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Sinorhizobium meliloti 유래 Mannitol Dehydrogen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대장균 내 발현과 효소특성 규명 Molecular Cloning and Gene Expression of Sinorhizobium meliloti Mannitol Dehydrogenase in Escherichia coli, and Its Enzymatic Characterization원문보기
Sinorhizobium meliloti 1021 (KCTC 2353) 유전체로부터 mannitol dehydrogenase (SmMDH)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대장균에서 대량 발현하였다. 이 유전자는 494개의 아미노산(약 54 kDa)을 암호화하는 1,485 bp의 염기로 구성되며, 기존에 보고된 long-chain dehydrogenase/reductase 계열 MDH 효소들과 약 35-55%의 아미노산 서열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재조합 SmMDH의 최적 반응온도는 $40^{\circ}C$이며, pH 7.0의 조건에서 최대의 D-fructose 환원활성, 그리고 pH 9.0에서 최대의 D-mannitol 산화활성을 보였다. 특히, 이 효소는 $NAD^+/NADH$조효소의 존재 하에서 산화 환원 활성을 나타내며, $NAD^+/NADPH$는 조효소로 이용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SmMDH는 전형적인 $NAD^+/NADH$-의존형 mannitol dehydrogenase (EC 1.1.1.67)임을 확인하였다.
Sinorhizobium meliloti 1021 (KCTC 2353) 유전체로부터 mannitol dehydrogenase (SmMDH)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대장균에서 대량 발현하였다. 이 유전자는 494개의 아미노산(약 54 kDa)을 암호화하는 1,485 bp의 염기로 구성되며, 기존에 보고된 long-chain dehydrogenase/reductase 계열 MDH 효소들과 약 35-55%의 아미노산 서열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재조합 SmMDH의 최적 반응온도는 $40^{\circ}C$이며, pH 7.0의 조건에서 최대의 D-fructose 환원활성, 그리고 pH 9.0에서 최대의 D-mannitol 산화활성을 보였다. 특히, 이 효소는 $NAD^+/NADH$ 조효소의 존재 하에서 산화 환원 활성을 나타내며, $NAD^+/NADPH$는 조효소로 이용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SmMDH는 전형적인 $NAD^+/NADH$-의존형 mannitol dehydrogenase (EC 1.1.1.67)임을 확인하였다.
A mannitol dehydrogenase (MDH; EC 1.1.1.67) gene was cloned from the Sinorhizobium meliloti 1021 (KCTC 2353) genome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It was seen to have an open reading frame consisting of 1,485 bp encoding 494 amino acids (about 54 kDa), which shares approximately 35-55% of amino ...
A mannitol dehydrogenase (MDH; EC 1.1.1.67) gene was cloned from the Sinorhizobium meliloti 1021 (KCTC 2353) genome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It was seen to have an open reading frame consisting of 1,485 bp encoding 494 amino acids (about 54 kDa), which shares approximately 35-55% of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with some known long-chain dehydrogenase/ reductase family enzymes. The recombinant S. meliloti MDH (SmMDH)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t $40^{\circ}C$, and pH 7.0 (D-fructose reduction) and pH 9.0 (D-mannitol oxidation), respectively. SmMDH could catalyze the oxidative/reductive reactions between D-mannitol and D-fructose in the presence of $NAD^+/NADH$ as a coenzyme, but not with NADP+/NADP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mMDH is a typical $NAD^+/NADH$-dependent mannitol dehydrogenase.
