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Sinorhizobium meliloti 유래 Mannitol Dehydrogen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대장균 내 발현과 효소특성 규명
Molecular Cloning and Gene Expression of Sinorhizobium meliloti Mannitol Dehydrogenase in Escherichia coli, and Its Enzymatic Characterization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1 no.2, 2013년, pp.153 - 159  

장명운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정미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민정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소원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강정현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태집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orhizobium meliloti 1021 (KCTC 2353) 유전체로부터 mannitol dehydrogenase (SmMDH)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대장균에서 대량 발현하였다. 이 유전자는 494개의 아미노산(약 54 kDa)을 암호화하는 1,485 bp의 염기로 구성되며, 기존에 보고된 long-chain dehydrogenase/reductase 계열 MDH 효소들과 약 35-55%의 아미노산 서열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재조합 SmMDH의 최적 반응온도는 $40^{\circ}C$이며, pH 7.0의 조건에서 최대의 D-fructose 환원활성, 그리고 pH 9.0에서 최대의 D-mannitol 산화활성을 보였다. 특히, 이 효소는 $NAD^+/NADH$ 조효소의 존재 하에서 산화 환원 활성을 나타내며, $NAD^+/NADPH$는 조효소로 이용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SmMDH는 전형적인 $NAD^+/NADH$-의존형 mannitol dehydrogenase (EC 1.1.1.67)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annitol dehydrogenase (MDH; EC 1.1.1.67) gene was cloned from the Sinorhizobium meliloti 1021 (KCTC 2353) genome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It was seen to have an open reading frame consisting of 1,485 bp encoding 494 amino acids (about 54 kDa), which shares approximately 35-55% of amino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과정에서 mannitol은 fructose의 세포 내 흡수 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효소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1]. 그러나, 아직 MDH의 효소 특성 및 생체 내 역할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서 S. meliloti의 유전체로부터 MDH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대장균에서 대량으로 발현하고, 기존에 보고된 다양한 MDH 유전자와 1차 구조, 서열 상동성 및 효소특성 등을 상호 비교하여 미생물학 및 효소학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annitol이란? Mannitol (C6H14O6)은 당의 aldehyde 혹은 ketone기를 환원하여 얻어지는 6탄당 유래의 당알코올로 인체 내에서 잘 대사되지 않기 때문에 저칼로리 감미료 또는 충치 예방 등의 기능성 소재로 식품, 화장품, 의약품 산업 등의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25]. 일반적으로 동량의 glucose와 fructose를 혼합한 후, 고온·고압 하에서 Raney nickel 촉매를 이용한 수소화 반응에 의해, 30% mannitol과 70% sorbitol의 혼합 반응산물이 얻어지며, 다시 결정화 과정을 통해 manntiol의 형태로 회수된다[26].
MDH 효소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MDH는 NAD(P)+를 조효소로 이용하여 mannitol을 fructose로 산화시키거나, NAD(P)H를 사용하여 fructose를 mannitol로 환원시키는 dehydrogenase/reductase (DR) family에 속하는 효소이다[20, 21]. 이러한 MDH 효소들은 서열 상동성, 단백질의 크기, 조효소 결합부위 motif 서열 등의 유사성에 따라 short chain (SDR), medium chain (MDR), long chain (LDR)의 3종류로 분류된다. 주로 곰팡이에서 유래하며 약 250개 이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SDR은 촉매활성을 위해 금속이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5, 12, 14].
MDH 효소 중 크기가 가장 큰 것은? 주로 Zn2+ 의존적인 특성을 나타내며 일부 세균에서 발견되는 MDR은 약 350개 이하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다[1, 3, 17]. 마지막으로 다가 알코올에 특이적이며 주로 세균에서 유래하는 monomer 형태의 LDR은 약 350-56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가장 큰 크기의 MDH로 알려져 있다[6, 10, 16, 18, 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arnikunnas, J., K. Ronnholm, and A. Palva. 2002. The mannitol dehydrogenase gene (mdh)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is distinct from other known bacterial mdh genes. Appl. Microbiol. Biotechnol. 59: 665-671. 

  2. Carvalheiro, F., P. Moniz, L. Duarte, M. Esteves, and F. Girio. 2011. Mannitol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grown in supplemented carob syrup. J. Ind. Microbiol. Biotechnol. 38: 221-227. 

  3. Ceccaroli, P., R. Saltarelli, M. Guescini, E. Polidori, M. Buffalini, M. Menotta, R. Pierleoni, E. Barbieri, and V. Stocchi. 2007.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Tuber borchii D-mannitol dehydrogenase which defines a new subfamily within the polyol-specific medium chain dehydrogenases. Fungal Genet. Biol. 44: 965-978. 

  4. Delhaes, L., E. Frealle, and C. Pinel. 2010. Serum markers for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in cystic fibrosis: State of the art and further challenges. Med. Mycol. 48: S77- S87. 

  5. Horer, S., J. Stoop, H. Mooibroek, U. Baumann, and J. Sassoon. 2001. The crystallographic structure of the mannitol 2- dehydrogenase NADP+ binary complex from Agaricus bisporus. J. Biol. Chem. 276: 27555-27561. 

