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지와 영여자로부터 분리한 8종 화합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ight Compounds Purified from the Roots of Polygala tenuifolia Willdenow and the Aerial Bulbils of Dioscorea batatas Decene 원문보기

약학회지 = Yakhak hoeji, v.54 no.2, 2010년, pp.106 - 111  

진휘승 (정산생명공학연구소) ,  손락호 (정산생명공학연구소) ,  이용화 (정산생명공학연구소) ,  함아름 (서울대학교천연물과학연구소) ,  마응천 (서울대학교천연물과학연구소) ,  김원기 (고려대학교의과대학) ,  남궁우 (정산생명공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emical structures of eight compounds purified from two plants (Polygala tenuifolia Willdenow and Dioscorea batatas Decene) were determined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ree microbial strain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and Candida albicans) was tested. The th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가지 식물인 원지에서 얻어진 3종의 compound와 영여자로부터 얻어진 5종의 compound를 대상으로 Staphylococcus aureus(Gram+), Pseudomonas aeruginosa(Gram-)와 Candida albicans(진균)에 대한 항균-평가를 통하여 식품보존제의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균물질을 찾아내기 위한 소스로는 무엇이 있는가? 1) 이러한 천연물 유래의 보존제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은 식품의 부패와 변질을 유발하는 미생물을 활용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찾아내는 방법이다.2) 이러한 항균 물질을 개발하려는 연구들은 식품, 의약 및 생물공학 산업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한편으로, 이러한 항균물질을 찾아내기 위한 소스(Source)로는 자연으로부터 얻어지는 물질 중에서 제한은 없으나 흔히 많은 관심을 가지는 소재 중의 하나가 우리의 주변이나 산야에서 자라는 자생식물이다. 원지(Polygala tenuifolia Willdenow)는 원지과(Polygalaceae) 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서 뿌리를 채취하여 목심부위를 제거하고 건조한 것이다.
천연물 유래의 보존제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또한 웰빙에 대한 붐과 함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보존제들도 점차 화학합성물질 보다는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이용한 보존제의 개발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1) 이러한 천연물 유래의 보존제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은 식품의 부패와 변질을 유발하는 미생물을 활용하여 항균 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찾아내는 방법이다.2) 이러한 항균 물질을 개발하려는 연구들은 식품, 의약 및 생물공학 산업 분야에서 오래 전부터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한편으로, 이러한 항균물질을 찾아내기 위한 소스(Source)로는 자연으로부터 얻어지는 물질 중에서 제한은 없으나 흔히 많은 관심을 가지는 소재 중의 하나가 우리의 주변이나 산야에서 자라는 자생식물이다.
실험에 사용된 균주의 생육 배지는 어디 제품을 사용하였는가? albicans는 28℃에서 24시간 액체 배양하여 활성화시켜 사용하였다. 균의 생육 배지는 Nutrient Broth(NB)와 Potato Dextrose Broth(PDB)는 Difco사의 제품을 사용하였고, Tryptic Soy Broth(TSB)와 Agar powder는 Merck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euchat, L. R. and Golden, D. A. : Antimicrobial occurring naturally in foods. Food Technol. 43, 134 (1989). 

  2. Tabanca, N., Kirimer, N., Demirci, B., Demirci, F. and Baser, K. H. :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s of Micromeria cristata subsp. Phrygia and the enantiomeric distribution of borneol. J. Agric. Food Chem. 49, 4330 (2001). 

  3. 김창민, 신민교, 안덕균, 이경순 : 중약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서울 p. 4265 (1998). 

  4. Kim, J. S., Lee, Y. S., Lee, J. H. and Kim, J. S. : A study on the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Polygala tenuifolia. Kor. J. Pharmacogn. 30, 168 (1999). 

  5. Park, M. K., Park, J. H., Kim, B. Y., Kim, J. M., Liem, K. J. and Han, B. H. : Analysis of alkaloids in Polygala tenuifolia by HPLC.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6, 255 (1993). 