A mannitol dehydrogenase (MDH; EC 1.1.1.67) gene was cloned from the Sinorhizobium meliloti 1021 (KCTC 2353) genome and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It was seen to have an open reading frame consisting of 1,485 bp encoding 494 amino acids (about 54 kDa), which shares approximately 35-55% of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with some known long-chain dehydrogenase/ reductase family enzymes. The recombinant S. meliloti MDH (SmMDH) showed the highest activity at $40^{\circ}C$, and pH 7.0 (D-fructose reduction) and pH 9.0 (D-mannitol oxidation), respectively. SmMDH could catalyze the oxidative/reductive reactions between D-mannitol and D-fructose in the presence of $NAD^+/NADH$ as a coenzyme, but not with NADP+/NADP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mMDH is a typical $NAD^+/NADH$-dependent mannitol dehydrogenas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 과정에서 mannitol은 fructose의 세포 내 흡수 과정에 관여하는 다양한 효소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1]. 그러나, 아직 MDH의 효소 특성 및 생체 내 역할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서 S. meliloti의 유전체로부터 MDH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대장균에서 대량으로 발현하고, 기존에 보고된 다양한 MDH 유전자와 1차 구조, 서열 상동성 및 효소특성 등을 상호 비교하여 미생물학 및 효소학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배양액의 흡광도(600 nm)가 0.4-0.6에 도달한 후, 최종농도가 0.1 mM이 되도록 IPTG (isopropyl-β-D-thiogalactopyranoside)를 첨가하고, 이후 SmMDH 효소의 발현량이 최대가 될 때까지 16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S. meliloti 1021의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SmMDH 유전자를 선택적으로 증폭하였다. 유전자의 증폭을 위해 SmMDH-N (5'-TGGATCCATGGCGACCΑΑΑTTCTCCC3')과 SmMDH-C (5'-TAAGCTTTTCCCCGAGGTTTCCGTC3') primer set를 사용하였다.
유전자의 증폭을 위해 SmMDH-N (5'-TGGATCCATGGCGACCΑΑΑTTCTCCC3')과 SmMDH-C (5'-TAAGCTTTTCCCCGAGGTTTCCGTC3') primer set를 사용하였다. PCR 증폭은 Taq DNA polymerase (Roche Applied Science)와 Px2 thermal cycler (Thermo Hybaid, Middlesex, UK)를 사용하여 94℃에서1분, 55℃에서 1분, 72℃에서 1분 30초로 30회 반복하였으며, 최종적으로 72℃에서 10분간 추가로 증폭한 후 종료하였다. 증폭된 SmMDH 유전자는 pMD18-T (Takara Biomedical, Otsu, Japan)에 클로닝한 후, 서울대학교 유전체지원센터의 3730 DNA Analyzer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PCR 증폭은 Taq DNA polymerase (Roche Applied Science)와 Px2 thermal cycler (Thermo Hybaid, Middlesex, UK)를 사용하여 94℃에서1분, 55℃에서 1분, 72℃에서 1분 30초로 30회 반복하였으며, 최종적으로 72℃에서 10분간 추가로 증폭한 후 종료하였다. 증폭된 SmMDH 유전자는 pMD18-T (Takara Biomedical, Otsu, Japan)에 클로닝한 후, 서울대학교 유전체지원센터의 3730 DNA Analyzer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SmMDH 유전자를 BamHI과 HindIII 제한효소로 처리하고, pET-21a (Novagen, Merk, Germany) 발현벡터에 삽입하여 pETSmMDH를 얻었다. pETSmMDH를 E.
정제된 SmMDH의 대략적인 분자량은 SDS-PAG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ini-protean II (Bio-Rad, Hercules, CA, USA) 전기영동 기구를 이용하여 12% gel 상에서 분리하였으며, Coomassie brilliant blue R-250 (Sigma-Aldrich)으로 염색한 후, 다시 destaining solution (20% methanol, 10% acetic acid)을 처리하여 효소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정제된 SmMDH의 대략적인 분자량은 SDS-PAG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Mini-protean II (Bio-Rad, Hercules, CA, USA) 전기영동 기구를 이용하여 12% gel 상에서 분리하였으며, Coomassie brilliant blue R-250 (Sigma-Aldrich)으로 염색한 후, 다시 destaining solution (20% methanol, 10% acetic acid)을 처리하여 효소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분자량 비교를 위해 molecular weight markers (Sigma-Aldrich;분자량 30,000-200,000)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였고, 효소 단백질의 농도는 BCATM protein assay kit (Pierce Biotechnology, Inc.
