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인암 환자의 생존단계별 건강증진행위, 외상 후 성장 및 삶의 질 비교
The Comparison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ost Traumat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tages of Survivorship in Patients with Female Genital Neoplasm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3, 2013년, pp.312 - 321  

이은실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 promotion behavior, post-traumat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stages of survivorship in patients with female genital neoplas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st, 2011 to September 31st 2011 from 142 gynecologic ca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내에서는 부인암 생존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이루어져 있으나 건강증진행위와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특히, 생존단계에 따라 건강증진행위, 외상 후 성장 및 삶의 질 정도가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연구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생존단계별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인 간호접근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인암 환자들의 생존단계별 건강증진행위, 외상 후 성장 및 삶의 질 정도를 비교하고 생존단계별 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간호중재 및 정책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 생존이란 무엇인가? 암 생존이란 암 진단부터 시작해서 완치에 이르기까지 살아있는 동안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역동적인 과정이며, 암 생존자들은 이 과정을 거치면서 기능저하, 피로, 구토, 식욕부진, 탈모 등의 신체적 증상과 충격과 두려움, 불안, 자기통제력 상실 그리고 우울 등의 심리적 반응, 대인 관계 회피, 낙인감, 사회적 고립감, 사회복귀의 어려움과 같은 사회적 문제 등 다양한 증상과 후유증을 경험하게 된다(Cappiello, Cunningham, Knobf,& Erdos, 2007). 특히, 부인암 생존자들은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림프부종과 폐경 후 증상, 불임 및 성욕 감소와 같은 성기능장애 등의 어려움도 겪게 된다(Mols, Thong, Vreugdenhil, & Lonneke, 2009).
암 생존자들은 암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어떤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하는가? 외상 후 성장은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얻어진 긍정적인 변화로 단순히 외상 이전의 적응 수준단계 회복을 넘어서 외상사건 이전의 심리적 기능의 질적인 성장을 의미한다. 암 생존자들은 암 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자신의 관점 및 인생 관점의 변화와 삶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가족 및 친구들과의 사회적 관계가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Tedeschi &Calhoun, 2004). 암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은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지만(Bellizzi & Blank, 2006), 부인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암 생존자들은 암 생존 과정을 거치면서 어떤 증상을 경험하는가? 암 생존이란 암 진단부터 시작해서 완치에 이르기까지 살아있는 동안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역동적인 과정이며, 암 생존자들은 이 과정을 거치면서 기능저하, 피로, 구토, 식욕부진, 탈모 등의 신체적 증상과 충격과 두려움, 불안, 자기통제력 상실 그리고 우울 등의 심리적 반응, 대인 관계 회피, 낙인감, 사회적 고립감, 사회복귀의 어려움과 같은 사회적 문제 등 다양한 증상과 후유증을 경험하게 된다(Cappiello, Cunningham, Knobf,& Erdos, 2007). 특히, 부인암 생존자들은 수술과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한 림프부종과 폐경 후 증상, 불임 및 성욕 감소와 같은 성기능장애 등의 어려움도 겪게 된다(Mols, Thong, Vreugdenhil, & Lonneke,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ellizzi, K. M., & Blank, T. O. (2006).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s. Health Psychology, 25 (1), 47-56. 

  2. Bernhard, H., Georg, K., Martin, K., Roland, M., Handsjord, S., Martin, D., et al. (2001).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not enough attention for long term survivors. Psychosomatics, 42 (1), 117-23. 

  3. Cappiello, M., Cunningham, R., Knobf, M., & Erdos, D. (2007). Breast cancer survivors information and support after treatment. Clinical Nursing Research, 16 (4), 278-293. 

  4. Cordova, M. J., Cunningham, L. C., & Carlson, C. R. (2001). Posttraumatic growth following breast cancer: A controlled comparison study. Health Psychology, 20 (3), 176-185. 

  5. Ferrell, B. (1996). The quality of lives. Oncology Nursing Forum, 23 (6), 907-908. 

  6. Jeong, K. S. (2006). Relationship among body image,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mastectomy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7. Kim, E, K. (2009). Health promoti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8. Kim, Y. S. (1999). The quality of life analysis in cervix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 Yang University, Seoul. 

  9. Kim, Y. S. (2002).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0. Knobf, M. T. (2002). The experience of premature menopause in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Nursing Research, 51 (1) 9-17. 

  11. Lee, E. H. (2007).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quality of life scale for Korea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3), 324-333. 

  12. Lim, J. & Han, I. (2008).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on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for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60 (1), 5-27. 

  13. Mast, M. E. (1998). Survivors of breast cancer: Illness uncertainty, positive reappraisal, and emotional distress. Oncology Nursing Forum, 25 (3), 555-562. 

  14. Mols, F., Thong, M. S., Vreugdenhil, G., & Lonneke, V. (2009). Longterm cancer survivors experience work changes after diagnosis: Results of a population-based study. Psychooncology, 18 (12), 1252-1260. 

  15. Mullen, F. (1995). Seasons of survival: Reflection of a physician with canc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6 (3), 270-273. 

  16.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0). Cancer survival statistics. Retrieved December 5, 2009, from http://www.cancer.go.kr 

  17. National Cancer Institute Office of Cancer Survivorship. (2011). About survivorship research: Survivorship definition. Retrieved May 12, 2011. http://dccps.nci.nih.gov/ocs 

  18. Oh, B. J. (1994).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 (3), 632-652. 

  19. Park, J. S. (2002). The effects of an women's health promotion program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s,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the service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3), 1194-1204. 

  20. Park, S. M., Lim, M. K., Jung, K. W., Shin, S. A., Yoo, K. Y., Yun, Y. H., et al. (2007) Prediagnosis smoking,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second primary cancer risk in cancer survivor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tud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5 (30), 4835-4843. 

  21. Pender, N. J., & Pender, A. R. (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2nd ed.). Norwalk, CT: Appleton and Lange. 

  22. Sammarco, A. (2008). Quality of life, social support, and uncertainty among Latin breast cancer survivors. Oncology Nursing Forum, 35 (5), 844-849. 

  23. Shin, H. W., & Noh, D. Y. (2009). Correlates of existential wellbeing and their association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Breast Cancer Research & Treatment, 118 (1), 139-150. 

  24.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 (3), 455-472. 

  25.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 (1), 1-18. 

  26. The Korean Association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2010). Annual report of gynecologic cancer registry program in Korean for 2004.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1 (3), 151-162. 

  27. Thornton, A. A. (2002). Perceiving benefits in the cancer experienc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in Medical Settings, 9 (2), 153-165. 

  28.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36 (2), 74-81. 

  29. Weiss, T. (2004).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their husbands: An intersubjective validation study. Journal of Psychosocial Oncology, 20 (2), 65-80. 

  30. Wendy, D. W., Beredis, P. R., Colleen, M., Isaac, L., & Elizabeth, C. (2000). Current health behaviors and readiness to pursue life-style changes among men and women diagnosed with early stage breast carcinomas. American Cancer Society, 88 (3), 674-684. 

  31. Yang, A. J. (2009). Mindfulness, positive cancer coping style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breast cancer survivor-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coping sty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2. Yun, Y. H. (2005). Assessment and research of quality of life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6 (3), 182-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