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지(遠志)의 항염증 작용에 대한 연구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of Polygala tenuifolia Willd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4 no.2, 2013년, pp.204 - 214  

오현석 (상지대학교부속한방병원 내과) ,  김병우 (상지대학교부속한방병원 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of Polygala tenuifolia Willd. (Pt-WE). Methods : Using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murine RAW264.7 cells, we examined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신 연구로는 원지의 寧心安神 작용과 신경 퇴행성 질환의 치료와 관련된 연구6-8를 위주로 진행되고 있으며, 원지가 TNF-α와 IL-1 등의 염증 매개 물질인 cytokine을 억제하고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NF-κB pathway에 작용하는 기전8이 밝혀졌다. 이에 원지의 항염증 효과와 작용기전을 보다 자세히 밝혀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이와 같이 원지의 항염증 작용에 대한 분자세포학적 신호전달 기전이 NF-κB pathway를 중심으로 일부 규명되었으나, AP-1 pathway 등 기타 다른 signaling에의 작용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하여 LPS로 유도한 RAW264.7 세포의 NO 생성 조건에서의 원지의 억제 효과와 분자세포학적 기전을 확인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지란? 원지(遠志)는 원지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원지 Polygala tenuifolia Willd.의 뿌리를 건조4한 것으로, 味는 苦辛하고 性은 微溫하여 寧心安神, 祛痰開竅, 消散腫痛의 작용을 하여 神昏, 驚悸, 不眠, 健忘을 치료하고 초기의 癰腫에도 적용할 수 있다5 .최신 연구로는 원지의 寧心安神 작용과 신경 퇴행성 질환의 치료와 관련된 연구6-8를 위주로 진행되고 있으며, 원지가 TNF-α와 IL-1 등의 염증 매개 물질인 cytokine을 억제하고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인 NF-κB pathway에 작용하는 기전8이 밝혀졌다.
대식세포란? 대식세포(macrophage)는 탐식 기능을 통한 선천 면역과 항원 제시 기능을 통한 후천 면역을 동시에 담당하는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병원체, 세포 손상, 체내 다른 면역세포에서 분비한 cytokine 등의 자극 물질에 의해 활성화되어 TNF-α, IL-1 등의 cytokine이나 NO, ROS, prostaglandins와 같은 염증매개물질을 분비하여 염증반응을 촉발시킨다1,2.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모두 신호전달 단백질의 활성에 의한 cell signaling에 의한 것으로, 대식세포의 세포막에 존재하는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PRRs)가 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PAMPs)에 반응하여 NF-kB, AP-1과 같은 transcription factor가 활성화되고 그 결과 iNOS, COX-2가 발현 되어 염증반응물질인 NO나 PGE2 등이 분비된다3.
원지의 항염증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LPS로 유도된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분자세포학적 수준에서 조사한 결과 얻은 결론은? 1. 원지는 LPS로 유도된 NO와 PGE2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세포 생존율을 검정한 결과 NO와 PGE2 생성 억제 효과는 원지의 세포독성에 기인한 것이 아니었다. 2. 시간에 따른 세포 내 AP-1 signaling molecule의 활성을 확인한 결과, LPS로 유도된 p-MKK 4/7, p-JNK 1, c-Jun, c-Fos의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이를 통해 AP-1의 활성 억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3. 원지의 항염증 효과가 in vivo에서도 적용되는지 HCl-EtOH induced gastric ulcer model을 이용 하여 실험한 결과, 육안적으로 위점막 병소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또한, p-JNK의 활성 억제 효과가 나타나 JNK signaling에 관여함으로써 항궤양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Woods JA, Vieira VJ, Keylock KT. Excercise, inflammation, and innate immunity. Neurol Clin 2006;24:585. 

  2. Tetley TD. Inflammatory cells an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urrent Drug Targets - Inflammation & Allergy 2005;4(6) :607-18. 

  3. Newton K, Dixit VM.. Signaling in Innate Immunity and Inflammation. Cold Spring Harb Perspect Biol 2012;4:1-19. 

  4. 전국한의과대학공동교재편찬위원회공저. 본초학 (本草學). 서울: 永林社; 2007, p. 532-3. 

  5. 강병수, 김영판. 방제의 체계적 구성을 위한 임상 배합본초학. 2판. 서울: 永林社; 1996, p. 309-11. 

  6. 황시영, 강형원, 류영수. 遠志에 의한 腦星狀細 胞로부터 炎症性細胞活性物質分泌의 抑制效 果에 關한 硏究.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99;10(1) :95-108. 

  7. 이수배, 성낙술, 이영종. 遠志가 NMDA로 유발 된 신경세포 손상에 미치는 효과. 대한본초학회 지 2005;20(2):115-25. 

  8. Cheong MH, Lee SR, Yoo HS, Jeong JW, Kim GY, Kim WJ,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olygala tenuifolia root through inhibition of NF-kB activation in lipopolysacchraride-induced BV2 microglial cells. J Ethnopharmacol 2011; 137:1402-8. 