  6. Jang, M. U., J. M. Park, M. J. Kim, J. H. Kang, S. W. Lee, and T. J. Kim. 2012. Enzymatic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mannitol dehydrogenas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Korean J. Microbiol. 48: 156-162. 

  7. Jennings, D. H. 1984. Polyol metabolism in fungi. Adv. Microb. Physiol. 25: 149-193. 

  8. Kaup, B., S. Bringer-Meyer, and H. Sahm. 2005. D-Mannitol formation from D-glucose in a whole-cell biotransformation with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Appl. Microbiol. Biotechnol. 69: 397-403. 

  9. Kavanagh, K. L., M. Klimacek, B. Nidetzky, and D. K. Wilson. 2002. Crystal structure of Pseudomonas fluorescens mannitol 2-dehydrogenase binary and ternary complexes. J. Biol. Chem. 277: 43433-43442. 

  10. Krahulec, S., G. C. Armao, M. Klimacek, and B. Nidetzky. 2011. Enzymes of mannitol metabolism in the human pathogenic fungus Aspergillus fumigatus - kinetic properties of mannitol-1-phosphate 5-dehydrogenase and mannitol 2- dehydrogenase, and their physiological implications. FEBS J. 278: 1264-1276. 

  11. Lambert, A., M. Osteras, K. Mandon, M. C. Poggi, and D. Le Rudulier. 2001. Fructose uptake in Sinorhizobium meliloti is mediated by a high-affinity ATP-binding cassette transport system. J. Bacteriol. 183: 4709-4717. 

  12. Lee, J. K., B. S. Koo, S. Y. Kim, and H. H. Hyun. 2003.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mannitol dehydrogenase from a newly isolated strain of Candida magnolia. Appl. Environ. Microbiol. 69: 4438-4447. 

  13. Lewis, D. H. and D. C. Smith. 1967. Sugar alcohol (polyols) in fungi green plants. New Phytol. 66: 143-184. 

  14. Nuss, D., P. Goettig, I. Magler, U. Denk, M. Breitenbach, P. B. Schneider, H. Brandstetter, and B. Simon-Nobbe. 2010. Crystal structure of the NADP-dependent mannitol dehydrogenase from Cladosporium herbarum: Implications for oligomerisation and catalysis. Biochimie 92: 985-993. 

  15. Park, D. H. and J. G. Zeikus. 2003. Improved fuel cell and electrode designs for producing electricity from microbial degradation. Biotechnol. Bioeng. 81: 348-355. 

  16. Perfect, J. R., T. H. Rude, B. Wong, T. Flynn, V. Chaturvedi, and W. Niehaus. 1996. Identification of a Cryptococcus neoformans gene that directs expression of the cryptic Saccharomyces cerevisiae mannitol dehydrogenase gene. J. Bacteriol. 178: 5257-5262. 

  17. Sasaki, Y., M. Laivenieks, and J. G. Zeikus. 2005. Lactobacillus reuteri ATCC 53608 mdh gene cloning and recombinant mannitol dehydrogenase characterization. Appl. Microbiol. Biotechnol. 68: 36-41. 

  18. Schneider, K. H. and F. Giffhorn. 1989.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a polyol dehydrogenase from the phototrophic bacterium Rhodobacter sphaeroides. Eur. J. Biochem. 184: 15-19. 

  19. Simon-Nobbe, B., U. Denk, P. B. Schneider, C. Radauer, M. Teige, R. Crameri, T. Hawranek, R. Lang, K. Richter, P. Schmid-Grendelmeier, S. Nobbe, A. Hartl, and M. Breitenbach. 2006. NADP-dependent mannitol dehydrogenase, a major allergen of Cladosporium herbarum. J. Biol. Chem. 281: 16354-16360. 

  20. Slatner, M., B. Nidetzky, and K. D. Kulbe. 1999. Kinetic study of the catalytic mechanism of mannitol dehydrogenase from Pseudomonas fluorescens. Biochemistry 38: 10489-10498. 

  21. Slatner, M., G. Nagl, D. Haltrich, K. D. Kulbe, and B. Nidetzky. 1998. Enzymatic synthesis of mannitol: reaction engineering for a recombinant mannitol dehydrogenase. Ann. N. Y. Acad. Sci. 864: 450-453. 

  22. Smirnoff, N. and Q. J. Cumbes. 1989.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mpatible solutes. Phytochemistry 28: 1057-1060. 

  23. Stoop, J. and D. M. Pharr. 1994. Mannitol metabolism in celery stressed by excess macronutrients. Plant Physiol. 106: 503-511. 

  24. Stowers, M. D. 1985. Carbon metabolism in Rhizobium species. Annu. Rev. Microbiol. 39: 89-108. 

  25. Wang, Y. M. and J. Eys. 1981. Nutritional significance of fructose and sugar alcohols. Annu. Rev. Nutr. 1: 437-475. 

  26. Wisnlak, J. and R. Simon. 1979. Hydrogenation of glucose, fructose, and their mixtures. Ind. Eng. Chem. Prod. Res. Dev. 18: 50-57. 

  27. Wisselink, H. W., R. A. Weusthuis, G. Eggink, J. Hugenholtz, and G. J. Grobben. 2002. Mannitol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 review. Int. Dairy J. 12: 151-16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