Mini-protean II (Bio-Rad, Hercules, CA, USA) 전기영동 기구를 이용하여 12% gel 상에서 분리하였으며, Coomassie brilliant blue R-250 (Sigma-Aldrich)으로 염색한 후, 다시 destaining solution (20% methanol, 10% acetic acid)을 처리하여 효소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분자량 비교를 위해 molecular weight markers (Sigma-Aldrich;분자량 30,000-200,000)를 표준물질로 사용하였고, 효소 단백질의 농도는 BCATM protein assay kit (Pierce Biotechnology, Inc., Rockford, IL,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mMDH의 산화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200 mM의 Dmannitol 기질과 0.5 mM NAD(P)+를 조효소로 함유한 50 mM Tris-HCl buffer (pH 9.0)를 사용하였고, 환원활성 측정에는 200 mM의 D-fructose 기질과 0.5 mM NAD(P)H를 첨가한 50 mM Tris-HCl (pH 7.0)의 조건에서 적당량의 정제된 효소를 첨가하여 최종 300 µl로 반응하였다.
0)의 조건에서 적당량의 정제된 효소를 첨가하여 최종 300 µl로 반응하였다. 40℃에서10분 동안 효소반응을 진행하면서 PowerWaveTM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Biotek Instrument Inc., Highland, USA)를 이용하여 340 nm에서 반응액의 흡광도 변화를 1분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SmMDH의 활성 1 unit는 1분당1 µmol의 NAD+를 NADH로 전환(mannitol 산화반응) 또는 NADH를 NAD+로 전환(fructose 환원반응)하는 효소량으로 정의하였다.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http://www.ncbi.nlm.nih.gov)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다양한 미생물 유전체 내의 MDH 유전자 분포를 확인하였다. 그 중 Sinorhizobium meliloti 1021 균주로부터 MDH로 추정되는 유전자(SmMDH; GenBank accession No.
PCR을 통해 선택적으로 증폭한 약 1.5 kb의 SmMDH 유전자 단편을 pET-21a 발현벡터에 삽입하여 pETSmMDH로 명명하였다. 이 유전자는 494개의 아미노산 잔기(약 54 kDa)을 암호화하는 1,485 bp의 염기로 구성 되었으며, 서열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 상의 염기서열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E. coli BL21 (DE3) 균주에 pETSmMDH를 형질전환하여 재조합 대장균을 얻은 후, 배양하면서 효소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효소유전자의 발현도 및 효소 정제도를 SDSPAGE로 확인한 결과, 유전자 서열로부터 예상한 바와 같이 약 54 kDa의 재조합 SmMDH 단백질이 대장균 내에서 대량 발현되고 쉽게 정제됨을 확인하였다(Fig.
기질에 대한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당알콜(Dmannitol, D-sorbitol, D-xylitol), 육탄당(D-glucose, D-fructose, D-galactose), 오탄당(D-arabinose, D-xylose) 기질에 대한 반응산물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D-mannitol과 D-fructose 사이의 상호 전환반응이 관찰되었으며, D-sorbitol을 Lsorbose로 전환하는 반응의 경우 D-mannitol과 비교하여 약 85% 수준의 상대활성을 보였으나, 그 외의 기질에는 작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Sinorhizobium meliloti 1021 (KCTC 2353) 유전체로부터 mannitol dehydrogenase (SmMDH)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클로닝하고, 대장균에서 대량 발현하였다. 이 유전자는 494개의 아미노산(약 54 kDa)을 암호화하는 1,485 bp의 염기로 구성되며, 기존에 보고된 long-chain dehydrogenase/ reductase 계열 MDH 효소들과 약 35-55%의 아미노산 서열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대상 데이터
연구에 사용한 일반 시약과 효소반응 기질 및 미생물 배지는 각각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와 Duchefa Biochemie (Haarlem, The Netherlands)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유전자 조작을 위한 제한효소 및 DNA ligase 등은 Roche Applied Science (Mannheim, Germany)에서 구입하였으며, 각종 PCR 및 sequencing primer는 Bioneer (Daejeon, Korea)로부터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Louis, MO, USA)와 Duchefa Biochemie (Haarlem, The Netherlands)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유전자 조작을 위한 제한효소 및 DNA ligase 등은 Roche Applied Science (Mannheim, Germany)에서 구입하였으며, 각종 PCR 및 sequencing primer는 Bioneer (Daejeon, Korea)로부터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agarose 및 GENECLEAN turbo nucleic acid purification kit는 Qbiogene (Carlsbad, CA, USA)에서, 단백질 정제에 사용한 Ni-NTA 컬럼은 Qiagen (Hilden, Germany)에서 구입하였다.
