  28. Park, S. H. (2000) Characteristics of Gyeongseong urban planning of the 1920s:Gyeongseong Urban Planning Study Groupand Urban planning movement,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15: 167-198. 

  29. Park, S. J. (2003) A cultural reading on Tapgol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6): 1-16. 

  30. Seo, Y. A. and Y. H. Son(2013) The space use in the initial period of Namsan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1): 28-37. 

  31. Seo, Y. A. (2015) Seoul Namsan as Historic Urban Landscape: From Multiple Perspective of Mountain, Park and City Wall,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32.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MG) (1968) The Masterplan of Urban Park in Seoul(서울도시계획공원 기본계획보고서). 

  33.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MG) (1977) Urban Planning History of Seoul(서울도시계획연혁). 

  34. Seoul Museum of History(SMH) (2015) Great Gyeongseong view (Dae-Gyeongsung-bu-daegwan 대경성부대관), Seoul:Seoul Museum of History. 

  35. Son, H. (2003) Study on facilities of Korea modern spor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days.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2(4): 33-43. 

  36. Son, J. M. (1985) A study on urban planning the Japanese Rule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20(1): 202-224. 

  37. Son, J. M. (1990) A Study on Urban Planning of Japanese Colonial Era, Seoul: Iljisa. 

  38. Son, Y. H. and Y. A. Seo(2012) A study on the idea of forest park in Kyongsungbu Namsan Park design proposal in 1917.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4): 23-31. 

  39.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JGGK)(1927) Yongsan urban map(용산시가도). 

  40.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JGGK)(1930) Urban Planning of Gyeongseong(경성도시계획서). 

  41.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JGGK)(1937-38?) Gyeongseong-bu park plan map(경성부공원계획지도). 

  42.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JGGK)(1940) Decision of Park Plan of Gyeongseong Urban Planning(경성시가지계획공원결정안). 

  43.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JGGK)(1940) Masterplan of Urban Park(경성시가지계획 공원계획도). 

  44. The Urban Planning Study Group of Gyeongseong(1936) The Urban Problems Minutes of Joseon (조선도시문제회의록). 

  45. U.S. Army Map Service, Far East(1950s) Seoul Road Map(서울시가지도). 

  46. Woo, D. S.(2009) Changgyeongwon and Ueno Park, and Spatial Dominance of Meiji in Tears of the Palace, One Hundred Years of Silence, Paju: Hyohyung, 202-237. 

  47. Yum, B. K.(2017) In search of lost time in the history of colonial urban planning: A reexamination of the discussion of urban planning in colonial Joseon during the 1920's and the 1930 Joseon government general urban plan. Urban Studies 17: 41-65. 

  48. Google Map (https://www.google.com/maps). 

  49.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http://map.ngii.go.kr). 

  50. Seoul History Archive(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아카이브) (https://museum.seoul.go.kr/archive/NR_index.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