  9. Mosmaa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ogical Methods 1983;65:55-63. 

  10. Cho JY, Baik KU, Jung JH, Park MH. In vitro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ynaropicrin, a sesquiterpene lactone, from Saussurea lappa. Eur J Pharmacol 2000;398:399-407. 

  11. 센팅, 이용진, 조재열. 반지련(Scutellaria barbata D. Don) 추출물이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활 성화된 대식세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약용작물 학회지 2008;16(5):313-9. 

  12. Lee YG, Lee WM, Kim JY, Lee JY, Lee IK, Yun BS, et al. Src kinase-targete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davallialactone from Inonotus xeranticus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264.7 cells. Br J Pharmacol 2008;154:852-63. 

  13. Miernyk JA, Thelen JJ. Biochemical approaches for discovering protein-protein interactions. Plant J 2008;53:597-609. 

  14. Ren L, Emery D, Kaboord B, Chang E, Qoronfleh MW. Improved immunomatirx methods to detect protein: protein interactions. J Biochem Biophys Methods 2003;57:143-57. 

  15. Lal A, Haynes SR, Gorospe M. Clean western blot signals from immunoprecipitated samples. Mol Cell Probes 2005;19(6):385-8. 

  16. Oyagi A, Ogawa K, Kakino M, Hara H. Protective effects of a gastrointestinal agent containing Korean red ginseng on gastric ulcer models in mice. BMC Complement Altern Med 2010;10:45. 

  17. Ganguly K, Swarnakar S. Chronic gastric ulceration causes matrix metalloproteinases-9 and -3 augmentation: Alleviation by melatonin. Biochimie 2012;94(12):2687-98. 

  18. 이지혜, 이봉효, 김창열, 노성수. 遠志의 화학성 분과 약리효능에 대한 한의학적 고찰. 韓藥應 用學會誌2010;10(1):25-33. 

  19. 신홍중, 조연행, 조창환, 오민석. ?方藥合編? 中 遠志및 石菖蒲를 포함한 處方에 대한 考察. 대 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6;15(2):231-8. 

  20. 허준. 동의보감. 초판 4쇄. 경남 하동: 동의보감 출판사; 2010, p. 270, 896-7, 1545, 1550. 

  21. Taylor EL, Megson IL, Haslett C, Rossi AG. Nitric oxide; a key regulator of myeloid inflammatory cell apoptosis. Cell Death Differ 2003;10:418-30. 

  22. Udou T, Hachisuga T, Tsujioka H, Kawarabayashi T. The Role of c-Jun Protein i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the Endometrium throughout the Menstrual Cycle. Gynecol Obstet Invest 2004;57(3):121-6. 

  23. Monje P, Hernandez-Losa J, Lyons RJ, Castellone MD, Gutkind JS. Regulation of th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c-Fos by ERK. A novel role for the prolyl isomerase PIN1. J Bio Chem 2005;280(42): 35081-4. 

  24. Pearson G, Robinson F, Beers Gibson T, Xu BE, Karandikar M, Berman K, et al. Mitogen -activated protein (MAP) kinase pathways: regulat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s. Endocr Rev 2001;22(2):153-83. 

  25. Waetzig V, Herdegen T. Context-specific inhibition of JNKs: overcoming the dilemma of protection and damage. Br J Pharmacol 2005;26(9):445-61. 

  26. JM Kyriakis, J Avruch. Mammalian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ctivated by stress and inflammation. Physiol Rev 2001;81:807-69. 

  27. Ip YT, Davis RJ. Signal transduction by the c-Jun N-terminal kinase(JNK)-from inflammation to development. Curr Opin Cell Biol 1998;10(2) :205-19. 

  28. Olsen JV, Blagoev B, Gnad F, Macek B, Kumar C, Mortensen P, et al. Global, in vivo, and site-specific phosphorylation dynamics in signaling networks. Cell 2006;127(3):635-48. 

  29. Derijard B, Raingeaud J, Barrett T, Wu IH, Han J, Ulevitch RJ, et al. Independent human MAP-kinas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defined by MEK and MKK isoforms. Science 1995; 269(5220):17. 

  30. Kondo M, Osada H, Uchida K, Yanagisawa K, Masuda A, Takagi K,et al. Molecular cloning of human TAK1 and its mutational analysis in human lung cancer. Int J Cancer 1998;75(4) :559-63. 

  31. Akiyama S, Yonezawa T, Kudo TA, Li MG, Wang H, Ito M, et al. Activation Mechanism of c-Jun Amino-terminal Kinase in the Course of Neural Differentiation of P19 Embryonic Carcinoma Cells. J Biol Chem 2004;279(35) :36616-20. 

  32. Kovalenko PL, Kunovska L, Chen J, Gallo KA, Basson MD. Loss of MLK3 signaling impedes ulcer healing by modulating MAPK signaling in mouse intestinal mucosa. Am J Physiol Gastrointest Liver Physiol 2012;303(8):G951-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