또한 agarose 및 GENECLEAN turbo nucleic acid purification kit는 Qbiogene (Carlsbad, CA, USA)에서, 단백질 정제에 사용한 Ni-NTA 컬럼은 Qiagen (Hilden, Germany)에서 구입하였다. SmMDH 유전자의 PCR 클로닝에 주형으로 사용한 S. meliloti 1021 (KCTC 2353) 균주의 염색체 DNA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미생물 프론티어사업단으로부터 제공받았다.
유전자의 증폭을 위해 SmMDH-N (5'-TGGATCCATGGCGACCΑΑΑTTCTCCC3')과 SmMDH-C (5'-TAAGCTTTTCCCCGAGGTTTCCGTC3') primer set를 사용하였다.
성능/효과
gov)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통해 다양한 미생물 유전체 내의 MDH 유전자 분포를 확인하였다. 그 중 Sinorhizobium meliloti 1021 균주로부터 MDH로 추정되는 유전자(SmMDH; GenBank accession No. NP386546)를 발견하였으며, BLAST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검색 결과, 이 유전자가 다른 미생물 유래 MDH 유전자들과 상동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5 kb의 SmMDH 유전자 단편을 pET-21a 발현벡터에 삽입하여 pETSmMDH로 명명하였다. 이 유전자는 494개의 아미노산 잔기(약 54 kDa)을 암호화하는 1,485 bp의 염기로 구성 되었으며, 서열분석 결과 데이터베이스 상의 염기서열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coli BL21 (DE3) 균주에 pETSmMDH를 형질전환하여 재조합 대장균을 얻은 후, 배양하면서 효소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효소유전자의 발현도 및 효소 정제도를 SDSPAGE로 확인한 결과, 유전자 서열로부터 예상한 바와 같이 약 54 kDa의 재조합 SmMDH 단백질이 대장균 내에서 대량 발현되고 쉽게 정제됨을 확인하였다(Fig. 1).
SmMDH 유전자로부터 추정한 아미노산 서열을 다른 미생물 유래 MDH들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dehydrogenase/ reductase (DR) family 계열의 효소들과 진화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Fig. 2). 또한 SmMDH는 49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LDR 계열에 속하는 Rhodobacter sphaeroides 유래 MDH (RsMDH) [18]와 55.
2). 또한 SmMDH는 49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며, LDR 계열에 속하는 Rhodobacter sphaeroides 유래 MDH (RsMDH) [18]와 55.2%로 가장 높은 아미노산 서열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 외에도 LDR 계열의 Pseudomonas fluorescens MDH (PfMDH) [20], Saccharomyces cerevisiae MDH (ScMDH) [16], Aspergillus fumigatus MDH (AfMDH)[10] 및 Salmonella typhimurium MDH (StMDH) [6]와 35.
또한 SmMDH의 N-말단 domain 부위에서 발견된 Rossmann fold 형태의 조효소 결합부위(Phe39, Asp71, Ile131, Glu133)와 C-말단 domain 부위에 존재하는 α-helix 형태의 기질 결합 부위(Asp230, Arg231, His303, Arg373), 그리고 효소의 활성부위(Asn191, Lys295, Asn300) 서열은 Kavanagh 등[9]의 연구결과와 유사하게 보존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Fig. 3),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SmMDH는 LDR 계열의 MDH 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7%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SDR 또는 MDR 계열의 효소들과는 10% 이하의 매우 낮은 서열 상동성을 보였다.