  6. Jiang, Y. and Tu, P. F. : Xanthone O-glycosides from Polygala tenuifolia. Phytochemistry 60, 813 (2002). 

  7. Ikeya, Y., Sugama, K., Okada, M. and Mitsuhashi, H. : Two xanthones from Polygala tenuifolia. Phytochemistry 30, 2061 (1991). 

  8. Fujita, T., Liu, D. Y., Ueda, S. and Takeda, Y. : Xanthones from Polygala tenuifolia. Phytochemistry 31, 3997 (1992). 

  9. Lee, T. H. : The research on the pharmacological concept of sedative effect of Polygalae Radix. J. of Herbology 12, 1 (1997). 

  10. Park, D. K. and Lee, W. H. : Effects of the Saponin of Polygalae Radix on the renal function and CNS-Depression. Kor. J. Pharmacog. 14, 178 (1983). 

  11. Chung, I. W., Moore, N. A., Oh, W. K., O'neill, M. F., Ahn, J. S., Park, J. B., Kang, U.G. and Kim, Y. S. : Behavioural pharmacology of polygalasaponins indicates potential antipsychotic efficacy. Pharmacology, Biochemistry and Behavior. 71, 191 (2002). 

  12. Hwang, S. Y., Kang, H. W. and Lyu, Y. S. : Studies on inhibitory effect of inflammatory cytokines secretion from brain astrocytes by polygala tenuif olia. J.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0, 95 (1999). 

  13. Woo, W. S. and Lee, K. Y. : Effects of total saponin and oil fraction of polygala tenuifolia on serum cholesterol level in rabbits. Kor. J. Pharmacog. 6, 8 (1962). 

  14. Lee, M. H. and Jang, Y. J. : Pharmacognosical studies of marketing Dioscoreae rhizoma. 이화약학연구 23, p.17 (1984). 

  15. Arvill, A. and Bodin, L. : Effect of short-term ingestion of konjac glucomannan on serum cholesterol in healthy men. Am. J. Clin. Nutr. 61, 585 (1995). 

  16. Kim, J. S., Park, J. S., Kim, K. and Doh, S. : A study on the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Polygala tenuifolia. Kor. J. Pharmacogn. 30, 417 (1999). 

  17. Ito, H., Taniguchi, H., Kita, T., Matsuki, Y., Tachikawa, E. and Fujita, T. : Xanthones and a cinnamic acid derivatives from Polygala tenuifolia. Phytochemistry 16, 1614 (1977). 

  18. Coxon, D. T., Ogundana, S. K. and Dennis, C. : Antifungal phenanthrenes in yam tubers. Phytochemistry 21, 1389 (1982). 

  19. Hashimoto, T., Hasegawa, K., Yamaguchi, H., Saito, M. and Ishimoto, S. : Structure and Synthesis of batatasins, dormancyinducing substances of yam bulbils. Phytochemistry 13, 2849 (1974). 

  20. Takasugi, M., Kawashima, S., Monde, K., Katsui, N., Masamune, T. and Shirata, A. : Antifungal compounds from Dioscorea batatas inoculated with Psudomonas cichorii. Phytochemistry 26, 371 (1987). 

  21. Nguyen, A. T., Malonne, H., Duez, P., Fastre, R. V., Vanhaelen, M. and Fontaine, J. : Cytotoxic constituents from Plumbago zeylanica. Fitoterterapia. 75, 500 (2004). 

  22. Kim, J. S., Choi, Y. H., Seo, J. H., Lee, J. W., Kim, Y. S., Ryu, S. Y., Kang, J. S., Kim, Y. K. and Kim, S. H. :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root of Brassica campestris ssp rapa. Kor. J. Phamacogn. 35, 259 (2004). 

  23. Ahn, D. J., Kwak, Y. S., Kim, M. J., Lee, J. C., Shin, C. S. and Jeong, K. T. : Screening of herbal plant extract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109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