또는 NAD(P)H의 상호전환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흡광도의 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 SmMDH는 D-mannitol 기질과 NAD+를 조효소로 사용한 반응에서 D-fructose로 전환시키는 효소활성을 나타내었고, D-fructose와 NADH를 사용한 반응에서도 Dmannitol로의 전환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4). 그러나, NADP+ 또는 NADPH를 조효소로 사용한 경우에는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SmMDH는 D-mannitol 산화반응 및 D-fructose 환원반응에 대하여 각각 9.
4). 그러나, NADP+ 또는 NADPH를 조효소로 사용한 경우에는 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SmMDH는 D-mannitol 산화반응 및 D-fructose 환원반응에 대하여 각각 9.68 및 13.19 unit/ mg의 비활성값(specific activity)을 가지는 NAD+/NADH-의존적인 MDH의 일종임을 확인하였다(Fig. 5). SmMDH의 효소활성은 기존에 보고된 S.
5). SmMDH의 효소활성은 기존에 보고된 S. typhimurium 유래 MDH [6]의 비활성값 (각각 0.80 및 1.61 unit/mg)에 비해 높았으나, P. fluorescens MDH [20] (31 및 55 unit/mg)의 활성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었다.
SmMDH의 최적 반응온도는 기존에 보고된 다른 미생물 유래 LDR 계열의 MDH 효소들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었으며, 이 효소들은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화·환원반응에서 동일한 최적 온도를 보였다.
최적 반응온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20-50℃의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MDH 활성을 측정한 결과, 40℃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30℃에서 48%, 50℃에서는 35%로 활성이 감소하였다(Fig. 6). SmMDH의 최적 반응온도는 기존에 보고된 다른 미생물 유래 LDR 계열의 MDH 효소들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었으며, 이 효소들은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화·환원반응에서 동일한 최적 온도를 보였다.
SmMDH의 최적 반응온도는 기존에 보고된 다른 미생물 유래 LDR 계열의 MDH 효소들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었으며, 이 효소들은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화·환원반응에서 동일한 최적 온도를 보였다. 한편, pH에 대한 의존도를 측정한 결과, D-mannitol 산화반응의 경우 pH 9.0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반면, D-fructose 환원반응의 경우에는 pH 7.0에서 최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Fig. 7). 이와 같이 산화·환원반응의 최적 pH가 상이한 현상은 S.
기질에 대한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당알콜(Dmannitol, D-sorbitol, D-xylitol), 육탄당(D-glucose, D-fructose, D-galactose), 오탄당(D-arabinose, D-xylose) 기질에 대한 반응산물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D-mannitol과 D-fructose 사이의 상호 전환반응이 관찰되었으며, D-sorbitol을 Lsorbose로 전환하는 반응의 경우 D-mannitol과 비교하여 약 85% 수준의 상대활성을 보였으나, 그 외의 기질에는 작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SmMDH와 42.
fluorescens MDH의 경우에 D-sorbitol 산화반응이 D-mannitol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20]. 따라서, SmMDH 효소는 D-mannitol, D-fructose, D-sorbitol을 기질로 이용하는 NAD+/NADH-의존형 MDH (EC 1.1.1.67) 효소로 판단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토양 미생물 Sinorhizobium meliloti 1021에서 유래한 SmMDH는 전형적인 LDR 계열의 NAD+/NADH-의존형 MDH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SmMDH 에 대한 연구 결과는 향후 식물 내 공생균의 탄수화물 대사경로 규명에 활용될 수 있으며, 산업적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mannitol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효소적 생산방법 개발에 학문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유전자는 494개의 아미노산(약 54 kDa)을 암호화하는 1,485 bp의 염기로 구성되며, 기존에 보고된 long-chain dehydrogenase/ reductase 계열 MDH 효소들과 약 35-55%의 아미노산 서열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재조합 SmMDH의 최적 반응온도는 40℃이며, pH 7.0의 조건에서 최대의 D-fructose 환원활성, 그리고 pH 9.0에서 최대의 D-mannitol 산화활성을 보였다. 특히, 이 효소는 NAD+/NADH 조효소의 존재 하에서 산화·환원 활성을 나타내며, NADP+/NADPH는 조효소로 이용하지 못하였다.
특히, 이 효소는 NAD+/NADH 조효소의 존재 하에서 산화·환원 활성을 나타내며, NADP+/NADPH는 조효소로 이용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SmMDH는 전형적인 NAD+/NADH-의존형 mannitol dehydrogenase (EC 1.1.1.67)임을 확인하였다.
후속연구
/NADH-의존형 MDH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SmMDH 에 대한 연구 결과는 향후 식물 내 공생균의 탄수화물 대사경로 규명에 활용될 수 있으며, 산업적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mannitol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효소적 생산방법 개발에 학문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annitol이란?
Mannitol (C6H14O6)은 당의 aldehyde 혹은 ketone기를 환원하여 얻어지는 6탄당 유래의 당알코올로 인체 내에서 잘 대사되지 않기 때문에 저칼로리 감미료 또는 충치 예방 등의 기능성 소재로 식품, 화장품, 의약품 산업 등의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25]. 일반적으로 동량의 glucose와 fructose를 혼합한 후, 고온·고압 하에서 Raney nickel 촉매를 이용한 수소화 반응에 의해, 30% mannitol과 70% sorbitol의 혼합 반응산물이 얻어지며, 다시 결정화 과정을 통해 manntiol의 형태로 회수된다[26].
MDH 효소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MDH는 NAD(P)+를 조효소로 이용하여 mannitol을 fructose로 산화시키거나, NAD(P)H를 사용하여 fructose를 mannitol로 환원시키는 dehydrogenase/reductase (DR) family에 속하는 효소이다[20, 21]. 이러한 MDH 효소들은 서열 상동성, 단백질의 크기, 조효소 결합부위 motif 서열 등의 유사성에 따라 short chain (SDR), medium chain (MDR), long chain (LDR)의 3종류로 분류된다. 주로 곰팡이에서 유래하며 약 250개 이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SDR은 촉매활성을 위해 금속이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5, 12, 14].
MDH 효소 중 크기가 가장 큰 것은?
주로 Zn2+ 의존적인 특성을 나타내며 일부 세균에서 발견되는 MDR은 약 350개 이하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다[1, 3, 17]. 마지막으로 다가 알코올에 특이적이며 주로 세균에서 유래하는 monomer 형태의 LDR은 약 350-56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가장 큰 크기의 MDH로 알려져 있다[6, 10, 16, 18, 20].
참고문헌 (27)
Aarnikunnas, J., K. Ronnholm, and A. Palva. 2002. The mannitol dehydrogenase gene (mdh)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is distinct from other known bacterial mdh genes. Appl. Microbiol. Biotechnol. 59: 665-671.
Carvalheiro, F., P. Moniz, L. Duarte, M. Esteves, and F. Girio. 2011. Mannitol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grown in supplemented carob syrup. J. Ind. Microbiol. Biotechnol. 38: 221-227.
Ceccaroli, P., R. Saltarelli, M. Guescini, E. Polidori, M. Buffalini, M. Menotta, R. Pierleoni, E. Barbieri, and V. Stocchi. 2007.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Tuber borchii D-mannitol dehydrogenase which defines a new subfamily within the polyol-specific medium chain dehydrogenases. Fungal Genet. Biol. 44: 965-978.
Delhaes, L., E. Frealle, and C. Pinel. 2010. Serum markers for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in cystic fibrosis: State of the art and further challenges. Med. Mycol. 48: S77- S87.
Horer, S., J. Stoop, H. Mooibroek, U. Baumann, and J. Sassoon. 2001. The crystallographic structure of the mannitol 2- dehydrogenase NADP+ binary complex from Agaricus bisporus. J. Biol. Chem. 276: 27555-27561.
Jang, M. U., J. M. Park, M. J. Kim, J. H. Kang, S. W. Lee, and T. J. Kim. 2012. Enzymatic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 typhimurium mannitol dehydrogenase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Korean J. Microbiol. 48: 156-162.
Jennings, D. H. 1984. Polyol metabolism in fungi. Adv. Microb. Physiol. 25: 149-193.
Kaup, B., S. Bringer-Meyer, and H. Sahm. 2005. D-Mannitol formation from D-glucose in a whole-cell biotransformation with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Appl. Microbiol. Biotechnol. 69: 397-403.
Kavanagh, K. L., M. Klimacek, B. Nidetzky, and D. K. Wilson. 2002. Crystal structure of Pseudomonas fluorescens mannitol 2-dehydrogenase binary and ternary complexes. J. Biol. Chem. 277: 43433-43442.
Krahulec, S., G. C. Armao, M. Klimacek, and B. Nidetzky. 2011. Enzymes of mannitol metabolism in the human pathogenic fungus Aspergillus fumigatus - kinetic properties of mannitol-1-phosphate 5-dehydrogenase and mannitol 2- dehydrogenase, and their physiological implications. FEBS J. 278: 1264-1276.
Lambert, A., M. Osteras, K. Mandon, M. C. Poggi, and D. Le Rudulier. 2001. Fructose uptake in Sinorhizobium meliloti is mediated by a high-affinity ATP-binding cassette transport system. J. Bacteriol. 183: 4709-4717.
Lee, J. K., B. S. Koo, S. Y. Kim, and H. H. Hyun. 2003.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mannitol dehydrogenase from a newly isolated strain of Candida magnolia. Appl. Environ. Microbiol. 69: 4438-4447.
Nuss, D., P. Goettig, I. Magler, U. Denk, M. Breitenbach, P. B. Schneider, H. Brandstetter, and B. Simon-Nobbe. 2010. Crystal structure of the NADP-dependent mannitol dehydrogenase from Cladosporium herbarum: Implications for oligomerisation and catalysis. Biochimie 92: 985-993.
Park, D. H. and J. G. Zeikus. 2003. Improved fuel cell and electrode designs for producing electricity from microbial degradation. Biotechnol. Bioeng. 81: 348-355.
Perfect, J. R., T. H. Rude, B. Wong, T. Flynn, V. Chaturvedi, and W. Niehaus. 1996. Identification of a Cryptococcus neoformans gene that directs expression of the cryptic Saccharomyces cerevisiae mannitol dehydrogenase gene. J. Bacteriol. 178: 5257-5262.
Sasaki, Y., M. Laivenieks, and J. G. Zeikus. 2005. Lactobacillus reuteri ATCC 53608 mdh gene cloning and recombinant mannitol dehydrogenase characterization. Appl. Microbiol. Biotechnol. 68: 36-41.
Schneider, K. H. and F. Giffhorn. 1989.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a polyol dehydrogenase from the phototrophic bacterium Rhodobacter sphaeroides. Eur. J. Biochem. 184: 15-19.
Simon-Nobbe, B., U. Denk, P. B. Schneider, C. Radauer, M. Teige, R. Crameri, T. Hawranek, R. Lang, K. Richter, P. Schmid-Grendelmeier, S. Nobbe, A. Hartl, and M. Breitenbach. 2006. NADP-dependent mannitol dehydrogenase, a major allergen of Cladosporium herbarum. J. Biol. Chem. 281: 16354-16360.
Slatner, M., B. Nidetzky, and K. D. Kulbe. 1999. Kinetic study of the catalytic mechanism of mannitol dehydrogenase from Pseudomonas fluorescens. Biochemistry 38: 10489-10498.
Slatner, M., G. Nagl, D. Haltrich, K. D. Kulbe, and B. Nidetzky. 1998. Enzymatic synthesis of mannitol: reaction engineering for a recombinant mannitol dehydrogenase. Ann. N. Y. Acad. Sci. 864: 450-453.
Smirnoff, N. and Q. J. Cumbes. 1989.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mpatible solutes. Phytochemistry 28: 1057-1060.
Wisnlak, J. and R. Simon. 1979. Hydrogenation of glucose, fructose, and their mixtures. Ind. Eng. Chem. Prod. Res. Dev. 18: 50-57.
Wisselink, H. W., R. A. Weusthuis, G. Eggink, J. Hugenholtz, and G. J. Grobben. 2002. Mannitol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 review. Int. Dairy J. 12: 151-161.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